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선행 연구 검토 11
2.1. 교재 평가 관련 연구 11
2.2.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 개발 관련 연구 15
3. 연구의 범위 및 절차 17
Ⅱ. 이론적 배경 19
1. 한국어 교재와 교재 평가 19
1.1. 외국어 교육에서의 교재 19
1.2. 교재 평가의 의의 25
2. 언어 학습에서의 학습자 주도성 30
Ⅲ.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 평가를 위한 전제 36
1.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개념과 기능 36
1.1.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개념 36
1.2.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기능 38
2. 정규 과정 한국어 교재와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 분석 45
2.1. 정규 과정 교재 47
2.2. 자가학습용 교재 50
2.3. 정규 과정 교재와 자가학습용 교재의 분석 결과 비교 53
Ⅳ.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56
1.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원리 57
1.1. 학습 외적 영역 61
1.2. 학습 내적 영역 65
2.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 설정 68
2.1. 자가학습용 교재의 평가 기준 68
2.2.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표 제시 77
3.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 평가의 실제 82
Ⅴ. 결론 101
참고 문헌 105
Abstract 110
〈표 1〉 MacDonough & C. Shaw의 교재 평가에 대한 세부 항목 29
〈표 2〉 정규 과정 교재와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개념 38
〈표 3〉 교실 수업 관련 교재 분석 기준 46
〈표 4〉 정규 과정 교재와 자가학습용 교재의 차이점 54
〈표 5〉 교재 평가의 일반성에 기초한 한국어 교재의 평가 원리 58
〈표 6〉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원리 61
〈표 7〉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 평가 기준표 77
〈그림 1〉 J. MacDonough & C. Shaw(1993)의 교재 평가 이론 28
〈그림 2〉 Tough(1979)의 13단계 자기 주도 학습 모형 32
〈그림 3〉 Knowles(1975)의 자기 주도 학습 모형 33
〈그림 4〉 Garrison(1997)의 자기 주도 학습 모형 33
교육에 있어 교재는 교수-학습 자료와 방법을 담고 있는 가장 일차적인 교수도구라 할 수 있다. 과거의 한국어 교재들은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실 수업의 사용을 전제로 한 기능 통합형 교재의 개발이 주를 이루어왔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과 환경 등을 고려한 교재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교재의 개발은 교육기관용 교재개발에서 개인 개발자들이나 국가, 지역 등에 의한 개발로 확대되었고, 기능 통합형 교재 개발에서 언어의 기능별, 학습 목적별 교재 등과 같이 다양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교재의 개발로 그 범위가 넓어졌다.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습 상황 중, 교실 밖에서의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에 대한 상황까지 전제한 것이다. 교실 밖에서의 학습은 교사와 동료 학습자들이 부재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학습자가 교재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들은 학습 자료 제공의 기능과 함께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습 방법의 제시, 즉 촉진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들은 정규 과정에서의 교사와 동료 학습자, 교재가 동시에 학습을 이루는 상황보다 더욱 정교하게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개발되어 있는 많은 한국어 학습 교재들 중 정규 과정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개발한 교재들이 아닌,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들을 대상으로 하여 보다 나은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들을 개발하는 데 있어 근거가 될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가 제시한 평가 기준을 현존하는 한국어 교재의 개선을 이룰 수 있게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한국어 학습자가 자가학습용 교재를 선택할 때 판단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제시하는 데에도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목차를 따라 진행되었다. Ⅰ장에서는 기존의 교재의 평가와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 설정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Ⅱ장에서는 외국어 교육에서 교재의 개념과 교재 평가에 대한 의의, 그리고 언어 학습에 있어서의 학습자 주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을 설정하기에 앞서 자가 학습 교재의 개념과 기능을 기술하고 자가 학습 교재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정규 과정의 한국어 교재들과 한국어 자가 학습 교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들의 평가 원리와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평가 기준표를 구성, 현재 개발되어 있는 몇 권의 한국어 자가 학습 교재들을 연구에서 설정한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Ⅴ장에서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