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Ⅰ. 서론 16

1. 연구의 필요성 16

2. 연구 목적 18

Ⅱ. 이론적 배경 20

1. 한국무용의 개념과 특징 20

1) 한국무용의 개념 20

2) 한국무용의 특징 24

2. 한국무용 전공자의 신체적 특징 28

1) 한국무용 전공자의 신체적 특징 28

3. 사상체질의 의미 분석과 특징 35

1) 이제마(李濟馬)의 생애사적 배경 35

2) 사상체질의 의미 분석 37

3) 사상체질의 유형별 특징 및 식이요법 44

Ⅲ. 연구 방법 60

1. 연구 대상 60

2. 연구절차 및 실시기간 61

3. 조사도구 및 자료처리 방법 61

Ⅳ. 연구 결과 63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사상체질 진단 63

2. 일반적 특성 중 신장 · 몸무게 · 비만지수의 평균값 71

3.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72

1) 나는 체중 조절을 위해 약이나 다이어트 식품 등을 복용한 적이 있다. 75

2) 나는 현재도 체중 조절에 관한 약이나 경락 등으로 조절하고 있다. 77

3) 체중은 내가 어떻게 노력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79

4) 나는 체중 조절에 도움을 주는 것이라면 우선 해보려한다. 82

4. 체중조절에 관한 스트레스 84

1) 나는 다이어트를 해야 한다고 느껴지는 내 모습에 화가 난다. 84

2) 나는 주위에서 나의 몸매에 안 좋게 평한다고 생각한다. 86

3) 나는 내 몸매에 자신이 없다. 88

4) 내 신체의 모습에 대해 생각하다보면 다른 일에 집중할 수가 없다. 90

5) 나는 체중관리에 많은 시간을 보냈다. 92

6) 날씬한 사람과 나를 비교해 보면 슬퍼진다. 94

5. 사상체질의 관심도와 인지도 96

1) 사상체질에 관해 들어 본 적이 있다. 96

2) 내 자신에 맞는 체중 조절이 있다면 해 볼 의향이 있다. 98

3) 체중 조절 방법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면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 100

