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감사의 글 9

국문요약 10

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2. 선행연구 검토 16

3. 연구대상 21

Ⅱ. 청소년기 뇌기능 및 뇌파의 특징 22

1. 청소년기 뇌의 변화 22

1) 청소년기 뇌의 특징 23

2) 연령, 성차(性差)에 따른 청소년기의 변화 28

2. 청소년기 뇌파의 특징과 뉴로피드백 원리 33

1) 청소년기 뇌파의 특징 33

2) 뉴로피드백 훈련의 원리 37

Ⅲ. 연구방법 42

1. 연구방법 42

2. 연구설계 및 연구대상 분포 43

3. 용어의 정의 45

Ⅳ. 연구결과 51

1. 뇌지수 형성의 요인분석 51

2. 집단 간의 차이검증 56

3. 초등학생의 뉴로피드백 훈련 효과성 검증 59

1) 초등학교 실험군의 효과성 검증 59

2) 초등학교 남자와 여자의 차이 검증 63

4. 중학생의 뉴로피드백 훈련의 효과성 검증 67

1) 중학교 실험군의 효과성 검증 67

2) 중학교 남자와 여자의 차이 검증 71

5. 고등학생의 뉴로피드백 훈련의 효과성 검증 76

1) 고등학교 실험군의 효과성 검증 76

2) 고등학교 남자와 여자의 차이 검증 80

6. 학교급별(연령별), 성별 효과성 검증 결과 종합 85

1) 학교급별(연령별) 효과성 검증 결과 종합 85

2) 성별 효과성 검증 결과 종합 92

Ⅴ. 논의 및 결론 103

1. 연구결과 논의 103

1) 연령별 경향성 논의 103

2) 성별에 따른 경향성 논의 112

2. 종합적 논의 120

3. 결론 및 제언 128

참고문헌 132

Abstract 142

표목차

〈표Ⅲ-1〉 뉴로피드백 훈련 효과성 실험을 위한 사전사후 설계 44

〈표Ⅲ-2〉 실험자 표본 분포 44

〈표Ⅲ-3〉 뉴로하모니 뇌기능분석의 지수 종류와 특성 46

〈표 Ⅳ-1〉 뇌지수 평가를 위한 총분산 51

〈표 Ⅳ-2〉 뇌기능 평가에 관련된 지수들의 패턴행렬 52

〈표 Ⅳ-3〉 실험군과 비교군의 차이검증 결과 57

〈표 Ⅳ-4〉 초등학교 실험군의 효과성 검증 60

〈표 Ⅳ-5〉 초등학교 남자와 여자의 차이 검증 결과 64

〈표 Ⅳ-6〉 중학교 실험군의 효과성 검증 68

〈표 Ⅳ-7〉 중학교 남자와 여자의 차이 검증 결과 72

〈표 Ⅳ-8〉 고등학교 실험군의 효과성 검증 77

〈표 Ⅳ-9〉 고등학교 남자와 여자 차이 검증 결과 81

〈표 Ⅳ-10〉 학교급별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종합 85

〈표 Ⅳ-11〉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종합 92

〈표 Ⅳ-12〉 학교급별(연령별) · 성별 결과 종합 99

〈표 Ⅴ-1〉 연령별 세타값의 비교 104

〈표 Ⅴ-2〉 연령별 주의지수 평균값의 변화량 105

〈표 Ⅴ-3〉 연령별 활성지수 평균값의 변화량 107

〈표 Ⅴ-4〉 연령별 항스트레스지수 평균값의 변화량 109

〈표 Ⅴ-5〉 연령별 좌우뇌균형지수 평균값의 변화량 110

〈표 Ⅴ-6〉 성별 세타값 비교 112

〈표 Ⅴ-7〉 성별 주의지수 평균값의 변화량 114

〈표 Ⅴ-8〉 성별 활성지수 평균값의 변화량 116

〈표 Ⅴ-9〉 성별 정서지수 평균값의 변화량 117

〈표 Ⅴ-10〉 성별 항스트레스지수 평균값의 변화량 118

〈표 Ⅴ-11〉 성별 좌우뇌균형 평균값의 변화량 119

그림목차

[그림 Ⅲ-1] 연구대상과 연구절차 43

[그림 Ⅳ-1] 뇌지수 평가에 관련된 요인 간의 클러스터 55

[그림 Ⅳ-2] 연령별 자기조절지수의 결과 비교 87

[그림 Ⅳ-3] 연령별 긴장도의 결과 비교 88

