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9

제1장 서론 2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3

1-3. 기존연구현황 및 문제점 25

제2장 랜드마크 건축에 대한 고찰 27

2-1. 랜드마크 건축의 정의 27

2-2. 시기별 랜드마크 건축의 특성 31

2-2-1. 고대의 랜드마크 건축의 특성 31

2-2-2. 중세의 랜드마크 건축의 특성 38

2-2-3. 근대의 랜드마크 건축의 특성 42

2-3. 소결 46

제3장 랜드마크건축의 도시적 구성요소 추출 47

3-1. 현대도시의 철학적 배경 48

3-1-1. 베르그송의 지속 48

3-1-2.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51

3-1-3. 들뢰즈의 리좀(rhizome) 53

3-2. 현대도시의 특성정리 55

3-2-1. 연속성 55

3-2-2. 다양성 56

3-2-3. 변이성 57

3-2-4. 모호성 57

3-2-5. 불확정성 58

3-3. 랜드마크건축의 도시적 구성요소 추출 59

3-3-1. 공간의 이동 59

3-3-2. 연속된 체험 59

3-3-3. 상호침투 60

3-3-4. 공간의 교차 61

3-3-5. 경계 62

3-3-6. 축소된 거리 63

3-3-7. 표피 64

3-3-8. 불확정적 경로 64

3-4. 소결 66

제4장 현대랜드마크 건축의 도시적 구성요소 사례분석 67

4-1. 분석방법 및 분석대상 67

4-2. 사례분석 69

4-2-1. 시드니 오페라하우스(Sydney Opera House, Sydney, Jorn Utzon, 1973) 69

4-2-2. 퐁피두센터(Centre Pompidou, Paris, R. Piano/R. Roggers, 1977) 72

4-2-3. 베트남 참전기념비(Vietnam Veterans Memorial, Washington. D.C, Maya Ying Lin, 1982) 76

4-2-4. 신개선문(La Grand Arche, Paris, Johann Otto von Spreckelsen, 1989) 79

4-2-5. 루브르 박물관 유리 피라미드(Le Grande Louvre, Paris, Ieoh Ming Pei, 1989) 83

4-2-6. 미테랑 국립도서관(Bibliotheque Francois Mitterrand, Paris Dominique Perrault, 1996) 86

4-2-7. 캐널시티 하카타(Canal City Hakata, Fukuota, John jerde, 1996) 90

4-2-8.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Guggenheim Bilbao Museum, Bilbao, Frank O. Gehry, 1997) 94

