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第1章 序論 14
第1節 硏究의 目的 14
第2節 硏究의 範圍 및 方法 16
1. 硏究의 範圍 16
2. 硏究의 方法 17
3. 論文의 構成 17
第2章 物流 허브 構築에 관한 理論的 考察 19
第1節 物流 허브 競爭力에 관한 理論的 考察 19
1. 獨占과 競爭의 意義 19
2. 競爭의 分類 23
第2節 物流허브 港灣에 관한 理論的 考察 29
1. 컨테이너 運送의 理論的 考察과 先行 硏究 29
2. 港灣간 共同戰略의 理論的 考察과 先行硏究 38
3. Hub-Port 構築의 理論的 考察과 先行硏究 46
第3節 企業의 글로벌화에 관한 理論的 考察 52
1. 物流 産業과 國際 競爭力 理論 52
2. 컨테이너 港灣産業의 國際 競爭力 理論 58
第4節 先行硏究 檢討 63
1. 硏究動向 63
2. 先行硏究와의 差別性 66
第3章 港灣 物流 環境의 變化 68
第1節 韓國의 物流 環境 變化 68
1. 韓國 港灣의 換積 類型의 變化 68
2. 釜山港 換積 構造의 變化 70
第2節 東北亞 物流 環境의 變化 74
1. 東北亞 換積 市場의 發達過程 74
2. 東北亞 地域의 物動量 變化 77
第3節 世界 海運 物流 環境變化 83
1. 컨테이너 市場의 環境變化 83
2. 컨테이너船의 大型化 85
第4章 硏究模型의 設計 89
第1節 硏究模型 89
第2節 假設의 設定 92
1. 調査對象 92
2. 測定도구 93
3. 分析模型 및 假設設定 95
第3節 統計分析方法 97
第5章 硏究結果 分析 및 假說檢證 99
第1節 調査 對象者의 人口統計學的 特誠 99
第2節 測定變數의 妥當性 및 信賴度 檢證 101
第3節 기술統計量 分析 106
1. 投入資源 106
2. 內的 競爭力 要因 111
3. 外的 競爭力 要因 117
第4節 假說의 檢證 124
1. 假設 1의 檢證 124
2. 假設 2의 檢證 127
3. 假設 3의 檢證 130
第6章 東北亞 物流허브 構築을 위한 課題 및 戰略 134
第1節 港灣간 戰略的 協力方案 134
1. 國內 港灣간 協力方案 134
2. 國內 · 外 港灣간 協力方案 139
第2節 港灣 지원시스템 構築 146
1. 港灣 지원시스템 構築의 效果 146
2. 港灣 지원시스템 構築事例 146
3. 港灣 지원시스템 構築戰略 149
第3節 高附加價値 産業基盤 構築 151
1. 産業內貿易과 産業間貿易 活性化 戰略 151
2. 高附加價値 換積시스템 構築 158
第4節 物流 지원시스템 構築方案 159
1. 施設 지원시스템 改善 161
2. Single-Window 構築 164
3. 高危險貨物 지원시스템 構築 165
4. 近海船社 支援方案 167
第5節 유라시아 랜드브리지와 아시아 橫斷鐵道 連繫 170
1. TSR의 戰略的 重要性 170
2. 아시아 橫斷鐵道 연계方案 176
第7章 要約 및 結論 180
參考文獻 184
附錄 : 설문지 194
Abstract 200
〈표 2-1〉 기업의 수에 의한 시장구조 분류 25
〈표 2-2〉 생산물 분화에 의한 시장구조 분류 26
〈표 2-3〉 컨테이너항만의 유형별 분류 30
〈표 2-4〉 Fleming과 Hayuth의 Hub-Port 槪念 47
〈표 2-5〉 운크타드의 Hub-Port 特性 分類 49
〈표 2-6〉 산업 경쟁력 분석을 위한 통합모델 57
〈표 2-7〉 경쟁력의 범위와 측정 수단 59
〈표 2-8〉 내적 경쟁력 요인 62
〈표 2-9〉 외적 경쟁력 요인 63
〈표 3-1〉 부산항 컨테이너전용부두와 일반부두의 환적화물 처리추세 69
〈표 3-2〉 부산항 기항 서비스 변화 현황(2006년 7월 기준) 71
〈표 3-3〉 2000년 이후 부산항 환적화물 증가율 추이 73
〈표 3-4〉 지역별 환적물동량(1990~2007) 79
〈표 3-5〉 지역별 환적물동량 비율(1990~2007) 80
〈표 3-6〉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율(1990~2007) 81
〈표 3-7〉 컨테이너 물동량(1980~2007) 83
〈표 3-8〉 지역별 컨테이너 물동량 비율(1980~2007) 84
〈표 3-9〉 지역별 컨테이너 물동량 비율(2000~2007) 85
〈표 3-10〉 대형컨테이너선의 대표선형 86
〈표 3-11〉 컨테이너선 운영비용 87
〈표 3-12〉 선형별 신조 컨테이너선 공급규모 전망 88
〈표 4-1〉 표본 개요 92
〈표 4-2〉 설문지 구성 94
〈표 4-3〉 통계분석방법 98
〈표 5-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99
〈표 5-2〉 투입자원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02
〈표 5-3〉 내적 경쟁력 요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03
〈표 5-4〉 외적 경쟁력 요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04
〈표 5-5〉 동북아 물류 허브전략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05
〈표 5-6〉 투입자원에 대한 기술 통계분석 106
〈표 5-7〉 성별에 따른 투입자원의 차이 108
〈표 5-8〉 연령에 따른 투입자원의 차이 108
〈표 5-9〉 구분에 따른 투입자원의 차이 109
〈표 5-10〉 경력에 따른 투입자원의 차이 109
〈표 5-11〉 직급에 따른 투입자원의 차이 110
〈표 5-12〉 사업기간에 따른 투입자원의 차이 110
〈표 5-13〉 취급물량에 따른 투입자원의 차이 111
〈표 5-14〉 내적 경쟁력 요인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 112
〈표 5-15〉 성별에 따른 내적 경쟁력의 차이 114
〈표 5-16〉 연령에 따른 내적 경쟁력의 차이 114
〈표 5-17〉 구분에 따른 내적 경쟁력의 차이 115
〈표 5-18〉 경력에 따른 내적 경쟁력의 차이 115
〈표 5-19〉 직급에 따른 내적 경쟁력의 차이 116
〈표 5-20〉 사업기간에 따른 내적 경쟁력의 차이 116
〈표 5-21〉 취급물량에 따른 내적 경쟁력의 차이 117