4) 내 체질에 맞는 음식으로만 체중조절이 있다면 해 볼 것이다. 102

6.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키와 몸무게 105

7. 각 체질에 맞는 음식에 따른 체중조절의 효과 분석 105

1) 소양인 그룹이 평소에 즐겨먹거나 먹으면 몸이 편해지는 음식 106

2) 소음인 그룹이 평소 먹으면 몸이 편해지는 음식 107

3) 태양인 그룹이 평소 먹으면 몸이 편해지는 음식 107

4) 태음인 그룹이 평소 먹으면 몸이 편해지는 음식 108

Ⅴ. 결론 109

참고문헌 112

부록 115

ABSTRACT 122

표목차

〈표Ⅱ-1〉 한국무용의 종류 23

〈표Ⅱ-2〉 한국무용 움직임의 특성 26

〈표Ⅱ-3〉 태양인의 식이요법 비교 47

〈표Ⅱ-4〉 태음인의 식이요법 비교 51

〈표Ⅱ-5〉 소양인의 식이요법 비교 55

〈표Ⅱ-6〉 소음인의 식이요법 비교 58

〈표Ⅲ-1〉 예술고등학교 연구 대상자 60

〈표Ⅲ-2〉 일반고등학교 연구 대상자 61

〈표Ⅳ-1〉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63

〈표Ⅳ-2〉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65

〈표Ⅳ-3〉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신장, 몸무게, 비만지수 평균값 71

〈표Ⅳ-4〉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신장, 몸무게, 비만지수 평균값 71

〈표Ⅳ-5〉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 72

〈표Ⅳ-6〉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 74

〈표Ⅳ-7〉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문항 1번 75

〈표Ⅳ-8〉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문항 1번 76

〈표Ⅳ-9〉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문항 2번 77

〈표Ⅳ-10〉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문항 2번 78

〈표Ⅳ-11〉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문항3번 79

〈표Ⅳ-12〉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문항3번 80

〈표Ⅳ-13〉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문항4번 82

〈표Ⅳ-14〉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문항4번 83

〈표Ⅳ-15〉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1번 84

〈표Ⅳ-16〉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1번 85

〈표Ⅳ-17〉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에 문항2번 86

〈표Ⅳ-18〉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2번 87

〈표Ⅳ-19〉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3번 88

〈표Ⅳ-20〉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3번 89

〈표Ⅳ-21〉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4번 90

〈표Ⅳ-22〉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4번 91

〈표Ⅳ-23〉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5번 92

〈표Ⅳ-24〉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5번 93

〈표Ⅳ-25〉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6번 94

〈표Ⅳ-26〉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6번 95

〈표Ⅳ-27〉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1번 96

〈표Ⅳ-28〉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1번 97

〈표Ⅳ-29〉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2번 98

〈표Ⅳ-30〉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2번 99

〈표Ⅳ-31〉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3번 100

〈표Ⅳ-32〉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3번 101

〈표Ⅳ-33〉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4번 102

〈표Ⅳ-34〉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4번 103

〈표Ⅳ-35〉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이상적인 키와 몸무게 105

〈표Ⅳ-36〉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이상적인 키와 몸무게 105

〈표Ⅳ-37〉 소양인 그룹의 음식 선택 측정 106

〈표Ⅳ-38〉 소음인 그룹의 음식 선택 측정 107

〈표Ⅳ-39〉 태양인 그룹의 음식 선택 측정 107

〈표Ⅳ-40〉 태음인 그룹의 음식 선택 측정 108

그림목차

〈그림Ⅳ-1〉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학년별 구성 65

〈그림Ⅳ-2〉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학년별 구성 67

〈그림Ⅳ-3〉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학년별 구성 68

〈그림Ⅳ-4〉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학년별 구성 68

〈그림Ⅳ-5〉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비만도별 구성 69

〈그림Ⅳ-6〉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비만도별 구성 70

〈그림Ⅳ-7〉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문항1번 76

〈그림Ⅳ-8〉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문항1번 77

〈그림Ⅳ-9〉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2번 78

〈그림Ⅳ-10〉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2번 79

〈그림Ⅳ-11〉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문항3 80

〈그림Ⅳ-12〉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문항 3번 81

〈그림Ⅳ-13〉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문항4번 82

〈그림Ⅳ-14〉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방법의 실태 문항4번 83

〈그림Ⅳ-15〉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1번 84

〈그림Ⅳ-16〉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1번 85

〈그림Ⅳ-17〉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2번 86

〈그림Ⅳ-18〉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2번 87

〈그림Ⅳ-19〉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3번 88

〈그림Ⅳ-20〉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3번 89

〈그림Ⅳ-21〉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4번 90

〈그림Ⅳ-22〉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4번 91

〈그림Ⅳ-23〉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5번 92

〈그림Ⅳ-24〉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5번 93

〈그림Ⅳ-25〉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6번 94

〈그림Ⅳ-26〉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조절 스트레스 문항6번 95

〈그림Ⅳ-27〉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1번 97

〈그림Ⅳ-28〉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1번 98

〈그림Ⅳ-29〉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2번 99

〈그림Ⅳ-30〉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2번 100

〈그림Ⅳ-31〉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3번 101

〈그림Ⅳ-32〉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3번 102

〈그림Ⅳ-33〉 예술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4번 103

〈그림Ⅳ-34〉 일반고등학교 응답자의 사상체질 관심도 인지도 문항4번 104

초록보기

현대 사회는 삶이 풍요로워 지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체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부분 등에서 욕구와 관심이 커지고 있고 특히 여성들의 신체적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증가되면서 계층과 나이를 막론하고 다이어트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외모는 아름다움만을 추구하는 것보다 아름답게 가꾸어진 체형을 이용해 자신을 표현하는 시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하게 부각 시키고 있다. 또한 체형에 있어서 체중 관리는 건강과도 관련이 있기에 요즘 웰빙 시대에 관심이 더욱 증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상적인 다이어트가 아닌 여성들의 무리한 다이어트는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큰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 자신의 잘못된 체중 기준으로 무리한 다이어트와 검증 되지 않은 다이어트 약과 식품들, 자신에게 맞지 않는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행동 등은 주위에서 또는 매스컴을 통해 흔히 볼 수 있다. 이런 스트레스는 자신의 몸을 무대에서 보여주는 공연 예술인들에게는 더욱 절실하게 인식되고 있고 이러한 자기 관리는 꼭 필요한 조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런 스트레스는 공연 예술인 중 무용전공자에게 더욱 그러하다. 다른 공연예술인과는 달리 음악, 말, 소리가 아닌 몸으로만 표현하기에 스트레스는 배가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무용전공자는 항상 날씬하고 몸매가 좋다는 일반인의 차별된 인식으로 인해 또 하나의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고 있기에 다이어트에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무용전공자는 자신에게 가득한 육체의 언어들이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 만들기 위해 내부적 외부적 압박으로 많은 종류의 다이어트를 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한국 무용전공자들에게 중요시 여기는 신체에 무리가 없고 단 기간 체중 관리가 아닌 지속적인 자기 관리를 하기에 효과적인 체중관리방법론 제시의 필요성을 느낀 바 사상체질에 따른 체중 관리 분석 연구를 하였다.