[그림 Ⅳ-4] 연령별 주의지수의 결과 비교 89

[그림 Ⅳ-5] 연령별 활성지수의 결과 비교 89

[그림 Ⅳ-6] 연령별 정서지수의 결과 비교 90

[그림 Ⅳ-7] 연령별 항스트레스지수의 결과 비교 91

[그림 Ⅳ-8] 연령별 뇌지수의 결과 비교 91

[그림 Ⅳ-9]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지수의 결과 비교 94

[그림 Ⅳ-10] 성별에 따른 긴장도의 결과 비교 95

[그림 Ⅳ-11] 성별에 따른 주의지수의 결과 비교 95

[그림 Ⅳ-12] 성별에 따른 활성지수의 결과 비교 96

[그림 Ⅳ-13] 성별에 따른 정서지수의 결과 비교 97

[그림 Ⅳ-14] 성별에 따른 항스트레스지수의 결과 비교 97

[그림 Ⅳ-15] 성별에 따른 뇌지수의 결과 비교 98

[그림 Ⅴ-1] 연령별 세타파의 변화 추이 104

[그림 Ⅴ-2] 연령별 주의지수(좌) 변화 추이 106

[그림 Ⅴ-3] 연령별 주의지수(우)의 변화 추이 106

[그림 Ⅴ-4] 연령별 활성지수(좌)의 변화추이 107

[그림 Ⅴ-5] 연령별 활성지수(우)의 변화추이 107

[그림 Ⅴ-6] 연령별 항스트레스지수(좌)의 변화추이 109

[그림 Ⅴ-7] 연령별 항스트레스지수(우)의 변화추이 109

[그림 Ⅴ-8] 연령별 좌우뇌균형지수의 변화추이 111

[그림 Ⅴ-9] 성별 세타파(좌)의 변화추이 113

[그림 Ⅴ-10] 성별 세타파(우)의 변화추이 113

[그림 Ⅴ-11] 성별 주의지수(좌)의 변화추이 115

[그림 Ⅴ-12] 성별 주의지수(우)의 변화추이 115

[그림 Ⅴ-13] 성별 활성지수(좌)의 변화추이 116

[그림 Ⅴ-14] 성별 활성지수(우)의 변화추이 116

[그림 Ⅴ-15] 성별 정서지수의 변화추이 117

[그림 Ⅴ-16] 성별 항스트레스지수(좌)의 변화추이 118

[그림 Ⅴ-17] 성별 항스트레스지수(우)의 변화추이 118

[그림 Ⅴ-18] 성별 좌우뇌균형지수의 변화추이 119

초록보기

이 연구는 청소년기 연령별·성별에 따른 뉴로피드백 훈련의 효과를 검증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초·중·고등학교 청소년을 실험군과 비교군 각각 15명씩으로 구분하여 총 90명에게 뉴로피드백 훈련을 실시하였다. 2009년 11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총 20∼25회의 훈련을 받도록 하였으며 주 2∼3회씩, 회당 20분∼50분씩 훈련을 제한하여 실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SPSS 12.0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청소년기 뇌와 뇌파는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에 대해서는 크게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우선, 청소년기 뇌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전전두엽의 발달로서 시냅스의 과잉생산, 시냅스의 전정, 그리고 수초화 과정을 통해 뇌가 정교해지고 추상적인 사고가 발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청소년기 뇌에서는 저알파파에서 고알파로의 이동, 세타파 대 저베타파의 비율 증가와 같은 뇌파의 속파화 과정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학습의 과정에 있는 청소년기에는 연령별·성별에 따라 공통적인 특징도 있지만 서로 다른 특징을 나타내며 뇌가 발달하게 된다.

