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6
제1장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14
1.2. 기존 연구 고찰 16
1.3. 연구의 목적 24
1.4. 연구의 구성 26
제2장 다목적함수 최적화 기법 고찰 28
2.1. 다목적함수 최적화 문제의 정식화 28
2.2. 다목적함수 최적화 용어 정의 30
2.3. 마하라노비스 거리(MD) 34
2.4. 가중치법 41
2.5. 목표계획법 46
2.6. MTS와 MTGS기법 48
2.7. 기존 알고리즘의 문제점 고찰 51
제3장 SMD 소개 및 검증 53
3.1. 왜도의 통계적 정의 53
3.2. SMD 정의 57
3.3. 수학적 예제를 통한 SMD 검증 60
3.3.1. 문제 정의 66
3.3.2. 수학예제의 참고데이터 생성 71
3.3.3. 최적화 및 결과고찰 74
제4장 공학예제 및 고찰 83
4.1. 예제 1: 외팔보 문제 83
4.2. 예제 2: 용접보 문제 88
4.3. 예제 3: 2부재 구조물 문제 93
제5장 현가계 특성 최적화 99
5.1. 현가계 시스템 구성 및 함수 정의 99
5.2. 현가계 시스템 정식화 107
5.3. 현가계 최적화 및 고찰 113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18
참고문헌 121
ABSTRACT 129
감사의 글 131
연구윤리 서약서 133
Figure 2.1. Plot of the feasible design space and the feasible criterion space 29
Figure 2.2. Diagram of the Pareto optimal and weakly Pareto optimal set 30
Figure 2.3. Comparison of ideal objective vectors and nadir objective vectors 33
Figure 2.4. Comparison of convex and non convex surfaces 33
Figure 2.5. Calculating process of MD 36
Figure 2.6. Diagram of ED and MD with different shapes 40
Figure 2.7. Diagram of Lp -metrics(이미지참조) 42
Figure 2.8. A Pareto optimal of the weighted sum method in each shape 43
Figure 2.9. Diagram of an augmented metric 44
Figure 2.10. A graph of the S/N ratio response 50
Figure 2.11. Diagram of the optimization direction using MD 52
Figure 3.1. Positively and negatively skewed distribution shape 54
Figure 3.2. Diagram of the optimization direction using SMD 58
Figure 3.3. Optimization process of SMD, GAM, and GCM using PIAnO 62
Figure 3.4. Optimization process of WSM and DM using PIAnO 63
Figure 3.5. Optimization process of STDQAO 65
Figure 3.6. Plot of each objective function of Example 1 68
Figure 3.7. Plot of each objective function of Example 2 69
Figure 3.8. Plot of each objective function of Example 3 70
Figure 3.9. Optimal positions of each algorithm of Example 1 76
Figure 3.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SMD 76
Figure 3.11. Optimal positions of each algorithm of Example 2 79
Figure 3.12. Optimal positions of each algorithm of Example 3 82
Figure 4.1. Schematic of a simple cantilever beam 84
Figure 4.2. Plot of distribution of the reference data of a cantilever beam 86
Figure 4.3. Optimal positions of each algorithm of a cantilever beam 87
Figure 4.4. Schematic of a welded beam 89
Figure 4.5. Plot of distribution of the reference data of a welded beam 91
Figure 4.6. Optimal positions of each algorithm of a welded beam 92
Figure 4.7. Schematic of a two-bar truss 93
Figure 4.8. Plot of distribution of the reference data of a 2-bar truss 96
Figure 4.9. Optimal positions of each algorithm of a 2-bar truss example 97
Figure 5.1. Configuration of a front suspension system and name of each component 101
Figure 5.2. Schematic of the roll stiffness due to an applied vertical force 101
Figure 5.3. Schematic of the turn radius 103
Figure 5.4. Schematic of the roll camber angle with respect to ground 103
Figure 5.5. Correlation plot between the roll stiffness and the turn radius 106
Figure 5.6. Correlation plot between the roll stiffness and the roll camber coefficient 106
Figure 5.7. Correlation plot between the turn radius and the roll camber coefficient 107
Figure 5.8. Locations and names of the design variables 108
Figure 5.9. Process of interface among softwares 110
Figure 5.10. Analysis result of the roll rate 111
Figure 5.11. Analysis result of the turn radius 112
Figure 5.12. Analysis result of the roll camber coefficient 112
Figure 5.13. Optimization results of each objective function 114
Figure 5.14. Optimization results of each objective function with different parameters 116
요즘은 하나의 제품을 설계할 때, 여러 개의 성능을 동시에 고려하는 일이 많다. 그런데 이런 성능들 사이에는 서로 상충하는 특성이 있다. 이처럼 서로 상충하는 성능을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화하기 위해 다목적함수 최적화를 적용하는 일이 늘고 있다. 다목적함수 최적화 알고리즘 중 흔히 사용하는 방법에는 가중치법과 목표계획법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다차원 공간에 분포한 데이터의 평균에서부터 거리인 마하라노비스 거리(Mahalanobis distance, MD)를 직교배열표의 목적함수로 하여 최소화하는 마하라노비스 다꾸지 시스템(Mahalanobis Taguchi System, MTS)기법을 사용한다.
다목적함수 최적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형태의 문제에서도 항상 파레토 최적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중치법이나 목표계획법에서는 각 함수에 적절한 가중치나 목표값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것은 쉽지 않고, 잘못 설정하면 비볼록 파레토 문제에서는 파레토 최적해를 보장하지 못한다. MTS기법은 역공학으로 얻은 참고데이터만으로 MD를 계산하기 때문에 함수에 대한 가중치나 목표값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MD는 항상 양의 값을 갖기 때문에 MD를 최소화하면 참고데이터의 평균으로 최적해가 수렴하고 파레토 최적해는 제공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고 있다.
각 함수에 대한 가중치 설정 없이 항상 파레토 최적해를 제공하기 위해 MD에 참고데이터의 평균에서부터 기울어진 정도를 적용하여 방향성을 갖는 새로운 거리척도인 skewed Mahalanobis distance (SMD)를 제안한다. SMD는 참고데이터의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함수간 상관계수와 같은 특성만을 이용하고, 가중치는 각 함수의 표준편차에 반비례하여 자동으로 반영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SMD를 이용하여 최적화하면 파레토 최적해 집합과 만나는 SMD가 가장 작은 한 점을 항상 파레토 최적해로 제공한다. 즉, SMD를 이용한 최적화는 파레토 면의 형상에 상관없이 참고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항상 파레토 최적해를 제공한다. SMD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3개의 수학예제와 공학예제 그리고 차량의 현가계 특성을 최적화하는 실제예제를 이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MD는 참고데이터의 분포특성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면서 파레토 면의 형상에 상관없이 항상 파레토 최적해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