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2
제1장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1.3. 연구의 제약점 16
1.4. 용어의 정리 18
제2장 실(Room)의 이론적 고찰 20
2.1. 식음공간의 계획을 위한 인체공학적 접근 20
2.1.1. 개실 및 반개실의 필요치수 20
2.1.2. 식음공간의 의자와 테이블 배치의 유형과 배치상의 특성 22
2.1.3. 식음공간의 테이블의 필요치수 27
2.1.4. 식음공간의 개실 및 반개실의 단면적 고찰 28
2.1.5. 식음공간의 동선계획 29
2.1.6. 인체 충실지수를 이용한 식음공간의 1인 소유면적 30
2.2. 현대 식음공간의 초현실주의적 표현 특성 32
2.3. 식음공간의 조명계획 33
2.4. 전통주거관에 입각한 한식, 중식, 일식의 색채 및 재질 특성 34
2.4.1. 한국 건축의 특성 34
2.4.2. 중국 전통 건축의 특성 35
2.4.3. 일본 전통 건축의 특성 36
2.5. 식음공간의 개실과 반개실, 복도의 맞벽에 의한 형태의 구성 및 상관관계 37
2.6. 공간의 지각체험에 관한 고찰 39
2.6.1. 공간에서의 현상의 전이에 대한 고찰 39
2.6.2. 식음공간의 실(Room), 공용공간(복도)의 형태와 표현요소 40
2.6.3. 공간 내의 공간 40
2.6.4. 실(Room), 공용공간(복도)의 구성방식(Linear organizations) 41
2.6.5. 선형구성에 대한 고찰 42
2.6.6. Solid와 Void 형태의 인식(The unity of opposites) 43
2.6.7. 시야각과 디자인 계획 44
제3장 현대 식음공간의 특성 47
3.1. 현대 식음공간(한식, 중식, 일식)의 특성 47
3.2. 현대 식음공간의 실(Room)의 형태 48
3.3. 현대 식음공간의 입면 계획 50
3.4. 현대 식음공간의 개실, 반개실의 특성 및 확장형 개실 52
3.5. 현대 식음공간의 Moving wall partition, partition의 종류와 특징 54
3.5.1. Moving wall partitio의 종류와 특징 54
3.5.2. Partition의 종류와 특징 56
3.6. 식음공간의 실(Room)의 1인 소요면적 57
3.7. 식음공간의 실(Room)의 색채 59
3.8. 현대 식음공간의 실(Room)의 테이블, 의자의 구성과 형태 60
3.8.1. 현대 식음공간의 실(Room)의 배치 60
3.8.2. 현대 식음공간의 실(Room)의 동선을 활용한 테이블 커넥터 61
3.9. 현대 식음공간 실(Room)의 조명 계획 61
3.9.1. 현대 식음공간의 실(Room)의 조명요소 62
3.9.2. 현대 식음공간의 실(Room)의 광원, 색온도와 조도 64
3.9.3. 현대 식음공간의 실의 내장재에 의한 색번짐 현상 65
3.10. 현대 식음공간의 실(Room)의 내부 싸인 형태 66
3.11. 현대 식음공간의 개실, 반개실을 이용한 오브제 68
3.12. 현대 식음공간의 실(Room)과 복도의 특성 69
3.12.1. 식음공간의 복도의 특성 69
3.12.2. 식음공간의 실(Room)과 복도의 위계 70
제4장 사례분석 72
4.1. 식음공간(한식, 일식, 중식)의 조사 대상 및 조사 범위 72
4.2. 사례분석 방법 72
4.3. 각 사례별 분석 73
4.3.1. 한식을 위주로한 식음공간 73
4.3.2. 중식을 위주로한 식음공간 82
4.3.3. 중식을 위주로한 식음공간 93
4.4. 분석의 종합 104
제5장 결론 및 제언 106
5.1. 결론 및 제언 106
참고문헌 110
Abstract 112
연구 윤리 서약서 115
Declaration of Ethical Conduct in Research 116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17
〈그림 2-1〉개실 및 반개실의 필요치수 20
〈그림 2-2〉세로배치형과 필요치수 22
〈그림 2-3〉가로배치형과 필요치수 23
〈그림 2-4〉세로배치형과 박스형의 필요치수 24
〈그림 2-5〉부스형의 필요치수 25
〈그림 2-6〉점재형의 필요치수 26
〈그림 2-7〉큰테이블 재치형의 필요치수 27
〈그림 2-8〉식음공간의 테이블 필요치수 28
〈그림 2-9〉식음공간의 실(Room)의 평면, 단면 형태 29
〈그림 2-10〉식음공간의 실(Room)의 형태 29
〈그림 2-11〉레스토랑의 필요치수 30
〈그림 2-12〉한국 전통 건축의 재질 34
〈그림 2-13〉중국 건축의 특성 35
〈그림 2-14〉다다미 36
〈그림 2-15〉도코노마 37
〈그림 2-16〉통로의 구성(Mass의 형태에 의한) 38
〈그림 2-17〉동선공간의 형태의 구성방법 38
〈그림 2-18〉실(Room)의 구성 방법 39
〈그림 2-19〉Solid와 Void를 통한 형태의 인지 40
〈그림 2-20〉선형구성 43
〈그림 2-21〉선형구성의 예 43
〈그림 2-22〉수평시야의 범위와 수직시야의 범위 45
〈그림 2-23〉전시물의 높이와 시거리와의 관계 46
〈그림 2-24〉시각위치와 전시물의 관계, 전시물과 시거리 46
〈그림 3-1〉현대 식음공간의 한식, 중식, 일식의 특성 47
〈그림 3-2〉테이블의 종류, 가변성 48
〈그림 3-3〉실(Room)의 형태와 복도의 상관 관계 49
〈그림 3-4〉실(Room)의 형태에 의한 복도의 구성 50
〈그림 3-5〉식음공간의 입면구성 51
〈그림 3-6〉시야각에 의한 확산광의 설치 52
〈그림 3-7〉식음공간의 확산광 52
〈그림 3-8〉영역의 확장 53
〈그림 3-9〉가변형 벽체 54
〈그림 3-10〉Moving wall partition system(기성체) 55
〈그림 3-11〉Moving wall partition(현장제작) 56
〈그림 3-12〉Partition의 종류와 형태 57
〈그림 3-13〉전통적인 색상을 이용한 식음공간의 색상의 배열 59
〈그림 3-14〉전통적인 색상을 배치한 식음공간 60
〈그림 3-15〉현재 운영중인 식음공간의 평면구성 60
〈그림 3-16〉테이블 커넥터의 활용 61
〈그림 3-17〉현대 식음공간의 직접광의 적용 사례 63
〈그림 3-18〉현대 식음공간의 간접광의 적용 사례 63
〈그림 3-19〉현대 식음공간의 투과광의 적용 사례 64
〈그림 3-20〉색온도와 조도 65
〈그림 3-21〉색번짐 현상 66
〈그림 3-22〉현대 식음공간의 슈퍼 그래픽과 시트커팅 67
〈그림 3-23〉개실, 반개실을 이용한 식음공간의 오브제 68
〈그림 3-24〉현대 식음공간의 복도의 특성 70
〈그림 3-25〉전통적인 공간의 위계를 적용한 현대의 식음공간 7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