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논문 요지

목차

제1장 서론 10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0

1-2. 연구 범위 및 구성 12

제2장 안전관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 13

2-1. 안전관리의 개념 13

2-2. 재해방지 이론 15

2-2-1. 하인리히의 사고연쇄반응이론 15

2-2-2. 프랑크 버드 주니어의 사고연쇄반응 이론 17

2-2-3. 에드워드 애덤스의 사고 연쇄반응이론 21

2-2-4. 웨버의 사고연쇄반응 이론 22

2-2-5. 마이클 자베타키아의 사고연쇄반응이론 23

2-3. 군 안전관리를 위한 3E 접근 방법 24

2.3.1. 기술(Engineering)적 방법 24

2.3.2. 교육(Education)적 방법 25

2.3.3. 규제(Enforcement)적 방법 26

2-4. 사업장 안전보건경영시스템 (OHSMS) 27

2.4.1. 안전경영시스템의 배경 및 정의 27

2.4.2.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기본원리와 구성 28

2.4.3.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적용과 운영 30

제3장 군 안전관리 체계 현황 32

3-1. 군 조직의 특성 및 사고유형 32

3-1-1. 군 조직의 특성 32

3-1-2. 군 사고의 유형 35

3-2. 군 안전관리체계의 현황 37

3-2-1. 안전관리 관련 규정 37

3-2-2. 군 안전관리 조직 42

제4장 군의 안전관리 실태 및 문제점 45

4-1. 설문분석 45

4-1-1. 조사 대상 및 자료 수집 45

4-1-2. 연구도구 및 설계 45

4-2. 군 안전관리 특성 결과 분석 46

4.2.1. 일반현황 분석 46

4.2.2. 사고예방교육 여부 47

4.2.3. 국방부 훈령 인지 여부 49

4.2.4. 사고예방교육의 주제 50

4.2.5. 교육의 담당자 51

4.2.6. 교육의 방법 52

4.2.7. 안전교육 담당자 수준 53

4.2.8. 안전교육의 기여도 정도 54

4.2.9. 재해의 형태 55

4-3. 군 안전관리체계상의 문제점 56

4-3-1. 안전관리 개념 및 범위의 혼란 56

4-3-2. 안전관리 규정 미흡 56

4-3-3. 안전 담당인력의 전문성 부족 57

4-3-4. 안전관리 교육훈련 프로그램 부족 58

4-3-5. 부대 안전관리 기술 및 시스템의 개발 미약 58

4-3-6. 안전관리 체계 DB 미흡 61

제5장 군의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62

5-1. 위험성 평가 기법 62

5-1-1. 체크리스트법(Checklists) 62

5-1-2. 안전성 검토(Safety Review) 63

5-1-3. 상대위험 순위 결정법(Relative Ranking Dow and Mond Hazard Indices) 64

5-1-4. 예비 위험 분석법(PHA, Preliminary Hazard Analysis) 64

5-1-5. What if 분석법(What if Analysis) 65

5-1-6. HAZOP Study(Hazard and Operability Study) 66

5-1-7. 고장모드 영향 분석법(FMEA,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68

5-1-8. 결함수목 분석법(FTA, Fault Tree Analysis) 68

5-1-9. 사건수목 분석법(ETA, Event Tree Analysis) 69

5-1-10. 원인결과 분석법(CCA, Cause Consequence Analysis) 69

5-1-11. 인간오류 분석법(HEA, Human Error Analysis) 70

5-2. 군 안전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70

5-2-1. 군 안전경영시스템 개발 방안 70

5-2-2. 안전관리 담당부서의 정비보완 74

5-2-3. 군 안전관리 지원 방안 75

5-2-4. 안전관리자(담당자)의 전문성 향상 77

제6장 결론 78

참고 문헌 80

Abstract 82

감사의 글 84

설문지 85

표목차

표 1. 일반사회와 군사회간의 특성상 차이점 35

표 2. 군 사망사고 현황 36

표 3. 국방부 및 각군의 안전관리 관련 규정 38

표 4. 군 국방부 훈령 제803호 사고예방 규정 제4조 및 제5조 39

표 5. 국방부 및 각 군의 안전관리 관련 조직 42

표 6. 설문 응답자 현황 46

표 7. 응답자의 일반현황 분석 47

표 8. 연간 교육 횟수 48

표 9. 국방부 훈령 인지 여부 49

표 10. 사고예방교육의 주제 50

표 11. 교육의 담당자 51

표 12. 교육의 방법 52

표 13. 안전교육 담당자 수준 53

표 14. 안전교육의 기여도 54

표 15. 재해의 형태 55

그림목차

그림 1. 하인리히의 재해구성 비율 17

그림 2. 설문 응답자 현황 46

그림 3. 사고예방교육 여부 47

그림 4. 년간 교육 횟수 48

그림 5. 국방부 훈령 인지 여부 49

그림 6. 사고예방교육의 주제 50

그림 7. 교육의 담당자 51

그림 8. 교육의 방법 52

그림 9. 안전교육 담당자 수준 53

그림 10. 재해의 형태 55

그림 11. HAZOP 분석을 위한 모형도 67

그림 12. 군 안전관리경영시스템 모델 71

초록보기

20대의 남성들이 집단적으로 모여 있는 군대에서는 훈련 중 발생되는 상황의 긴박성, 부주의에 의한 사고, 체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훈련과 작업 등으로 인한 많은 사건 사고 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안전사고에 의한 인적·물적 비 전투손실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은 군의 전력보호와 사기유지에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사고로 인한 전투력 자원을 손실하는 것은 임무수행력을 상실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또한, 개인적인 측면에서 영구적인 장해를 초래하거나 사망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군의 사기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국민이 갖는 군에 대한 신뢰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매년 20만여 명이 군에 입대하고 전역하여 사회에 환원함으로써 대부분의 성인 남성이 군과 관련을 맺고 있는 상황에서 군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모든 국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로 사고에 대한 예방과 안전관리가 시급하다.

실제로 현재까지도 군의 안전관리 실행 방식은 부대지휘관이나 담당자의 경험에 바탕으로 하는 요령과 상급부대로부터 내려오는 산발적인 안전관리 지침에 크게 의존하는 방식으로 선진국에 비해 다소 후진적인 안전관리 형태를 취하고 있다.

군 안전관리를 전반적으로 볼 때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한 기반체계인 안전관리 조직, 교육, 기술, 정보 등 발전이 부족한 상태에서 부대 자체적인 안전 활동의 강화를 독려 하는 것은 군 안전관리 발전에 저해하는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자체적인 군 안전관리를 위해서라도 군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