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 목적 10
2. 연구범위 및 방법 12
II. 야요이 쿠사마 작품의 형성 배경 14
1. 1960-70년대 뉴욕의 시대적 배경 14
2. 야요이 쿠사마의 성장과 심리적 배경 17
3. 야요이 쿠사마 작품의 페미니즘적 특성 21
1) 환경 작업(environmental installation)과 페미니즘 21
2) 반복과 자기소멸 이미지 24
III. 페미니즘적 해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29
1. 페미니즘 미술의 형성과 배경 29
2. 프로이드의 여성성과 페티시즘 36
3. 크리스테바의 여성성과 페미니즘 이론 38
IV. 페미니즘적 시각으로 본 야요이 쿠사마의 작품분석 42
1. 남근이미지의 반복을 통해 나타난 페티시즘 42
1) 〈집적; 천대의 보트쇼(Aggregation; One thousand boats show)〉 44
2) 야요이 쿠사마의 스튜디오 47
3) 여행하는 삶(Traveling life) 50
4) 〈질주하는 이미지쇼(Driving Image Show)〉 52
2. 폴카점과 누드로 표현된 해프닝(Happening)과 페미니즘 54
1) 누드 해프닝 (Naked Happening) 57
2) 〈무한한 방- 사랑은 영원히 (Peep show or Endless love show)〉 59
3) 해프닝 사진 61
3. 야요이 쿠사마 작품의 페미니즘적 특성 62
V. 결론 66
참고문헌 69
Abstract 74
(도-1) 야요이 쿠사마, 〈Untitled〉, pencil on... 25
(도-2) 샌디 오걸(Sandy Orgel),〈침대보... 32
(도-3) 주디 시카고(Judy Chicago),〈월... 32
(도-4) 게리라 걸즈, 〈여성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들어가려면 벗어야 하는가?〉, 종이에... 35
(도-5) 야요이 쿠사마, (Aggregation; One... 44
(도-6) 야요이 쿠사마,〈강박적가구(compulsion... 48
(도-7) 야요이 쿠사마, 〈여행하는 삶(Traveling... 51
(도-8) 야요이 쿠사마, 〈질주하는 이미지 쇼(Driving Image... 52
(도-9) 야요이 쿠사마, 〈Naked Event at the Stock Exchange〉, New York,... 55
(도-10) 야요이 쿠사마, 〈Naked Happening Orgy... 58
(도-11) 야요이 쿠사마, 〈무한의 방-사랑은 영원히(Peep... 60
(도-12) 야요이 쿠사마, 〈Untitled〉, 사진, 집적 No. 2 네트망, 마카로니 카펫,... 61
야요이 쿠사마(Yayoi Kusama)는 1958년 뉴욕으로 건너가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현재까지 방대한 양의 작업을 통해 예술가의 길을 걸어오고 있다. 뉴욕에서의 활동은 그녀의 작품이 수많은 뉴욕 예술가들에게 받은 영감과 영향을 바탕으로 여러 사조들과 함께 발전되었음을 알게 해주는 근간이 된다. 이와 더불어 미술사적 평가 역시 그녀의 작업을 추상표현주의, 팝아트, 올오버 페인팅, 환경미술의 범주에서 해석하기를 여러 번 시도 하였다. 그러나 그녀의 주된 작업 방식과 표현 양식은 당시의 페미니즘 운동과 깊이 관계 맺는다. 그러므로 그녀의 작업에 대한 최근의 평가는 주로 페미니즘적 이론에 근거하는 많은 해석 들을 수반하였으며, 실제로 1960년대 이후 활발히 전개되어 온 페미니즘 운동에 많은 예술적 동기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논문은 기존의 여러 페미니즘적 해석 중에서도 작가의 어릴 적 실제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는 정신분석학적 분석을 통해서 그녀의 작품을 조명 해보고자 한다. 그녀는 어릴 적 어머니의 강압적인 훈육의 태도와 아버지의 빈번한 가출로 인하여 성적인 억압과 동시에 남성 혐오증 증세를 앓게 되었다고 고백한 바 있다. 이와 더불어 그녀가 사춘기, 혹은 성장기에 겪은 일본 제국주의 경험은 국가가 개인을 억압하는 기제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그녀의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은 그녀의 잠재의식, 혹은 무의식의 형태로 집적되어 있다가 성인이 된 이후 뉴욕에서의 예술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그녀의 예술적 에너지와 의지는 한 여성 개인의 잠재적 억압 의식을 표현하는 기폭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표현된 그녀의 작품들을 많은 학자들은 페미니즘 이론을 통해서 설명하였다. 따라서 그녀의 작품 해석에 있어서 페미니즘 이론이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작품 해석의 출발점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미니즘 이론 중에서도 20세기 초 정신분석학의 선구자였던 프로이드(Freud)의 이론과 1980년대 이후 등장한 급진적 페미니스트였던 크리스테바(Kristeva)의 이론을 근간으로 그녀의 작품을 해석해보자 한다. 특히 프로이드의 페티시즘 이론은 주로 그녀가 집착하였던 남근 이미지의 반복적 등장과 차용을 이론적으로 설명해 주며, 크리스테바의 여성성에 관한 이론은 누드와 폴카점으로 점철되는 그녀의 해프닝 작업을 해석하는 데에 주요한 이론적 배경을 형성한다.
그녀는 〈접적; 천개의 보트쇼〉와 같은 작품을 통해서 반복적이고 강박적으로 남근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개인의 트라우마에서 출발한 것으로 여러 학자들은 해석하고 있다. 또한 그녀는 천을 이용한 조각을 만들어 냈으며, 여성성이 집약된 일상적 오브제를 사용함으로써 그녀의 반복, 강박이 종국에는 남성의 권위를 없애고 탈-신비화라는 페미니즘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표현들은 당시 소비주의에 대한 비판적 여론의 형성에 합류해 남근 이미지가 남성들의 여성 소비 심리를 비판하는 데에 일조하기도 한다.
그녀의 해프닝 작업들은 누드와 폴카점의 반복적 등장으로 특징 지워진다. 이러한 구성의 개별적 해프닝은 전시장 안에 갇히는 작업이 아닌 시간과 소리, 참여하는 사람으로서의 관객까지 작품 안에 포함시키게 되면서 예술적 성과를 이루게 된다. 이는 그녀가 언급한대로 그녀의 성장 배경으로 인한 강박증에서 벗어나기 위한 이미지 실현 충동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그녀의 과잉된 자기 노출, 하이힐과 같은 여성의 페티쉬를 대변하는 오브제의 차용은 능동적 여성 예술가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게 해주며, 이로 인해 페미니즘 미술사에 있어서 한 획을 긋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은 모두 한 여성의 '자기소멸'의 과정으로 인식되는데, 이는 야요이 쿠사마의 작품들을 관통하는 중요한 내적 주제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야요이 쿠사마의 작품은 주체적 여성과 자기 소멸이라는 큰 주제 아래 그녀의 자율적인 예술의지와 결합하여 스스로 여성성과 성적 정체성을 찾는 과정으로 해석가능하다. 이러한 해석은 페미니즘 이론을 통해 그녀의 작품을 재평가 하는 새로운 계기를 만들어 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까지도 현대 미술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야요이 쿠사마의 작품을 페미니즘적인 시각에서 해석하여 다양한 작품해석의 틀을 제시하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