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0

제1장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15

2. 연구의 목적 18

제2장 이론적 배경 19

1. 신축성 소재의 일반적 고찰 19

1) 신축성 소재의 개요 19

2) 신축성 소재의 특징 20

2. 니트의 일반적 고찰 21

1) 편성기계에 따른 분류 21

2) 니트 제품생산방식에 따른 분류 22

3) 니트와 직물의 특성 비교 25

3. 환편니트 의류의 특성 27

1) 환편니트 의류의 특성 27

2) 최근 환편니트 의류제품의 경향 28

3) 환편니트 의류산업 현황 29

4. 신축성 소재의 의복설계 31

1) 패턴과 여유량에 관한 선행연구 31

2) 니트 패턴에 관한 선행연구 37

5. 원피스 패턴연구 42

6. 3차원 가상착의 시스템 44

1) 가상착의 시스템의 개요 44

2) i-Designer 원리 및 특징 45

3) 가상착의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48

제3장 연구방법 및 절차 49

1. 의류업체의 환편니트 제품 생산현황 조사 51

1) 환편니트 소재 사용현황 조사 51

2) 환편니트 패턴설계방법 현황 조사 51

3) 자료분석 52

2. 환편니트 실험소재 선정과 원단 물성측정 53

1) 실험복 소재 선정 53

2) 실험복 소재의 물성 53

3) 치수변화율 54

4) 가상봉제를 위한 소재의 물성 측정 55

5) 신장률 측정방법 및 조건 56

3. 환편니트 원피스 실험복제작 57

1) 실험복 원피스 디자인 선정 및 봉제 57

2) 피험자 선정 58

3) 실험복 원피스 패턴설계 60

4. 환편니트 원피스 연구패턴의 적합성 평가 61

1) 실험복 원피스 치수변화 분석 61

2) 실험복 외관 및 착용만족도 평가 65

5. 자료분석 67

제4장 결과 및 고찰 68

1. 의류업체의 환편니트 제품 생산현황 조사 결과 68

1) 환편니트 소재 사용현황 조사 68

2) 환편니트 패턴설계방법 현황 조사 72

2. 실험복에 사용된 환편니트 소재특성 고찰 83

1) 치수변화율 측정결과 83

2) 신장률 측정 결과 84

3. 업체방식에 따른 환편니트 실험복의 기준패턴설계 86

1) Size korea 인체치수와 조사결과를 통한 누드스펙 설정 86

2) 업체방식에 따른 환편니트 상의 기준패턴 추출 87

3) 업체방식에 따른 환편니트 원피스 실험복 기준패턴 추출 92

4. 환편니트 원피스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 산출 96

1) 환편니트 원피스 1차 실험복 제작 96

2) 1차 실험복에 대한 봉제와 워싱 후 치수변화 분석결과 97

3) 1차 실험복에 대한 외관 및 착용만족도 평가결과 99

4) 기본 여유량을 적용한 1차 원피스 연구패턴 추출 104

5. 환편니트 원피스 연구패턴의 적합성 평가 113

1) 수축률을 적용한 2차 원피스 연구패턴 추출 113

2) 1차와 2차 실험에 의한 워싱 후 치수변화 비교 118

3) 외관 및 착용만족도 평가 120

4) 가상착의 시스템에 의한 패턴의 객관적 평가 125

6. 환편니트 신축특성에 따른 원피스 패턴 132

제5장 결론 136

1. 환편니트 실험소재 물성측정 결과 136

2. 환편니트 패턴설계방법 현황조사 결과 137

3. 기본 여유량이 적용된 연구패턴 산출 결과 137

4. 워싱 후 수축률 산출 결과 137

5. 환편니트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 적용에 대한 적합성 검증 138

6.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평가 비교분석 결과 138

7. 여유량과 수축률이 적용된 연구패턴 도출 결과 139

참고문헌 141

국문초록 146

부록 149

〈부록 I〉 환편니트 소재사용현황 조사 설문지 150

〈부록 II〉 환편니트 패턴설계방법 조사 설문지 155

〈부록 III〉 실험복 외관평가지 160

〈부록 IV〉 실험복 착용만족도 평가지 161

〈부록 V〉 조사대상업체 환편니트 상의패턴 비교착의 평가결과 162

〈부록 VI-1〉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플레인조직(OP1_S) 163

