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8
I. 서론 10
1. 연구목적 및 의의 10
2. 연구문제 13
II. 이론적 배경 15
1. 트렌디드라마와 패션 15
2. 남성패션과 성이미지 19
3. 남성패션의 변화와 성이미지 23
III. 연구방법 53
1. 연구대상 53
2. 자료수집 절차 54
3. 자료분석 55
IV. TV 트렌디드라마에 나타난 남성패션의 성이미지 유형분석 58
1. 드라마별 남성패션 분석 58
1) 꽃보다 남자 58
2) 내조의 여왕 72
3) 찬란한 유산 83
2. TV 트렌디드라마 속 남성패션의 성이미지 유형분석 결과 91
V. 결론 및 제언 95
참고 문헌 99
부록 104
부록 1. 드라마 별 분석대상 포지셔닝 104
부록 2. I.R.I 이미지 단색 스케일 107
그림 1. 연구의 흐름도 14
그림 2. 메트로섹슈얼 성이미지 포지셔닝 37
그림 3. 레트로섹슈얼 성이미지 포지셔닝 40
그림 4. 위버섹슈얼 성이미지 포지셔닝 43
그림 5. 크로스섹슈얼 성이미지 포지셔닝 46
그림 6. 개스트로섹슈얼 성이미지 포지셔닝 49
그림 7. 21세기에 나타난 남성의 성이미지 포지셔닝 52
그림 8. 구준표 성이미지 포지셔닝 61
그림 9. 윤지후 성이미지 포지셔닝 64
그림 10. 소이정 성이미지 포지셔닝 67
그림 11. 송우빈 성이미지 포지셔닝 70
그림 12. 꽃보다 남자 성이미지 포지셔닝 71
그림 13. 허태준 성이미지 포지셔닝 75
그림 14. 한준혁 성이미지 포지셔닝 78
그림 15. 온달수 성이미지 포지셔닝 81
그림 16. 내조의 여왕 성이미지 포지셔닝 82
그림 17. 선우환 성이미지 포지셔닝 86
그림 18. 박준세 성이미지 포지셔닝 89
그림 19. 찬란한 유산 성이미지 포지셔닝 90
그림 20. TV 트렌디드라마 속 남성패션의 성이미지 포지셔닝 93
그림 21. 남성 패션의 성이미지 유형별 분석 94
사진 1. 모닝코트를 입고 있는 에드워드 7세 25
사진 2. 외출복 차림의 레이먼드 러셀 25
사진 3. 외출복 차림 25
사진 4. 프랑스 스타일과 미국 스타일의 신사복 27
사진 5. 폭 넓은 바지와 더블 브레스티드 재킷의 슈트 27
사진 6. 주티의 모습 27
사진 7. 테디보이의 모습 28
사진 8. 모즈의 모습 28
사진 9. 히피의 모습 28
사진 10. 유니섹스 룩 29
사진 11. 런던 킹스로드의 펑크 모습 29
The men's fashion that hasn't gone through any big change due to traditional and patriarchy considerations has recently due to male's change of gender role and perception on fashion and appearance has come to freely expressing their fashion sense and sexual image. In following this periodic chang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n's fashion to emerge that reflects diverse aspects of men's gender role, change of sexual identity, various sexual image as much as individual'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type of modern male's sexual image which is the key clue to predict 21th century men's fashion market by analyzing men's fashion through recent TV trendy drama programs that will work as a basic data to dominate the advantage in marketing by dealing with the fast transferring men's fashion market.
Three dramas were selected with a program ratings that exceeds 30% and popular among various range in age through TV trendy dramas from January to July of 2009. Nine male celebrities with distinct characters in each of the drama were picked out and their fashion style was analyzed. The fashion style type was analyzed by silhouette, details, materials, color, accessories, and hair styl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by investigating the five types of male's fashion style of 21th century men's fashion sexual image of Metro sexual, Retro sexual, Uber sexual, Cross sexual, and Gastro sexual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show that man cloths are strongly becoming femininity oriented. Thus, the use of tight silhouette, brilliant chromatic colors, use of high saturation colors, mix matched new composed materials, and light materials are dominant.
Second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exual image patterns of male celebrities of domestic TV trendy dramas shows that nine of the male celebrities expressed diversified sexual images in dramas but the Retro sexual, Cross sexual, and Gastro sexual trait of character were not salient. Rather the Metro sexual with a concept of femininity combined on masculinity and Uber sexual based on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concept are most prominent in modern fashion.
Third of all, the Metro sexual of 2009 showed that the femininity orientation to be higher than the past. The character of the silhouette showed emphasize on waist line and tight pants line, with a lot of big and brilliant pattern, use of ruffles, frills, beads, knit wear and diversity in the tone of colors. Various accessories can be seen as a character of Metro sexual. Short hair styles and a simple shape of change from it of the past, in today changed into varied hair length, perms, and dyes and also colors showed bright browns.
Fourthly, Uber sexual of 2009 shows differences, in the past holding neat and straight line silhouettes but today shows slim silhouettes. In color and detail, dark and heavy colors where used but today, various tone changes and detailed changes of materials are used and expressed as mix matches in those dark colors. Accessories present change of design or details but shows no mutation in masculinity image. Past up style hair or natural hairstyles turns up to be diversified with waves.
Hence, the results show that a lot of radical change has happened in the men's fashion, and marketing propositions that reflects this change in men's fashion market are requested along with trendy emotional product development and coordination proposals, and finally calls for more multilateral study and market search of male consumer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