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머리말 14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5
2. 연구 범위 및 방법 17
3. 연구내용 17
4. 연구의 제한점 18
5. 용어의 정의 19
Ⅱ. 한삼의 문헌 고찰 20
1. 한삼의 일반적 개념 20
2. 복식에서의 한삼 정의 27
3. 춤에서의 한삼 정의 42
Ⅲ. 궁중정재속의 한삼무 49
1. 백한삼(白汗衫)을 사용한 정재 50
1) 무고[舞鼓] 50
2) 박접무[撲蝶舞] 52
3) 수연장[壽延長] 53
4) 영지무[影池舞] 54
5) 처용무[處容舞] 55
6) 헌선도[獻仙桃] 56
2. 홍한삼(紅汗衫)을 사용한 정재 58
1) 춘앵전[春鶯전] 58
2) 향령무[響鈴舞] 59
3. 옥한삼(玉汗衫)을 사용한 정재 60
1)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61
2) 연화대무[蓮花臺舞] 62
4. 녹한삼(綠汗衫)을 사용한 정재 63
1) 무산향[舞山香] 64
2) 수보록[受寶록] 65
5. 오색한삼을 사용한 정재 66
1) 경풍도무 [慶풍圖舞] 68
2) 금척무[金尺舞]·몽금척[夢金尺] 68
3) 동동·아박무[牙拍舞] 70
4) 만수무[萬壽舞] 70
5) 무애무[無애舞] 71
6) 문덕곡[文德曲] 72
7) 보상무[寶相舞] 73
8) 봉래의[鳳來儀] 74
9) 사선무[四仙舞] 74
10) 선유락[船遊樂] 75
11) 육화대무[六花隊舞] 76
12) 포구락[抛毬樂] 77
13)하황은[荷皇恩] 78
Ⅳ. 한삼에 나타난 성향 분석 86
1. 백한삼과 색동한삼의 의미 86
1) 백한삼(白汗衫)의 의미 86
2)색동한삼[오색한삼(五色汗衫)]의 의미 90
2. 춤에서의 한삼의 역할과 기능 93
Ⅴ. 맺음말 96
참고문헌 100
부록 107
English Abstract 108
감사의 글 113
[그림 1] 백삼의 속옷을 착용한 시녀도 29
[그림 2] 고구려수산리 고분벽화 30
[그림 2-1] 고구려수산리 고분벽화 복원도 30
[그림 3] 안악 3호분 무덤주인부인 32
[그림 3-1] 안악3호분 무덤주인부인 복원도 32
[그림 4] 안악3호분 무덤주인 33
[그림 5] 유주의 13군의 태수들 33
[그림 6] 백삼의 속옷을 착용한 쌍영총 34
[그림 7] 일본 다카마쓰 고분벽화 34
[그림 8] 백제 국사도 35
[그림 9] 신라 사신 왕희도 36
[그림 10] 왕의 융복(철종 어진) 39
[그림 11] 황원삼 40
[그림 12] 긴 한삼을 착용하고 춤을 추는 춤무덤 (무용총) 45
[그림 13] 악학궤범의 한삼 46
[그림 14] 악학궤범에 나타난 한삼과 단령의 소매 길이 46
[그림 15] 긴 도포 입고 춤추는 무동 47
[그림 16] 중국의 ‘長袖衣’춤추는 모습 47
[그림 17] 문헌에 나타난 무고의 모습 51
[그림 18] 박접무 53
[그림 19] 문헌에 나타난 수연장의 모습 53
[그림 20] 영지무 55
[그림 21] 처용무 56
[그림 22] 문헌에 나타난 헌선도의 모습 57
[그림 23] 춘앵전 무동복식 - [무자진작의궤] 59
[그림 24] ‘고종신축진연의궤’의 향령무 60
[그림 25] 문헌에 나타난 가인전목단의 모습 62
[그림 26] 문헌에 나타난 연화대무의 모습 63
[그림 27] ‘순조무자진작의궤’의 무산향 65
[그림 28] ‘고종신축진연의궤’의 경풍도무의 모습 68
[그림 29] 금척무·몽금척 69
[그림 30] 아박무 70
[그림 31] 문헌에 나타난 ‘만수무’의 모습 71
[그림 32] 문헌에 나타난 ‘무애무’의 모습 72
[그림 33] 문헌에 나타난 ‘보상무’의 모습 73
[그림 34] 문헌에 나타난 ‘봉래의’의 모습 74
[그림 35] 문헌에 나타난 ‘사선무’의 모습 75
[그림 36] 문헌에 나타난 ‘선유락’의 모습 75
[그림 37] 문헌에 나타난 ‘육화대무’의 모습 76
[그림 38] 포구락 78
[그림 39] 문헌에 나타난 ‘하황은’의 모습 79
[그림 40] 오방정색·오방간색 92
[사진 1] 경주 출토 부상 부부 토우 35
[사진 2] 용강동 고분 출토 남자상 토우 36
[사진 3] 온양민속박물관 적삼 38
[사진 4] 서민의 여인상-방배동 목우상 38
[사진 5] 꽃분홍색 모시 속적삼 (1890년대), 조선 39
[사진 6] 박접무재연 *출처: 국립국악원 53
[사진 7] 영지무 재연 55
[사진 8] 처용무 재연 56
[사진 9] 연화대무 재연 63
[사진 10] 무산향 재연공연 65
[사진 11] 금척무·몽금척 재연 69
[사진 12] 아박무 재연 7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