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 목적 10

제2절 연구 방향 및 연구 방법 12

제3절 선행 연구 및 문제 제기 15

제2장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유형과 교재 분석 21

제1절 한국어 읽기 교재의 특성 21

제2절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유형 분류 29

1. 텍스트의 유형화 방식 29

2. 기능에 따른 읽기 텍스트 유형 분류 33

제3절 한국어 읽기 교재의 분석 49

1. 한국어 읽기 교재의 분석 대상 및 기준 49

(1) 분석 대상과 목적 49

(2) 읽기 교재 분석의 기준 51

2. 한국어 읽기 교재의 분석 결과 56

(1) 교재의 단원 구성 분석 결과 56

(2) 교재의 본문 구성 분석 결과 59

(3) 교재의 텍스트 유형과 종류 분석 결과 63

(4) 메타 텍스트의 구성과 양상 분석 결과 67

3. 한국어 읽기 교재의 분석 결과와 평가 69

제3장 한국어 읽기 교재의 구성 원리와 체계 71

제1절 한국어 읽기 교재의 구성 원리 71

1. 전반적인 단원 구성의 원리 71

2. 본문 텍스트의 구성 원리 74

3. 메타 텍스트의 구성 원리 82

4. 읽기 텍스트의 등급화 원리 86

제2절 한국어 읽기 교재의 구성 요소 91

1. 단원의 구성 원리 91

2. 본문 텍스트의 구성 요소 94

(1) 위계 구성 94

(2) 내용 구성 101

3. 메타 텍스트의 구성 요소 118

(1) 비계 구성 118

(2) 활동 구성 124

4. 단원 및 텍스트 구성 요소의 특징 133

제3절 읽기 교재의 구성 체계 135

제4장 텍스트의 유형에 따른 교재 구성 방안 139

제1절 텍스트의 유형에 따른 교재 구성의 개요 139

제2절 텍스트 유형별 읽기 교재 구성 방안 142

1. 정보 및 설명 텍스트의 교재 구성 방안 142

2. 비판 및 요구 텍스트의 교재 구성 방안 149

3. 사회적 상호 작용 텍스트의 교재 구성 방안 154

4. 표현 텍스트의 교재 구성 방안 159

5. 선언 텍스트의 교재 구성 방안 166

제5장 결론 174

참고문헌 178

부록 185

부록1. "종달새족' 부러워 마세요… 아침형-저녁형인간 유전자로 결정" 185

부록2. 너무 빨리 늙는 한국 187

부록3. 남자전업주부 3년새 188

ABSTRACT 189

표목차

[표 2-1] Brinker(1994)의 '텍스트 유형 분류 35

[표 2-2] 송금숙(2003:35)의 '텍스트 유형화' 37

[표 2-3] 기능에 따른 텍스트 유형 분류 37

[표 2-4] 기능에 따른 텍스트 유형화 39

[표 2-5] 텍스트 기능의 의미 41

[표 2-6] 유형별 텍스트 종류 45

[표 2-7] 안내문과 안내장 47

[표 2-8] 이력서류의 텍스트 유형 분석 48

[표 2-9] 교재 분석 대상 50

[표 2-10] 분석 교재의 유형 50

[표 2-11] 한국어 읽기 교재의 단원 구성 분석 56

[표 2-12] 한국어 읽기 교재의 본문 구성 분석 59

[표 2-13] 한국어 읽기 교재의 텍스트 종류 63

[표 2-14] 한국어 읽기 교재의 본문 텍스트 유형 및 종류 66

[표 3-1] 개략적인 단원 구성 92

[표 3-2] 메타 텍스트 구성 요소 118

[표 3-3] 한국어 읽기 교재의 발문 123

[표 3-4] 본문 텍스트 구성 요소의 특징 134

[표 3-5] 한국어 읽기 교재의 단원 구성 체계 137

[표 4-1] 본문 텍스트의 개요 140

그림목차

〈그림 2-1〉 Heinemann와 Viehweger(1991:192)의 텍스트 유형화층위 30

〈그림 2-2〉 종류별 시각 자료의 사용 빈도 61

〈그림 2-3〉 통합 교재의 텍스트 사용 횟수 65

〈그림 2-4〉 유형별 텍스트 비율 67

〈그림 3-1〉 일기예보 텍스트의 구성 77

〈그림 3-2〉 한 방향 읽기 방식의 텍스트 80

〈그림 3-3〉 텍스트의 읽기 방식 모형 81

〈그림 3-4〉 읽기 단계별 메타 텍스트의 성격 85

〈그림 3-5〉 언어 능력과 텍스트 사용 영역의 관계 89

〈그림 3-6〉 본문 텍스트와 메타 텍스트의 관계 91

〈그림 3-7〉 시각 텍스트와 문자 텍스트의 유기적 구성 103

〈그림 3-8〉 읽기 점검 및 평가와 다시 읽기 과정의 도식 129

〈그림 3-9〉 본문의 교재 체계와 읽기 방식 136

예시자료목차

(예-1) 제목의 세 가지 유형 96

(예-2) 다층적인 위계 구성 - 신문 기사문 98

(예-3) 상황 맥락을 보여주는 삽화 105

(예-4) 글의 내용이나 줄거리를 미리 보여주는 삽화 105

(예-5) 텍스트의 부분적인 내용 요약 105

(예-6) 시각 텍스트와 문자 텍스트의 구성1 107

(예-7) 시각 텍스트와 문자 텍스트의 구성2 108

(예-8) 그래프 109

(예-9) 표 110

(예-10) 도표 110

(예-11) 주제도1 - 지하철 노선도 111

(예-12) 주제도2 - 한국 지역별 음식지도 112

(예-13) 주제도3 - 세계 도시의 문화 지도 113

(예-14) 약도 - 청첩장 114

(예-15) 주장 텍스트의 구조도 115

(예-16) 여정의 도식화 116

(예-17) 인물 간의 관계도 116

(예-18) 만화를 통한 언어 지식 학습 117

(예-19) 어휘 및 표현 제시 119

(예-20) 삽화 해설 122

(예-21) 서술형의 '읽기 길잡이' 예 125

(예-22) 도식형의 '읽기 길잡이' 예 125

(예-23) 개념적 지식 학습의 미리보기 126

(예-24) 본문 미리보기 예 127

(예-25) 읽기 점검 및 평가의 예 130

(예-26) 어휘 심화 학습의 예 131

