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의 목적 13

3. 연구문제 14

4. 용어의 정의 14

1)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14

2) 줄넘기 활동 15

3) 실행연구(Action Research) 15

5. 연구의 제한점 15

II. 이론적 배경 16

1.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ies) 16

1) 지적장애의 정의 16

2) 지적장애아의 특성 18

2. 줄넘기 운동 22

1) 줄넘기의 정의 22

2) 줄넘기의 운동 원리 22

3) 줄넘기 운동의 기본자세 및 유의점 24

4) 줄넘기 선행연구 26

3. 실행연구 28

III. 연구 방법 32

1. 연구 참여자 33

1) 연구자이자 교사인 ‘나’ 33

2) 다양한 특성을 가진 특수학급 학생들 37

2. 줄넘기 수업 프로그램 39

1) 줄넘기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절차 39

2) 줄넘기 과제분석 40

3. 자료수집 41

1) 참여관찰 41

2) 참여관찰일지 42

3) 문서 자료 42

4. 자료 분석 42

5. 자료 진실성 확보 43

IV. 줄넘기 수업 실행기 45

1. 준비가 필요해! 45

2. 수업 장소 및 사용 교구 47

1) 수업 장소 47

2) 수업에 활용한 주요 교구 47

3. 줄넘기 수업 프로그램의 실행 49

1) 줄넘기 수업 전개 과정 50

3) 줄넘기 수업 지도 56

V. 연구결과 및 논의 66

1. 줄넘기 스무고개 66

1) 올챙이에서 개구리 되기 67

2) "줄 돌리기가 점프방식을 이끈다." 73

3) 착각의 늪 : 지각과 행동의 괴리(乖離) 77

4) 우사인 볼트도 걸음마부터 : 건너뛸 수 없는 운동발달의 단계성 80

2. 사람도 꽃처럼 피어나는 시기가 다르다 83

1) 혼자서도 잘해요. 83

2) "도전하러 왔어요." 86

3) 함께 해요 91

3. 작은 씨앗을 심는 사람 92

1) 꿀벌의 꽃가루받이 93

2) 줄탁동시(줄啄同時): 알에서 나올 수 있게 조금만 도와줄게 98

3) 카멜레온 교사 101

4) 마음 키질하기 106

VI. 요약 및 제언 111

1. 요약 111

2. 제언 113

참고문헌 115

부록 124

부록 1. 줄넘기 과제분석 및 지도방법 124

부록 2. 수업 PPT 예시 130

부록 3. 수업 교수학습 지도안 예시 131

부록 4. 교수-학습 과정 실시 후 관찰 기록 133

부록 5. 연구 참여자 동의서 135

Abstract 136

표목차

표1. 줄넘기 운동의 원리(Wickstrom, 1983) 23

표2. 선행연구 요약 26

표3. 주요 연구 대상 특성 38

표4. 줄넘기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절차 39

표5. 줄넘기 과제분석 하위 영역 40

표6. 1학기 특수체육프로그램 46

표7. 줄넘기 수업 전개 과정 50

표8. 줄넘기 수업 프로그램 53

표9. 수정된 줄넘기 수업 프로그램 54

표10. 학생별 줄넘기 수행 사정 평가결과 58

표11. 개별화 교육 계획 60

표12. 줄넘기 지도내용 및 행동발달 누가 기록 63

그림목차

그림1. 나선형으로 상호작용하는 실행연구 모형 (EmestStringer, 1996) 31

그림2. 특수학급 사진 41

그림3. 강당 사진 41

그림4. 원형 판 47

그림5. 줄넘기용 리본 48

그림6. 요가 매트 48

그림7. 허들 콘과 허들 바 49

그림8. 16차시 점프 활동(교실) 103

그림9. 17차시 점프 활동(강당)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