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0
1. 연구목적 및 의의 10
2. 연구내용 및 범위 12
1) 연구 내용 12
2) 연구범위 13
3. 연구방법 및 제한점 13
4. 용어 설명 14
Ⅱ. 이론적 배경 16
1. 육군사관학교의 역사 16
2. 사회변동 이론 23
1) 사회변동의 정의와 의미 23
2) 사회변동 이론 25
3) 사회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7
4) 근대화 시기의 급속한 사회변동 28
3. 사회변동과 복식과의 관계 30
Ⅲ. 육군사관학교 제복의 변천 32
1. 정복 32
1) 초창기 (1946년~1953년) 33
2) 과도기(1954-1973) 40
3) 정립기(1974-1993) 47
4) 발전기(1994-2006) 49
2. 예복 54
1) 초창기 (1946년~1953년) 54
2) 과도기 (1954년~1973년) 54
3) 정립기 (1974년~1993년) 59
4) 발전기 (1994년~2006년) 61
3. 근무복 65
1) 초창기 (1946년~1953년) 65
2) 과도기 (1954년~1973년) 65
3) 정립기 (1974년~1993년) 67
4) 발전기 (1994년~2006년) 70
4. 외투 75
1) 초창기 (1946년~1953년) 75
2) 과도기 (1954년~1973년) 75
3) 정립기 (1974년~1993년) 78
4) 발전기 (1994년~2006년) 79
Ⅳ. 사회변동 이론과 육군사관학교 제복 87
1. 정치적 요인 87
1) 정치 상황 88
2) 근대화 이론 90
2. 경제적 요인 92
1) 의생활 수준의 향상 92
2) 의복의 다양화와 장식성 94
3. 문화적 요인 98
1) 대중매체의 발달 98
2) 가치관의 변화 100
3) 한국화 102
4) 상징성 104
Ⅴ. 요약 및 결론 108
참고문헌 112
〈그림 1〉육사 1기생의 일본식 정복(1946)『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24. 33
〈그림 2〉휘장『육군사관학교 50년사』, p. 47. 34
〈그림 3〉육사 휘장『육군사관학교 60주년 화보집』 34
〈그림 4〉초창기 제복의OTS 휘장『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24. 35
〈그림 5〉1940년대 일본 군복 『日本の軍服-幕末から現代まで』, p.102 35
〈그림 6〉일본 군복과 미국 군복이 혼합된 형태의 정복(1946~1947)『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25. 36
〈그림 7〉소매 상단의 육사 휘장 1955년 졸업생 앨범 37
〈그림 8〉미군의 아이크 자켓 군복 West Point: The I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p. 11. 37
〈그림 9〉정복(1948~1952) 1948년(제7기생) 졸업생 앨범 38
〈그림 10〉정복(1948~1953)『육군사관학교50주년 사진집』 p.191. 39
〈그림 11〉당시 미국장교가 착용하였던 군복 1957년 졸업생 앨범 39
〈그림 12〉동정복(1953~1970) 1955년 졸업생 앨범 40
〈그림 13〉미국 육사의 Dress Gray The Corps of Cadets, P. 101. 41
〈그림 14〉미국 육사의 Dress Gray over White The corps of codets, p. 101. 41
〈그림 15〉1936년 미국 육사의 Dress Gray Thecorps of codets, p. 39. 41
〈그림 16〉동정복(1970~1984) 1973년 졸업생 앨범 42
〈그림 17〉동정복 『한국의 군복식발달사 Ⅱ』, p. 164. 42
〈그림 18〉하정복(1953~1956) 1955년 졸업생 앨범 43
〈그림 19〉하정복(1957~1970 1959년 졸업생 앨범 43
〈그림 20〉하약정복(1968~1969) 1969년 졸업생 앨범 44
〈그림 21〉하약정복(1969~1984, 우측) 1968년 졸업생 앨범 45
〈그림 22〉미국 육사의 Dress White over Gray The Corps of cadets, p. 102. 46