둘째, 뉴로피드백 훈련에 따른 청소년기 연령별 효과는 어떻게 다른가에 대해서 이 연구에서 변수로 사용한 12개의 지수 가운데 초등학교 8개, 중학교 10개, 고등학교 5개 지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 중에서 중학교 실험군에서의 훈련 효과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네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초·중·고등학교 모두에서 주의지수와 활성지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지수의 향상은 청소년기 뇌의 전전두엽의 활성화, 학습을 방해하는 세타파와 같은 서파들이 감소되고 저알파대역에서 고알파대역으로 점점 속파화되어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초·중등학교에서 자기조절지수와 항스트레스지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뇌의 자율적인 회복 능력인 자기조절지수와 육체적·정신적 태도와 관련된 항스트레스지수의 향상은 연령이 낮을수록 보다 빠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중·고등학교에서 정서지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정서적인 안정상태를 평가하는 정서지수는 연령이 높을수록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초·중·고등학교 모두에서 뇌기능의 종합적 평가지수인 뇌지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뉴로피드백 훈련이 전전두엽 기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종합적으로 검증해 주는 것이었다.

셋째, 뉴로피드백 훈련에 따른 여자청소년과 남자청소년의 효과는 어떻게 다른가에 대해 남자 초등학생은 1개, 여자는 7개의 지수에서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 주었다. 남자 중학생은 7개, 여자는 4개 지수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남자 고등학생은 5개, 여자는 4개 지수에서 효과를 보여주었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뉴로피드백 훈련의 효과가 성별에 따라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자는 초등학교에서, 남자는 중학교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뇌의 변화에 있어서 여자가 남자보다 수초화를 1∼2년정도 빨리 경험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뉴로피드백 훈련의 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남자와 여자 모두 공통적으로 정서지수와 활성지수의 향상을 보고하였으나 항스트레스지수는 남자에게서만 나타났고 정서지수에서는 여자에게서만 효과를 나타냈다. 남자와 여자의 경우 스트레스와 정서를 담당하는 뇌기능적인 면에 차이가 있는데 결과적으로 뉴로피드백 훈련이 전전두엽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분명히 반영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뉴로피드백 훈련은 학습을 방해하는 세타파의 감소를 유도하고 저베타파(SMR)을 활성화해 줌으로써 청소년기 학습능력 및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뉴로피드백 훈련은 뇌의 정보처리능력을 향상하는 데 필요한 알파파와 저베타파의 활성을 유도해 줌으로써 청소년기 정보처리능력과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뉴로피드백 훈련은 델타파 및 고베타파와 같은 높은 진폭의 뇌파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두뇌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고 스트레스의 저항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의 생활태도를 주도적으로 개선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뉴로피드백 훈련은 알파파의 훈련을 통해 정서적으로 보다 안정된 상태를 만들어 줌으로써 청소년기 정서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연령별·성별에 대한 논의를 하면서 통계결과가 보여주는 논의에 집중하였는데 사실 이러한 논의가 평균적인 의미에서의 차이였지 한 개인에게 나타나는 어떤 특성을 분류하기 위한 척도를 본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밝혀두는 바이다. 아울러 이 연구결과들이 다양한 접근을 통해 재현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뉴로피드백 훈련의 효과가 국내의 경우에 임상적으로는 큰 성공을 거두고 있으나 연구실험에 대한 자료가 실제적으로 축척되고 평가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9). 신경과학 -뇌의 탐구. 서울: 바이오메디북. 미소장
2 Types of Associative Memory Task and Hippocampal Activations 소장
3 (2001). 뇌파 검사학. 서울: 고려의학. 미소장
4 중학생의 체육수업 스트레스, 정서지능, 대처행동과 수업만족도 간의 인과분석 소장
5 학교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분석 소장
6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인간중심 미술치료를 중심으로 소장
7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소장
8 인지에 관한 뇌 연구의 개괄적 고찰, 평가, 및 전망 소장
9 락싸. (2010). http://www.laxtha.com/SiteView.asp?x=7&y=32&z=33&infid=155 미소장
10 3분 미소짓기 명상이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소장
11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변인 분석 소장
12 (2008). 뇌, 생각의 출현. 서울: 휴머니스트. 미소장
13 (2000). 두뇌교육사: 뉴로피드백연구. 서울: 한국정신과학연구소. 미소장