참고문헌 (1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6), 『한국어 평가론』, 태학사. 미소장
2 교육인적자원부(2008),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국어』,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3 교육인적자원부(2008),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외국어』,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4 교육인적자원부(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국어, 도덕, 사회』,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5 국립국어원(2005), 「한국어교재론 개발 최종 보고서」, 『한국어교육 총서』5권. 미소장
6 국제한국어교육학회(2009), 『한국어 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미소장
7 (2007), 「한국어 읽기 교재 분석을 위한 분석모형 개발」, 『한국어교육』12-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8 A Study of a Metho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he Co-experienced Text 소장
9 (2002), 『국어교육과 텍스트구조』,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0 고급 수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단원 구성 방안 소장
11 (2002),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박영순편, 한국문화사 미소장
12 한국어 읽기·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교수요목의 유형과 과제 구성을 중심으로 소장
13 고급 단계 한국어 읽기 자료 개발 방안 소장
14 단원의 구성과 전체적 유기성 관점에서의 한국어 교재 분석 소장
15 (1998), 『신문정보그림의 이해와 활용』,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16 동남아시아 지역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의 실제 소장
17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법 연구 소장
18 읽기과정 중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소장
19 한국어 교육 읽기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20 (2006), 「다문화 문식성 제고를 위한 읽기 텍스트 구성 방안 연구」,『국어교육학 연구』 제33집. 미소장
21 Variables of Reading and Effective Teaching of Reading 네이버 미소장
22 한국어 교육 자료의 체제 분석 : 단원 구성을 중심으로 소장
23 (2008), 『문식성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미소장
24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소장
25 (2001), 『읽기 지도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6 (2008), 「실용적 텍스트의 인터페이스와 문식성 계발」, 한국텍스트언어학회춘계학술대회 발표집. 미소장
27 한국어 교육에서의 설명적 텍스트 교수 방안 : 형식 스키마 활성화 전략을 중심으로 소장
28 쓰기교육과 읽기교육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의 동향 소장
29 (2008), 『독서교육론』, 박이정. 미소장
30 (200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월인출판사. 미소장
31 (1999), 『영어교재론 개관』, 한국문화사. 미소장
32 언어학습 교재의 시각디자인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한국어 교재 '말이 트이는 한국어'와 독일어 교재 'Themen'의 분석을 중심으로 소장
33 (1990), 『담화, 텍스트 언어학 입문』, 양영각. 미소장
34 (2001),『텍스트언어학 입문』, 역락. 미소장
35 (2009), 『한국어 교재론』, 태학사. 미소장
36 한국어 읽기 교육의 텍스트 유형 연구 소장
37 (2009), 「한국어 읽기 텍스트 유형에 따른 효율적인 읽기 전략 배양 연구」,배재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8 (2000),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 체제 개선 방안」,『이중언어학』 17호, 이중언어학회. 미소장
39 (2001), 「매체언어의 국어 교재화 방안」, 『교육공학연구』 19권 3호. 미소장
40 (2003), 『읽기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미소장
41 Construction Principles and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ext for Foreigners. 네이버 미소장