〈그림 23〉미국 육사의 dress White over Gray The Corps of Cadets, p. 96. 46
〈그림 24〉하정복(1969~1984) 1973년 조업생 앨범 46
〈그림 25〉하정복『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19 46
〈그림 26〉동정복『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189. 47
〈그림 27〉동정복(1984~현재) 1987년 졸업생 앨범 47
〈그림 28〉하정복『한국의 군복식발달사 Ⅱ』, p. 166. 48
〈그림 29〉하정복(1984~현재) 1987년 졸업생 앨범 48
〈그림 30〉여생도의 동정복(1999년) 2007년 졸업생 앨범 49
〈그림 31〉하약정복(1999년) 1999년 졸업생 앨범 50
〈그림 32〉동(冬)예복(1953~1956) 1955년 졸업생 앨범 54
〈그림 33〉하(夏)예복(1953~1956) 1955년 졸업생 앨범 54
〈그림 34,35,36〉미국 육사의 Full Dress Gray와 Full Dress Gray Over White Rovert Stewart, The Corps of Cadets, p. 101. 56
〈그림 37〉예복(1957~1967) Korea 20 Years in Pictures 표지 57
〈그림 38〉예복(1968~1973) 1969년 졸업생 앨범 58
〈그림 39〉예복『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191. 59
〈그림 40〉예복(1974~1983)『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102. 59
〈그림 41〉운호 장식(1974~1984)『한국의 군복식발달사 Ⅱ』, p. 161. 60
〈그림 42〉예복『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189. 61
〈그림 43〉예복(1984~현재) 1987년 졸업생 앨범 61
〈그림 44〉예복(1999년) 육군사관학교 60주년 화보집 62
〈그림 45〉동(冬)근무복(1953~1954) 1955년 졸업생 앨범 65
〈그림 46〉하(夏)근무복(1953~1954) 1955년 졸업생 앨범 65
〈그림 47〉동(冬)근무복(1955~1974) 1959년 졸업생 앨범 66
〈그림 48〉하(夏)근무복(1961~1967) 1967년 졸업생 앨범 67
〈그림 49〉동·하근무복(1975~1980)『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193. 68
〈그림 50〉하근무복 1978년 졸업생 앨범 68
〈그림 51〉동근무복(1981~1994)『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193. 69
〈그림 52〉동근무복 1987년 졸업생 앨범 69
〈그림 53〉하근무복(1981~1994) 1987년 졸업생 앨범 70
〈그림 54〉하근무복 1987년 졸업생 앨범 70
〈그림 55〉동근무복(1995~현재) 1999년 졸업생 앨범 71
〈그림 56〉하근무복(1995~현재) 1999년 졸업생 앨범 72
〈그림 57〉반코트(1953~1969) 육군사관학교 60주년 화보집 75
〈그림 58〉반코트(1953~1969) 1955년 졸업생 앨범 75
〈그림 59〉미디코트(1959~1970) 1959년 졸업생 앨범 76
〈그림 60〉생도점퍼(1969~1984) 1973년 졸업생 앨범 77
〈그림 61〉외투(1970~1983) 1973년 졸업생 앨범 78
〈그림 62〉외투『육군사관학교 50년 사진집』, p. 189. 78
〈그림 63〉외투(1984~현재)『한국의 군복식발달사 Ⅱ』, p. 169. 79
〈그림 64〉외투 1987년 졸업생 앨범 79
〈그림 65〉부활된 반코트(1994~현재) 1996년 졸업생 앨범 80
〈그림 66〉생도점퍼(1984~현재) 2007년 졸업생 앨범 80
〈그림 67〉외투 2003년 졸업생 앨범 81
〈그림 68〉스웨터 2003년 졸업생 앨범 81
〈그림 69〉모표(帽標)-1963년 제정 84
〈그림 70〉휘장 및 학년장 (1951~) 84
〈그림 71〉견장 (1959~) 84
〈그림 72〉육군사관생도 근무직위장(1972년 이후) 8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