14 (2003). 스스로 가르치는 경이로운 뇌. 지금여기 제44권, 162-189. 미소장
15 (2005a). 뉴로피드백 입문. 서울: 한국정신과학연구소. 미소장
16 (2005). 뇌파 밴드별 상호 연관성에 따른 뇌기능최적화 연구. 한국정신과학 학술대회 논문집, 21,103-108. 미소장
17 (2009). 신경세포생성 뇌- 그 신비로운 생명 이야기 5. 사색의 향기 박병운 칼럼. 미소장
18 (2003).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뇌기능 최적화 연구-임상사례중심. 한국정신과학학회 제18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64-85. 미소장
19 남자 청소년을 위한 자기조절 집단 프로그램 소장
20 A Reserch on the Effect Neurofeedback Traing before & After About Emotional and Attention Deficit Characteristics by Timeseries Linear Analysis : for Primary Student 네이버 미소장
21 바둑인의 뇌 기능 및 기력 향상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장
22 유아들의 스트레스저항 능력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미치는 영향 소장
23 브레인테크. (2010). http://www.braintech.in/v2/story/feedback.php 미소장
24 뇌파 중심의 다분야 기술융합 기반 IT뇌건강관리시스템의 개발연구 소장
25 뇌파 조절 훈련을 통한 스트레스저항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소장
26 뉴로피드백 훈련이 뇌반구 비대칭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소장
27 EEG 바이오피드백 훈련에 따른 경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뇌파 변화 소장
28 (2004). 임상 뇌파학. 서울: 고려의학. 미소장
29 스트레스, 반추,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 및 경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소장
3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earning Motivation Scale 소장
31 (1998). 임상뇌파. 서울: 일조각. 미소장
32 (2005). 신경해부생리학. 서울: 현문사. 미소장
33 고등학교 학생들의 e-Learning 교육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소장
34 일본 뉴턴프레스. (2008). 뇌와 마음의 구조(김금희 역.). 서울: 뉴턴코리아. 미소장
35 (2003).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미소장
36 두뇌체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소장
37 뉴로피드백 훈련이 유아의 뇌 기능 및 지능발달에 미치는 효과 소장
38 (2007). 행정전산실무론. 서울: 책과 사람들. 미소장
39 Study of Effect of Feedback on Task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40 (2005). 10주간의 EEG 바이오피드백 훈련에 따른 뇌파 영역별 상대적 활성도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6(2), 421-430. 미소장
41 (1994). 뇌 가소성에 관한 연구가 교육에 주는 시사점. 교육학연구, 32(3), 23-38. 미소장
42 Effect of Manipulating the Frontal EEG Asymmetry by Neuro-feedback on the Motivational Response 소장
43 전두엽 알파파 뉴로피드백의 우울증 치료효과 소장
44 (2008). 고등학생 스트레스 원인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5 (1987). 임상뇌파. 서울: 일조각. 미소장
46 전전두엽 EEG-뉴로피드백 훈련이 암환자들의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 소장
47 (1997). 뇌파학 입문(이창섭, 노재영 역.). 서울: 하나의학사. 미소장
48 (2007). 뇌파판독 Step by Step 입문편(정사준 역.). 서울: 군자출판사. 미소장
49 (2007). 뇌파판독 Step by Step 증례편(정사준 역.). 서울: 군자출판사. 미소장
50 (2010). 뇌교육 뇌치료-뉴로피드백입문(권형규 역.). 파주:교육과학사. (원저 2005 출판) 미소장
51 (2006).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황희숙 역.). 고양: 범양사. (원저 1992 출판) 미소장
52 (2005). 인지심리와 학교학습(이용남 외.). 파주: 교육과학사. (원저 1993 출판) 미소장
53 (2009). 임상 및 실험 신경심리학(김명선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54 (2005). 동시성의 과학, 싱크(조현욱 역.). 파주: 김영사. 미소장
55 (1985). 사고와 언어(신현정 역.). 서울: 성원사. (원저 1972 출판) 미소장
56 (2008). 기초임상신경과학(한재희 역.). 서울: 이퍼블릭. 미소장
57 Manipulation of frontal EEG asymmetry through biofeedback alters self‐reported emotional responses and facial EMG 네이버 미소장
58 (2001). The Effect of Children on Parents. The Haworth: Press, Inc. 미소장
59 Family, Personality,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네이버 미소장
60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미소장
61 (2003). The Essential Difference. New York: Brockman, Inc. 미소장
62 (1989). Myelination of cortical-hippocampal relays during late adolescence; anatomical correlates to the onset of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retin, 15(4), 585-593. 미소장
