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I. 서론 13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3
1) 우리나라의 건강검진 환경과 문제점 13
2) 기존의 연구 21
2. 연구 목적 30
II. 이론적 고찰 31
1. 건강검진의 정의와 역사 31
1) 건강검진의 정의 31
2) 건강검진의 역사 35
2. National Screening Program의 실시 원칙과 권고안 41
1) 건강검진의 실시원칙(Screening Criteria) 41
2) 건강검진 권고안 46
III. 연구 대상 및 방법 52
1. 연구 자료 52
2. 분석 모형 56
3. 분석 대상 및 방법 59
IV. 연구 결과 64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4
2. 건강검진 수검 현황 66
1) 성별·연령대별 수검 현황 66
2) 건강검진 종류별 수검현황 68
3) 5대암 평생 수검 현황 72
3. 건강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3
1) 사회경제적 요인과 수검 여부 73
2) 건강행태 요인과 수검 여부 76
3) 건강검진과 암검진의 수검 관련 요인 분석 83
4. 민간 검진과 국가 검진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9
1)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검진 종류 89
2) 건강행태 요인과 건강검진 종류 92
3) 민간 검진과 국가 검진 선택 관련 요인 분석 99
V. 고찰 104
1.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104
2. 정책적 제언 111
3. 연구의 제한점 124
VI. 결론 126
참고문헌 128
부록 :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검진 조사문항과 수정안 134
Abstract 137
표 1. 건강보험 건강검진의 주요 연혁 15
표 2. OECD 평균에 대한 우리나라 주요 보건의료 지표 비교 18
표 3. 건강보험 건강검진 연령대별 수검률('06, 공단) 27
표 4. WHO Screening Criteria 42
표 5. 영국 국가검진위원회 실시원칙 44
표 6. 우리나라의 건강검진 실시 원칙 45
표 7. USPSTF 권고안 도출 과정 47
표 8. 미국 USPSTF 권고안과 영국 NSC 권고안 49
표 9. 국내 연구진의 성인기 건강검진 권고안(이원철 등, 2006) 51
표 10.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2007) 조사 항목 53
표 11 건강검진 수검 여부 및 건강검진 종류 조사 문항 54
표 12. 건강검진 종류의 재분류 63
표 1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5
표 14. 성별 건강검진 수검 현황 66
표 15. 건강검진 종류별 수검 현황 68
표 16. '기타' 건강검진 및 '기타' 암검진 69
표 17. 성별·연령별 건강검진 종류 71
표 18. 성별·연령별 암검진 종류 71
표 19.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평생 수검 현황 72
표 20. 대장암, 간암 평생 수검 현황 72
표 21.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검진 수검 여부 74
표 22. 사회경제적 요인과 암검진 수검 여부 75
표 23. 인지적 요인과 건강검진 수검 여부 77
표 24. 인지적 요인과 암검진 수검 여부 77
표 25. 수검군과 미수검군의 VAS와 EQ-5D 평균치(Mean±S.D) 비교 77
표 26. 건강위험 요인과 건강검진 수검 여부 78
표 27. 건강위험 요인과 암검진 수검 여부 79
표 28. 건강실천 요인과 건강검진 수검 여부 81
표 29. 건강실천 요인과 암검진 수검 여부 82
표 30. 건강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친 요인(univariate analysis) 85
표 31. 건강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친 요인(multiple regression model) 87
표 32. 암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친 요인(multiple regression model) 88
표 33.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검진 종류 90
표 34. 사회경제적 요인과 암검진 종류 91
표 35. 인지적 요인과 건강검진 종류 93
표 36. 인지적 요인과 암검진 종류 93
표 37. 건강검진 종류별 VAS와 EQ-5D 평균치(Mean±S.D) 비교 93
표 38. 건강위험 요인과 건강검진 종류 94
표 39. 건강위험 요인과 암검진 종류 95
표 40. 건강실천 요인과 건강검진 종류 97
표 41. 건강실천 요인과 암검진 종류 98