우선, 사상체질감별을 하기 위해 총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은 한국무용전공자로 서울과 서울 근교에 있는 예술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생 여학생 대상으로 사상체질 감별을 위해 사상체질 진단서(서울, 경기도 한의사회)를 이용하여 체질 분석을 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비만도 측정, 체중 조절 방법 실태와 스트레스를 알아보았으며, 체질에 맞고 즐겨 먹는 음식에 따른 체중, 비만도 측정을 알아보았다.

첫째, 일반적 특성 중 사상체질별 구성 연구 비교 분석 결과 예술고등학교 응답자 중 소양인 15.3%, 소음인 67.3%, 태양인 3.1%, 태음인 14.3%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일반 고등학교 응답자 중 체질별로 소양인 12.7%, 소음인 57.8%, 태양인 4.9%, 태음인 20.6%, 무응답 3.9로 각각 나타났다.

각각의 분석 결과 왜소하고 여성스러운 소양인, 소음인 비율이 일반고등학교 여학생보다 예술고등학교 한국무용전공 여학생의 비율이 높았으며, 장실하고 체격이 큰 태양인, 태음인의 비율이 예술고등학교 한국무용전공 여학생보다 일반고등학교 여학생의 비율이 약간 높은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 중 신장·몸무게·비만지수의 평균값 연구 결과 각 학교의 신장과 몸무게의 평균값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만지수에서는 예술고등학교 응답자가 일반고등학교 응답자보다 비만지수가 0.9 낮은 걸 알 수 있었다

셋째, 고등학교 응답자의 체중 조절(다이어트)방법을 비교 분석한 결과 대표적인 방법으로 굶기가 예술고등학교 응답자 30% , 일반고등학교 응답자 22%로 차이를 알 수 있으며, 약에 의존이 예술고등학교가 응답자의 19%, 일반고등학교는 4%로 현저한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운동의 방법으로는 예술고등학교 응답자 6%, 일반고등학교 응답자 64%로 확연한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 인해 예술고등학교 응답자가 일반고등학교 응답자보다 체중 조절 방법 실태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판단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무용이란 단 기간이 아닌 장기간을 필요로 하는 예술이고 무용에 있어서 신체 조건이란 많은 비중을 차지 한다는 사실을 앎으로써 체중 조절의 심각성과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달을 수 있었다. 또한 체중 조절을 하기 위해 흔히 알고 있는 운동의 방법 실태의 차이는 시간적으로 여유가 없는 무용인들에게는 효과적으로 할 수 없는 방법이기에, 또한 무용 자체를 운동으로 보는 경향이 많아 이런 결과의 한 부분이라 생각할 수 있다.

넷째, 이런 방법들은 체중 조절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기에 건강에 좋지 않은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여기고 체중 조절 스트레스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체중 조절의 스트레스 연구 문항 중 내 신체의 모습에 대해 생각하다 보면 다른 일에 집중할 수가 없는지를 파악한 결과, 집중할 수 없다가 예술고등학교 39.8%, 일반고등학교 16.7%로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날씬한 사람과 나를 비교해 보면 슬퍼지는지를 파악한 결과에서는 예술고등학교 응답자 74.5%, 일반고등학교 응답자 51%로 예술고등학교 응답자가 일반고등학교보다 신장, 몸무게, 비만도 측정결과 현저히 낮은 결과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문항에서 체중 조절에 관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과연 사상체질에 따른 체중 조절이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상체질 진단지를 통해 예술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를 모두 각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으로 나누어 2개월 기간을 두고 각 체질에 맞는 음식을 즐겨 섭취하고 있는 응답자의 평균 키와 몸무게, 비만도를 알아보고, 자신의 체질에 안 맞는 음식을 즐겨 섭취하고 있는 응답자의 키와 몸무게, 비만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놀랍게도 가장 비율이 제일 낮은 태양인 그룹만 제외하고 소양인, 소음인, 태음인 그룹은 체질에 맞지 않은 음식을 선택한 그룹보다 체질에 맞는 음식을 선택한 그룹이 약 0.5∼1.6정도의 낮은 비만도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로 인해 사상체질에 따른 체중 관리 방법이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기 건강을 지키면서 체중 관리를 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또한 사상체질의 원칙인 타고난 체질적 속성은 바뀌지 않는다지만 자신의 체질은 정확히 알고 장단점에 맞추어 조절해 간다면 최적의 상태에서 무대에 설 수 있는 무용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무용인의 신체를 효율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더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