4-2-9. JR교토역사(JR Kyoto Station, kyoto, Hara Hiroshi, 1998) 98

4-2-10. 밀레니엄 돔(Millennium Dome, London. R. Rogers, 1999) 101

4-2-11. 소니센터(Sony Center, Barlin, Helmut Jhan, 2000) 104

4-2-12. 런던아이(British Airways London Eye, London, Marks Julia Barfield, 2000) 107

4-2-13. 베를린 유대인 기념 박물관(The Jewish Museum, Berlin Daniel Libeskind, 2001) 110

4-2-14. 록본기힐즈(Roppongihills, Tyoko, John jerde, 2002) 113

4-2-15. 더블린 스파이어(Spire of Dublin, Dublin, Ian Ritchie, 2003) 117

4-2-16. 상호작용적 타워(D-tower, Doetinchem, NOX, 2005) 120

4-2-17. CCTV사옥(CCTV HQ, Beijing, OMA, 2008) 123

4-2-18. 브르즈칼리파(Burj Khalifa, Dubai, Adrian Smith, 2009) 126

4-3. 종합고찰 129

제5장 결론 131

참고문헌 133

Abstract 136

표목차

〈표 1〉 기존연구현황 25

〈표 2〉 고대 랜드마크건축의 특성정리 37

〈표 3〉 중세 랜드마크건축의 건축적 특성정리 41

〈표 4〉 근대 랜드마크건축의 건축적 특성정리 45

〈표 5〉 랜드마크 구성요소의 분류 46

〈표 6〉 이론특성분류표 55

〈표 7〉 현대 랜드마크건축의 도시적 구성요소 분류 66

〈표 8〉 현대랜드마크건축의 분석틀 67

〈표 9〉 선정된 작품목록 68

〈표 10〉 시드니 오페라하우스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71

〈표 11〉 퐁피두센터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75

〈표 12〉 베트남 참전기념비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78

〈표 13〉 신개선문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82

〈표 14〉 루브르 박물관 유리 피라미드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85

〈표 15〉 미테랑 국립도서관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89

〈표 16〉 캐널시티 하카타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93

〈표 17〉 빌바오 구겐하임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97

〈표 18〉 JR교토역사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100

〈표 19〉 밀레니엄 돔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103

〈표 20〉 소니센터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106

〈표 21〉 런던아이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109

〈표 22〉 베를린 유대인 기념 박물관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112

〈표 23〉 록본기힐즈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116

〈표 24〉 더블린 스파이어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119

〈표 25〉 상호작용적 타워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122

〈표 26〉 CCTV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125

〈표 27〉 브르즈칼리파의 랜드마크건축 특성표 128

〈표 28〉 현대도시의 랜드마크건축 특성종합표 130

그림목차

〈그림 1〉 연구흐름도 24

〈그림 2〉 우르의 지구라트 31

〈그림 3〉 Hanging Gardens 32

〈그림 4〉 Statue of Zeus 34

〈그림 5〉 Mausoleum of Maussollos 35

〈그림 6〉 colossus of Rhodes 35

〈그림 7〉 The Pharos 36

〈그림 8〉 보르디노 판화에 의한 식스투스 5세의 사업 38

〈그림 9〉 Ayasofya 평단면 39

〈그림 10〉 San Pietro Basilica 구조도 41

〈그림 11〉 도로시설 총 계획안 42

〈그림 12〉 독일 제국의사당 44

〈그림 13〉 베르그송의 지속 49

〈그림 14〉 하이젠베르크의 현미경 52

〈그림 15〉 리좀 개념도 53

〈그림 16〉 Jussieu University개념도 60

〈그림 17〉 Parc De La Villette 65

〈그림 18〉 랜드마크구성요소 전개도 66

〈그림 19〉 동일한 조형의 반복을 보여주는 표지적 상징성 69

〈그림 20〉 오페라하우스 70

〈그림 21〉 쉘의 반복 71

〈그림 22〉 광장과 상호침투 73

〈그림 23〉 무주공간의 기준층 평면과 단면 74

〈그림 24〉 지면으로 조영된 기념비 77

〈그림 25〉 신개선문과 광장의 규모 80

〈그림 26〉 이동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파리의 역사축 81

〈그림 27〉 광장의 중심에 위치한 기하학적 형상 84

〈그림 28〉 이동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파리의 역사축 85

〈그림 29〉 '내일을 위한 보이드'개념을 가진 정원 87

〈그림 30〉 비워진 중정 배치형태 87

〈그림 31〉 사방으로 열린 접근동선 연결 88

〈그림 32〉 지하 열람실행 경사로 88

〈그림 33〉 동일한 형태반복 89

〈그림 34〉 Canal City 스케일 91

〈그림 35〉 Canal City 광장 91

〈그림 36〉 Canal City 열린 출입구 92

〈그림 37〉 Canal City 산책로 92

〈그림 38〉 Canal City 구성도 93

〈그림 39〉 문화벨트화된 부지 94

〈그림 40〉 스케치이미지 95