표 42. 국가 검진 대비 민간 검진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univariate analysis) 101
표 43. 민간 건강검진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multiple regression model) 103
표 44. 민간 암검진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multiple regression model) 103
표 45. 건강검진 대상자에게 제공하여야 하는 정보 122
그림 1. 건강보험 건강검진의 보험재정 추이('00~'08); 국민건강보험공단 15
그림 2. 우리나라의 건강검진 종류 17
그림 3. 일반검진 수검률 추이('01~'08) 24
그림 4. 암검진 수검률 추이('02~'07) 25
그림 5. 분석 모형 58
그림 6. 분석 대상 60
그림 7. 연령대별 수검현황 67
그림 8. 민간 검진과 국가 검진 수검 현황 70
그림 9. 신체활동, 체중 조절 노력과 건강검진 수검 여부 81
그림 10. 신체활동, 체중 조절 노력과 암검진 수검 여부 82
그림 11. 신체활동, 체중 조절 노력과 건강검진 종류 97
그림 12. 신체활동, 체중 조절 노력과 암검진 종류 98
연구 배경 : 건강검진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 치료하여 의료비를 절감할 목적으로 실시된다. 우리나라는 건강보험 건강검진을 비롯하여 다양한 국가 검진 제도가 있으며, 민간 검진 시장도 확대일로에 있지만 검사 중심의 검진을 선호하고, 검진의 위해에 대해 고려하지 않아 무분별하게 검진이 실시되는 측면이 있다. 2005년 이후 정부는 꾸준히 제도 개선을 시도하고 있지만, 자칫 선별검사(screening)의 기능을 고려하지 않고 국민의 요구에만 맞춘 비효율적인 정책이 우려된다.
연구 목적 : 민간 검진 이용자와 국가 검진 이용자의 건강검진과 암검진 수검에 관련된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 건강검진의 정의와 역사, 실시 원칙 등을 고찰하여 효율적인 건강검진 정책 추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 방법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2007) 조사의 원자료 중 건강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만 19세 이상으로서 건강검진 수검 여부에 응답한 2,978명으로 이들의 건강검진과 암검진 수검 관련 요인을 각각 분석한 후 이 중 건강검진과 암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민간 검진과 국가 검진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변수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행태 요인으로 크게 구분하였고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성, 연령, 교육 수준 등의 소인성 요인과 소득 수준, 거주지역 등 가능성 요인을, 건강행태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과거력 등 건강 인지적 요인과 흡연, 음주, 스트레스 등 건강위험 요인, 체중 조절, 운동 실천 등 건강실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연구대상자의 최근 2년간 건강검진 수검률은 51.9%, 암검진 수검률은 38.1%이었다. 건강검진 수검 요인으로 대부분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흡연, 음주, 체중 조절 등이 작용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고 평소 건강행동을 실천하고 있을 경우 수검 가능성이 높았다. 암검진은 건강검진에 비해 거주지역, 흡연, 음주와 관련이 없는 반면에, 과거력과 관련이 있어 평소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덜하더라도 일단 검진을 받기로 결정하였을 때 수검이 가능한 외부 조건에 영향을 덜 받을 가능성이 있었다. 건강검진의 민간 검진 이용률은 21.6%에 불과하였지만 암검진의 민간 검진 이용률은 50.7%로 암검진시 민간 검진을 이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고 건강검진은 직장검진이 대표적인 국가 검진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 종류는 교육 수준, 거주 지역, 경제활동 상태, 스트레스, 체중 조절 노력이 선택 요인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고 건강 행동이 적절할수록 민간 검진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에 암검진은 연령, 거주 지역, 체중 조절 노력이 민간 암검진 선택 요인이었다.