63 Myelination of a key relay zone in the hippocampal formation occurs in the human brain during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네이버 미소장
64 (1990). The psychosocial constructs of social competency. Gullotta, T. P., Adams, G. R., Montemayor, R.(Eds.). Developing social competency in Adolescence,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65 (1998). Sex on the Brain: The B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New York: Penguin. 미소장
66 (2006). The Female Brain. Morgan Road Books, Broadway Books, a division of Random House, Inc. 미소장
67 (1975). Influences on Human Development(2nd Eds.). New York: Harper & Brothers. 미소장
68 (1999). Fisch & Spehlmann's EEG Primer. 3rd ED. Elsevier Science B. V., Amsterdam. 미소장
69 Education and the Brain: A Bridge Too Far 네이버 미소장
70 Aging Gracefully: Compensatory Brain Activity in High-Performing Older Adults 네이버 미소장
71 (1996). Getting Our Bodies Back: Recovery, Healing, and Transformation through Body-Centered Psychotherapy. Mary Oliver. 미소장
72 ED-71, a vitamin D analog, is a more potent inhibitor of bone resorption than alfacalcidol in an estrogen-deficient rat model of osteoporosis 네이버 미소장
73 2001). Local brain functional activity following early deprivation: A study of postinstitutionalized Romanian orphans, Neuroimage. Academic Press Published online. 미소장
74 (199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tunity. Washington D. C: Govemment Printing Office. 미소장
75 (2004).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and influences. in R. M. Lerner & L. Steinberg(Eds.),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Hoboken, NJ: Wiley. 미소장
76 (1995). Descartes Error. New York: Avon. 미소장
77 2006. The Selfish Gene.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78 (2005). Getting started with Neurofeedback.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미소장
79 Comparison of human infants and rhesus monkeys on Piaget's AB task: evidence for dependence on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네이버 미소장
80 (2007). The Brain That Changes Itself. Sterling Lord Lireistic, inc., New York. 미소장
81 (1992). Bright Air, Brilliant Fire: On the Matter of the Mind. Haper Collins Publishers Inc. 미소장
82 (2000). What's Going on in there? Witherspoon Associates. 미소장
83 Clinical Use of an Alpha Asymmetry Neurofeedback Protocol in the Treatment of Mood Disorders 네이버 미소장
84 The adolescent decline of NREM delta, an indicator of brain maturation. is linked to age and sex but not to pubertal stage 네이버 미소장
85 USA-193 decay predictions using public domain trajectory data and assessment of the post-intercept orbital debris cloud 네이버 미소장
86 (1993). Cognitive psychology of school learning. published by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Allyn & Bacon. 미소장
87 (2006). Multple Intelligences. Perseus Books Group. Giedd, J. N., Blumenthal, J., Jeffries, N. O., Castellanos, F. X., Liu, H., 미소장
88 Brain development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a longitudinal MRI study. 네이버 미소장
89 (2000). A Field Guide to Boys and Girls. New York: Harper Collins 8. 미소장
90 (2006). Neuroscience and educa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Nature Reviews Neuroscience, 7, 406-413. 미소장
91 Experience and Brain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92 (1904). Adolescence and Its Relation to Psychology, Anthropology, Sociology, Sex, Crime, Religion and Education. D. Appleton and Company. 미소장