〈표 5-22〉 외적 경쟁력 요인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 118
〈표 5-23〉 성별에 따른 외적 경쟁력의 차이 120
〈표 5-24〉 연령에 따른 외적 경쟁력의 차이 120
〈표 5-25〉 구입에 따른 외적 경쟁력의 차이 121
〈표 5-26〉 경력에 따른 외적 경쟁력의 차이 122
〈표 5-27〉 직급에 따른 외적 경쟁력의 차이 122
〈표 5-28〉 사업기간에 따른 외적 경쟁력의 차이 123
〈표 5-29〉 취급물량에 따른 외적 경쟁력의 차이 123
〈표 5-30〉 투입자원이 물류 허브전략 투입자원에 미치는 영향 124
〈표 5-31〉 투입자원이 물류 허브전략 내적 경쟁력 요인 미치는 영향 125
〈표 5-32〉 투입자원이 물류 허브전략 외적 경쟁력 요인에 미치는 영향 126
〈표 5-33〉 내적 경쟁력 요인이 물류 허브전략 투입자원에 미치는 영향 128
〈표 5-34〉 내적 마케팅이 물류 허브전략 내적요인에 미치는 영향 129
〈표 5-35〉 내적 마케팅이 물류 허브전략 외적요인에 미치는 영향 130
〈표 5-36〉 외적 경쟁력 요인이 물류 허브전략 투입자원에 미치는 영향 131
〈표 5-37〉 외적 경쟁력 요인이 물류 허브전략 내적요인에 미치는 영향 132
〈표 5-38〉 외적 경쟁력 요인이 물류 허브전략 외적요인 미치는 영향 133
〈표 6-1〉 부산항 · 광양항의 관리운영주체 비교 139
〈표 6-2〉 한 · 중 · 일 3국의 항만요율 항목 비교 142
〈표 6-3〉 피더연계서비스의 협력을 위한 주요 정책방향 142
〈표 6-4〉 주요국 해운항만 클러스터 구축사례 148
〈표 6-5〉 우선순위별 외국인 직접투자 결정요인 156
〈표 6-6〉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를 위한 부처·기관별 조치사항 157
〈표 6-7〉 부가가치 물류 기반의 환적 네트워크의 구축 159
〈그림 1-1〉 연구 체계도 18
〈그림 2-1〉 국가경쟁력에 관한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 54
〈그림 2-2〉 산업의 국제경쟁력에 따른 성장모형 55
〈그림 3-1〉 컨테이너 물동량(1990, 2000, 2007) 82
〈그림 4-1〉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형을 확장한 항만경쟁력 결정모형 91
〈그림 4-2〉 연구모형 96
국제적으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또 한편 국가 간 상호 협조체계도 활성화되는 현 국제물류시장 상황에서 특히, 동북아시아는 컨테이너 물류유통경쟁에 대한 관심이 매우 고조되고 있다.
경쟁적 측면에서는 국제간 유통되는 물량의 급격한 증가로 한국, 일본 그리고 중국 간 치열한 양상을 보이고 더 나아가 향후 계속 유통물량이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에 더욱더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다.
이런 경향에 따라 국제 선사들은 이런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대형선박을 새로 취항시키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국제 선사들은 신규로 운행하는 대형선박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세계적인 서비스(Around the World)를 극대화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홍콩 등 국가들의 물동량이 폭증함에 따라 더욱더 경쟁을 치열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영세하고 재래식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는 국내 선사의 이용은 계속 저조해지는 실정이다.
1996년 국내시장이 개방된 이래로 주요 외국운항사들이 국내 비즈네스에 진입하여 시장 점유율을 상당히 잠식하고 있다. 즉 국내시장이 국제적으로 급격히 확장하여 국내운송사들이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현 운영체계를 혁신하거나 새로운 운영체계를 도입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내몰리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이 한국운송사들의 현재 처한 여건을 냉정히 분석하여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인데 우선적으로 국내기업의 경쟁력을 정밀하고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가격과 기술력이 주요한 요소로 볼 수 있으며 학문적 관점에서도 주요요인으로 일반적인 거래행태, 자원의 가용성, 그리고 정부의 지원 등을 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컨테이너 운송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분석을 시행하였는데 주로 한국, 일본 그리고 중국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요소는 가격경쟁력, 비가격경쟁력 그리고 기술력으로 분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세계무역 추세, 각국 산업자원특징 및 각국정부의 지원 등이 포함되었는데 국내산업의 경쟁력이 낙후되어 가는 현실에서 우리나라가 동북아 물류허브 국가가 되기 위한 방안으로서 무엇이 물류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인지를 밝히고 동북아 물류허브 구축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