결론 : 민간 검진 이용자와 국가 검진 이용자의 건강검진과 암검진 수검에 관련된 요인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건강검진 정책을 위해 국가 검진에서 중점 투자할 경우 수검 효과가 큰 대상을 특화하고, 민간 검진 이용자가 근거에 기반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OECD Health Data, 2008 | 미소장 |
2 | 보건학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 미소장 |
3 | 의료보장과 의료체계, 계축문화사, 2002 | 미소장 |
4 | 피보험자 건강진단의 비용-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인구 및 보건개발연구소. 1987. 11 | 미소장 |
5 | 건강진단 업무의 효율적 추진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국민건강보험공단, 1995. 10 | 미소장 |
6 | 건강검진의 비용-효과 분석-제2형 당뇨 건강검진 중심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2006 | 미소장 |
7 | 보건경제학. 나남출판사. 2006 | 미소장 |
8 | 국가 건강검진 사업의 경제성 평가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국민건강증진기금 정책연구. 2008 | 미소장 |
9 | 우리나라 건강보험 검진의 검진항목 및 검진 주기의 타당성 검토 및 재정 추계 연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국민건강보험공단. 2003 | 미소장 |
10 | 건강검진 검사항목 타당성 평가 및 의료비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국민건강증진연구소/국민건강보험공단. 2005 | 미소장 |
11 | 건강검진과 의료비 지출의 심층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국민건강증진연구소/국민건강보험공단. 2005 | 미소장 |
12 | 건강검진 지침 개발 및 건강검진 제도 개선(I).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국민건강증진기금 정책연구. 2006 | 미소장 |
13 | Factors affecting on the compliance of he health screening program : A study for the insured in a district medical insurance association | 소장 |
14 | The Effect of Socioecinomic Factors on Health Screening in Korea : The 2001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s (KNEHANS) | 소장 |
15 | 우리나라 5대 암 검진대상 인구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2007;7(3):157-164 | 미소장 |
16 | Disparities in Participation in Health Examination by Socio-economic Position among Adult Seoul Residents | 소장 |
17 |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Preventive Services among the Elderly: Results from Medical Checkup, Cancer Check, and BP Check | 소장 |
18 | Trend of Socioeconomic Inequality in Participation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among Korean Women | 소장 |
19 |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have Stomach Cancer Screening | 소장 |
20 | 예방책 채택과정(Precaution Adoption Process Model) 모형을 활용한 일반시민들의 암 검진 행태 조사 | 소장 |
21 | Analysis of Behavioral Stage in Pap Testing by Using Transtheoretical Model | 소장 |
22 |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the Stage of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among the Woman who are Eligible for the Korean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 소장 |
23 | An Analysis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in a City | 소장 |
24 |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and Cancer Screening Using Preventive Programs from Health Insurance among Women of a Community | 소장 |
25 | Cancer Screening Rates and its Related Factors in a Rural and Urban Communities | 소장 |
26 |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Korea | 소장 |
27 | Factors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Screening of Koreans Based on a Socio-ecological Model | 소장 |
28 | Participation Rate and Related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 소장 |
29 | 건강검진 실시기준. 보건복지가족부. 2009. 1 | 미소장 |
30 | 대한예방의학회. 예방의학. 계축문화사. 2007 | 미소장 |
31 | Principles and Practice of Screening for Disease. Geneva: WHO. 1968 | 미소장 |
32 | US Commission on Chronic Illness. Chronic Illness in the US. Vol I. Prevention of Chronic Illnes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57 | 미소장 |
33 | http://www.nsc.nhs.uk | 미소장 |