42 (2001), 「융합 텍스트의 분석을 위한 접근」, 『한국텍스트과학의 제과제』,역락. 미소장
43 (2005),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국립국어원. 미소장
44 (2005), 「한국어 읽기 텍스트 구성 연구-베트남 학습자 중심으로」, 서울대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5 텍스트 상세화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소장
46 學習을 위한 讀書資料로서의 敎科書 分析 소장
47 (2008),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에 사용된 읽기 활동 유형 분석」, 이화여대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8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Materials on the Textbook 소장
49 (2000), 『텍스트언어학과 국어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50 (2003), 『인지심리학』(3판), 학지사. 미소장
51 (2008), 「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 『한국어교육론』1, 한국문화사. 미소장
52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네이버 미소장
53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재의 단원 구성 소장
54 한국어 교육의 읽기 텍스트 분석 연구 : 초·중급 단계를 중심으로 소장
55 (1996), 『외국어 읽기 지도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미소장
56 읽기 지도에서 수준별 텍스트 활용 소장
57 (2004), 『영어교육사전』(개정증보판), Pearson Longman. 미소장
58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 논설문 텍스트를 중심으로 소장
59 한국어 교재 분석의 기준 : 연구와 적용 소장
60 (2006), 『영어 읽기 교육론-원리와 적용』, 한국문화사. 미소장
61 (1998),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지호. 미소장
62 (2004),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역락. 미소장
63 (2006), 『텍스트의 구조와 이해』(3판), 배재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64 한국텍스트언어학회(2007),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박이정. 미소장
65 (2005), 『한국어 교수법』, 태학사. 미소장
66 (2001), 『과정 중심 독서 지도』, 교학사. 미소장
67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Verbal Information: Focus on the different haracteristics between Novices and Experts for ICT Use in Education 소장
68 (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 박이정. 미소장
6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연구 : 읽기,쓰기 지도법을 중심으로 소장
70 『(고등학교)사회․문화』, 노경주 외, 천재교육, 2009. 미소장
71 『(초등학교)과학』6-2, 금성출판사, 2009. 미소장
72 『말이 트이는 한국어』Ⅰ,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여대 출판부, 1998. 미소장
73 『말이 트이는 한국어』Ⅱ,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여대 출판부, 1998. 미소장
74 『말이 트이는 한국어』Ⅲ,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여대 출판부, 1998. 미소장
75 『말이 트이는 한국어』Ⅳ,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여대 출판부, 1998. 미소장
76 『말이 트이는 한국어』Ⅴ,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여대 출판부, 1998. 미소장
77 『서강한국어』1A,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2006. 미소장
78 『서강한국어』1B,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2006. 미소장
79 『서강한국어』2A,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2006. 미소장
80 『서강한국어』2B,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2006. 미소장
81 『서강한국어』3A,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2006. 미소장
82 『서강한국어』3B,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2006. 미소장
83 『서강한국어』4A,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2006. 미소장