93 Language-Associated Cortical Regions Are Proportionally Larger in the Female Brain 네이버 미소장
94 The influence of the family environment on personality: Accounting for sibling differences. 네이버 미소장
95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performance: a meta-analysis. 네이버 미소장
96 (2008). Mirroring people. New York: Brockman Inc.. 미소장
97 Brain develop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sights from anatomic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네이버 미소장
98 (1999). Neurofeedback Assessment and Treatment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ders. in Introduction to Quantitave EEG and Neurofeedback 5. James, R. Evans comp. a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미소장
99 Cognitive efficiency on a match to sample task decreases at the onset of puberty in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100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An fMRI Study of Cognitive Reappraisal 네이버 미소장
101 (2001). Neuroscience: Exploring the Brai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g. 미소장
102 Neural plasticity and human development: the role of early experience in sculpting memory systems 네이버 미소장
103 (1999). EEG Biofeedback: An Emerging model for Its global efficacy. in Introduction to Quantitave EEG and Neurofeedback 11. James, R. Evans comp. a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미소장
104 (1999). Neur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Addicitive Disorders. in Introduction to Quantitave EEG and Neurofeedback 7. James, R. Evans comp. a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미소장
105 (1981). Parent-adolescent interactions of families in trea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St. Paul. 미소장
106 (1991). Adolescent happiness and family interaction. in K. pillemer & K. McCartney(Eds.), Parent-child relations throughout lif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미소장
107 (2008). A Symphony in the Brain: The Evolution of the New Brain Wave Biofeedback. New York: Grove Press. 미소장
108 (2005). Why gender Matters: What Parents and Teachers Need to Know about the Emerging Science of Sex Differences. Felicia Eth Literary Representation, Palo Alto, CA. 미소장
109 (1953). Science and Human behavior. The Free Press a Division of Simon & Schuster Inc., New York. 미소장
110 Nicotine and the adolescent brain: Insights from an animal model 네이버 미소장
111 In vivo evidence for post-adolescent brain maturation in frontal and striatal regions. 네이버 미소장
112 (2003). The Primal Teen. Brockman, Inc. 미소장
113 (1990). Gender and Caring: Work and Welfare in Britain and Scandinavia. London: Harvester Wheatsheaf. 미소장
114 Growth patterns in the developing brain detected by using continuum mechanical tensor maps 네이버 미소장
115 Mapping Adolescent Brain Change Reveals Dynamic Wave of Accelerated Gray Matter Loss in Very Early-Onset Schizophrenia 네이버 미소장
116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process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17 (1988). Between the family and the state. Youth and Policy, 25, 35-36. 미소장
118 (2004). Why Do They Act That Way? Marly Rusoff & Associates. 미소장
119 (1999). Essential Sprituality. Canada, Simultaneously: John Wiley & Sons, Inc. 미소장
120 (2007). Gender difference in neural response to psychological stress. SCAN 2, 227-239. 미소장
121 (2002). Soul Made Flesh: The Discovery of the Brain and How it Changed the World. Simon & Schuster. Inc., New York.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