34 | Health Departments of the United Kingdom. Second Report of the National Screening Committee. 2000. 8 | 미소장 |
35 |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
미소장 |
36 | 21세기에서의 건강관리. 의료보험회보 1997. 7 | 미소장 |
37 | Evaluation of cancer screening. Springer. 1996 | 미소장 |
38 | Historical changes in the objectives of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
미소장 |
39 | A SYSTEM OF PERSONAL BIOLOGIC EXAMINATIONS THE CONDITION OF ADEQUATE MEDICAL AND SCIENTIFIC CONDUCT OF LIFE. ![]() |
미소장 |
40 | 정기건강검진의 역사적 변화 | 소장 |
41 | Preventive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1900-1975 Trends and Interpretations. New York Science History. 1975 | 미소장 |
42 | Periodic health examinations. ![]() |
미소장 |
43 | Policy Brief: Screening in Europe. WHO, on Behalf of the European Observatory on Health Systems and Policies. 2006 | 미소장 |
44 | Principles and Procedures in the Evaluation of Screening for Disease. PHS publication no. 846. Public Health Monograph no. 67. Washington: Public Health Service. 1961 | 미소장 |
45 | (ed.). Screening in Medical Care: Reviewing the Evidenc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for the Nuffield Provincial Hospitals Trust. 1968 | 미소장 |
46 | Periodic Health Examination. J Korean Acad Fam Med. 1997;18(S8):39-52 | 미소장 |
47 | http://www.ctfphc.org | 미소장 |
48 | http://www.ahrq.gov/clinic/uspstfix.htm | 미소장 |
49 | 대한가정의학회. 개정판 한국인의 평생건강관리. 계축문화사. 2003 | 미소장 |
50 | Revisting wilson and Jungner in the genomic age: a review of screening criteria over the past 40 years ![]() |
미소장 |
51 | 국가건강검진 권고 원칙 및 권고안 개발 과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질병관리본부. 2008. 12 | 미소장 |
52 | Current Process of the USPSTF: Refining Evidence-Based Recommendation Development. Ann Intern Med. 2007;147:117-122 | 미소장 |
53 | Which Prescriptive Screening Programmes Are Worth While? ![]() |
미소장 |
54 | USPSTF. The Guide to Clinical Preventive Services. 2008 | 미소장 |
55 | 2007-2009 국내 삼일열 말라리아 사망자 3례 보고 | 소장 |
56 | A behavioral model of families' use of health services. Research Series No. 25. Chicago, II, Center for health Administration Studies, The University of Chicago. 1968 | 미소장 |
57 |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 |
미소장 |
58 | Cancer Screening Rate and Related Factors in Rural Area | 소장 |
59 | Behavioral Changes to avoid Health Risk Factors after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소장 |
60 | 종합건강검진센타의 내용 분석 및 개선점에 관한 고찰 : 한 중소병원의 종합건강검진센터를 중심으로 | 소장 |
61 |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ho Wanted Comprehensive Health check-up | 소장 |
62 | 건강검진․암검사 수검행태 연구. 가톨릭 의과대학/국민건강보험공단. 2003 | 미소장 |
63 | 보건의료인력수급의 정책결정에 관한 연구 | 소장 |
64 | Analyses of the Non-Examinees’ Characteristics for the Effective Health Screening Management | 소장 |
65 | 일본 후생노동성. www.mlhw.go.jp/bunya/kenkou/seikatsu/index.html | 미소장 |
66 | 國民衛生의 動向. 재단법인 일본 후생통계협회. 2007 | 미소장 |
67 | Evaluation of Scientific Evidence for Health Screening Tests Provided by Some Hospitals in Korea | 소장 |
68 | Comparison of Patient's desire, Physician's Recommendation and Health Examination Center's Performance on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소장 |
69 |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Seeking Comprehensive Health Check-ups | 소장 |
70 | Screening For Cardiovascular Risk: Public Health Imperative Or Matter For Individual Informed Choice? ![]() |
미소장 |
71 | 건강검진의 체계적 질관리 방안. 중앙대학교 의과대학/국민건강보험공단. 2007. 12 | 미소장 |
72 | 평생건강검진체계 구축 및 검진의 효율성 제고 방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국민건강증진기금 정책연구. 2007. 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