〈그림 41〉 광장으로부터 이어지는 보행로와 이중적인 접근성 96

〈그림 42〉 JR교토역사 스케일 99

〈그림 43〉 밀레니엄돔 스케일과 구조 102

〈그림 44〉 대형내부공간의 밀레니엄돔 단면 스케치 103

〈그림 45〉 소니센터 기준층 평면도 105

〈그림 46〉 소니센터 열린동선 106

〈그림 47〉 런던아이수직성 107

〈그림 48〉 템즈강 항로이용과 런던아이 대지활용 108

〈그림 49〉 연속적인 시점변경 109

〈그림 50〉 해체된 평면 111

〈그림 51〉 홀로코스트타워로 향하는 복도 112

〈그림 52〉 록본기힐즈 안내도 114

〈그림 53〉 록본기힐즈 녹지 114

〈그림 54〉 더블린스파이어의 가로축과 스케일 118

〈그림 55〉 D-tower감정그래프 121

〈그림 56〉 CCTV의 규모 124

〈그림 57〉 CCTV공공공간과 동선의 순환 124

〈그림 58〉 브르즈칼리파 높이비교 126

〈그림 59〉 브르즈칼리파 프로젝트와 하아신스의 형상화를 한 브르즈칼리파의 중심코어구조 127

〈그림 60〉 브르즈칼리파 단면도 128

사진목차

〈사진 1〉 Great Pyramid 32

〈사진 2〉 Temple of Artemis 잔해 33

〈사진 3〉 Santa Maria Del Fiore 40

〈그림 4〉 Arch of Triumph 43

〈사진 5〉 La Tour Eiffel 44

〈사진 6〉 시간에 의해 형성된 마을 62

〈사진 7〉 tower of winds 62

〈사진 8〉 오페라하우스 70

〈사진 9〉 외부전경 71

〈사진 10〉 주변지역과 대비되는 마감재료와 형태 73

〈사진 11〉 내부전시장 73

〈사진 12〉 베트남참전기념비 77

〈사진 13〉 접근가능한 경사로 77

〈사진 14〉 표면에 침투된 자신 78

〈사진 15〉 신개선문과 광장 80

〈사진 16〉 La Grand Arche 80

〈사진 17〉 신개선문의 전망용 엘리베이터와 아치에 침투되는 전면광장 82

〈사진 18〉 고전건축과 대비되는 유리피라미드 84

〈사진 19〉 그랑루브르의 주출입구 84

〈사진 20〉 22층의 투명하고 거대한 메스 87

〈사진 21〉 변화가능한 내부 차양막의 외관과 상세 88

〈사진 22〉 Canal City 91

〈사진 23〉 태양의 광장 91

〈사진 24〉 열린 출입구 92

〈사진 25〉 산책로 92

〈사진 26〉 구겐하임빌바오 외관 95

〈사진 27〉 1992년과 2009년의 대지현황 96

〈사진 28〉 JR교토역 99

〈사진 29〉 JR교토역사 중앙콘코스 100

〈사진 30〉 소니센터 조감과 에스플라나다 호텔의 복원 방식 105

〈사진 31〉 포룸전경 106

〈사진 32〉 런던아이 승강장 108

〈사진 33〉 외형의 슬릿과 내부의 공간 111

〈사진 34〉 경사진 계단, 지하통로 111

〈사진 35〉 록본기힐즈 아레나 114

〈사진 36〉 록본기힐즈의 보행로와 연결통로 115

〈사진 37〉 Spire of Dublin 118

〈사진 38〉 D-tower 감정표현 121

〈사진 39〉 겹Z형의 형태 124

초록보기

 현대도시에 실현된 건축물은 통신과 운송기술의 발달로 인한 시간, 공간적 거리가 짧아진 현실 속에 대지만의 건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장소, 지역, 국가적인 상징물로서 대표성을 지니게 되는데 이러한 건축을 랜드마크 건축이라고 부른다.

과거, 1970년대 이후 경제 개발의 가속화과정 속에서 나타난 근대도시의 문제점 해결방식인 기능, 경제중심의 방식은 단조로운 도시구조와 획일적인 건축을 양산한 결과 지역의 특징은 사라지고 규모의 성장에 비해 질적인 성장은 이루지 못하는 불균형의 도시가 형성되었다.

오늘날 불균형의 쇠락한 도시를 수정 하려는 노력이 범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건축기술의 발달에 근거한 초고층건축의 등장은 규모나 효과면에서 그 영향력을 도시적인 규모로 확대시켰고 랜드마크건축의 중요성은 도시건축에서 그 의미가 더욱 커져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은 1970년부터 현재까지 세계 주요도시를 대표하는 랜드마크적 건축물을 대상으로 현대도시의 성격변화에 따른 랜드마크건축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장에서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범위 및 방법, 그리고 기존연구현황 및 문제점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등의 기본사항을 정의하고,

2장에서는 랜드마크건축의 사전적 정의와 이론적 정의, 그리고 고대, 중세, 근대의 각 시기별 랜드마크 건축의 특성정리를 통한 고찰을 진행하여 랜드마크 건축의 건축적 특성을 정리하며,

3장에서 현대도시구성의 철학적 배경인 베르그송의 지속,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들뢰즈의 리좀의 특성고찰을 통해 랜드마크건축의 도시적 구성요소를 도출하며,

4장에서는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현대도시에서 실현된 18개의 건축사례를 통해 3장에서 정리 된 랜드마크 건축의 도시적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5장에서 연구의 목적에 따른 진행과정을 토대로 결론을 맺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도출된 특성과 구성요소를 살펴보자면 랜드마크건축의 건축적 특성은 규모성, 기능성, 상징성, 대비성, 장소성으로 정의할 수 있고 랜드마크건축의 도시적 특성은 현대도시에서 보여지는 연속성, 다양성, 변이성, 모호성, 불확정성으로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각각의 특성들을 통해 건축적 특성인 크기, 용도, 기능의 중심지, 형태, 색채, 표지판, 상징적 중요성, 문화의 중심지, 역사의 중심지, 경계점, 입구와 도시적 특성인 공간의 이동, 연속된 체험, 상호침투, 공간의 교차, 경계, 축소된 거리, 표피, 불확정적 동선으로 고찰되었다.

이런 랜드마크건축 특성의 세분화는 현대도시의 성격변화로부터 유도되었으며 요소의 연구와 사례를 통하여 세분화된 랜드마크 건축의 구성요소는 현대랜드마크건축의 개념제시의 한 방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