84 『서강한국어』4B,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2006. 미소장
85 『서강한국어』5A,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2006. 미소장
86 『서강한국어』5B,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2006. 미소장
87 『쉬워요 한국어』1. Language Plus, 2003. 미소장
88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인문 한국어』, 다락원, 2007. 미소장
8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민중서림, 2000. 미소장
90 『초등만화맞춤법』, 국립국어원, JEI재능아카데미, 2004. 미소장
91 『한국어』고급1, 국제교육원 한국어교육부, 경희대학교 출판부, 2002. 미소장
92 『한국어』고급2, 국제교육원 한국어교육부, 경희대학교 출판부, 2002. 미소장
93 『한국어』중급1, 국제교육원 한국어교육부, 경희대학교 출판부, 2002. 미소장
94 『한국어』중급2, 국제교육원 한국어교육부, 경희대학교 출판부, 2002. 미소장
95 『한국어』초급1, 국제교육원 한국어교육부, 경희대학교 출판부, 2002. 미소장
96 『한국어』초급2, 국제교육원 한국어교육부, 경희대학교 출판부, 2002. 미소장
97 『한국어』1,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문진미디어, 1998. 미소장
98 『한국어』2,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문진미디어, 1998. 미소장
99 『한국어』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문진미디어, 1998. 미소장
100 『한국어』4,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문진미디어, 1998. 미소장
101 『한국어 읽기』1급,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미소장
102 『한국어 읽기』2급,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미소장
103 『한국어 읽기』3급,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미소장
104 『한국어 읽기』4급,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미소장
105 『한국어 읽기』5급,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미소장
106 『한국어능력시험』 11회,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 한국어세계화재단 자료실, 2007. 미소장
107 『한국어능력시험』 12회,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 한국어세계화재단 자료실, 2007. 미소장
108 『한국어능력시험』 13회,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 한국어세계화재단 자료실, 2009. 미소장
109 『한국어능력시험』 14회,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 한국어세계화재단 자료실, 2008. 미소장
110 『한국어능력시험』 15회,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 한국어세계화재단 자료실, 2009. 미소장
111 『한국어능력시험』 6회,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 2004. 미소장
112 한겨레신문 2008.12.10, 2009.7.10. 미소장
113 서울신문 2005.12.14 미소장
114 (1992), Reading,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15 (1996), Teaching Reading Skills in a foreign language,Macmilllan Publishers Limited. 미소장
116 (1999), Second Language Teaching & Learning, Heinle & Heinle publishers. 미소장
117 (2003), Syllabus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송석요, 김성아 역, 범문사. 미소장
118 (2004), Developing Reading Skills, Cambridge Language Teaching Libr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19 H.Douglas Brown(2001), 원리에 의한 교수(제2판), PEARSON Longman, 권오량 외 역. 미소장
120 (1991), 독서지도론, 천경록 외 공역, 박이정. 미소장
121 (2002), 담화연구의 기초, 이원표 역, 한국문화사. 미소장
122 (1990), Genre Alaysis, Cambrige Applied Linguistics. 미소장
123 (1996), Theory & Practices of Writing,Pearson Education Limited. 미소장
124 r(2002), Teaching and Researching Reading, Longma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