〈부록 VI-2〉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폰테디롬조직(OP1_D) 164

〈부록 VI-3〉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2×2리브조직(OP1_R) 165

〈부록 VI-4〉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플레인조직(OP1_SS) 166

〈부록 VI-5〉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폰테디롬조직(OP1_DS) 167

〈부록 VI-6〉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2×2리브조직(OP1_RS) 168

〈부록 VII-1〉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플레인조직(OP2_S) 169

〈부록 VII-2〉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폰테디롬조직(OP2_D) 170

〈부록 VII-3〉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2×2리브조직(OP2_R) 171

〈부록 VII-4〉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플레인조직(OP2_SS) 172

〈부록 VII-5〉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폰테디롬조직(OP2_DS) 173

〈부록 VII-6〉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2×2리브조직(OP2_RS) 174

〈부록 VIII〉 1차 실험결과에 의한 봉제와 워싱 후 치수변화(OP) 175

〈부록 IX〉 2차 실험결과에 의한 봉제와 워싱 후 치수변화(OP2) 176

〈부록 X〉 실험소재별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OP1과 OP2) 177

표목차

〈표 1〉 의류소재의 신장률에 따른 피트성과 용도 20

〈표 2〉 편기의 종류와 특성 22

〈표 3〉 니트 제품생산방식별 생산 공정도 22

〈표 4〉 니트와 직물의 특성비교 26

〈표 5〉 환편니트 의류의 아이템 29

〈표 6〉 환편니트(60수 싱글) 상의용 fit 분류에 따른 여유량 32

〈표 7〉 실루엣에 따른 직물상의용 패턴의 허리둘레 여유량 32

〈표 8〉 니트 원단의 신장률에 따른 분류 34

〈표 9〉 3차원 가상착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의 종류 45

〈표 10〉 조사대상 브랜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2

〈표 11〉 실험복 소재의 물성 54

〈표 12〉 KES-FB System의 구성과 측정물성 55

〈표 13〉 실험대상과 20대 성인여성 치수비교 59

〈표 14〉 봉제와 워싱에 의한 치수변화 측정 63

〈표 15〉 조사대상 브랜드의 생산현황 69

〈표 16〉 조사대상 브랜드의 환편니트 생산비율 70

〈표 17〉 조사대상 브랜드별 기준치수 사용현황 73

〈표 18〉 조사대상 브랜드 기본 신체사이즈 비교 74

〈표 19〉 컨펌 시 스펙과의 오차 허용치수 비교 75

〈표 20〉 환편니트 소재의 신축성 측정 및 문제점 현황 77

〈표 21〉 환편니트 제품 패턴설계현황 조사 결과 78

〈표 22〉 조사대상 브랜드의 직물과 환편니트에 대한 기본원형치수 79

〈표 23〉 직물과 환편니트 패턴의 여유량 비교 82

〈표 24〉 실험복 소재의 치수변화율 비교 84

〈표 25〉 실험용 환편니트 샘플의 신장특성 계측치 85

〈표 26〉 20대 성인여성의 상의제작을 위한 누드스펙 추출 87

〈표 27〉 둘레항목 치수 및 제도법 89

〈표 28〉 너비항목 치수 및 제도법 89

〈표 29〉 길이항목 치수 및 제도법 90

〈표 30〉 어깨부위 치수 및 제도법 91

〈표 31〉 목부위 치수 및 제도법 91

〈표 32〉 소매부위 치수 및 제도법 92

〈표 33〉 환편니트 원피스 기준패턴 제도법 및 여유량 94

〈표 34〉 1차 실험복에 대한 외관평가 결과 101

〈표 35〉 1차 실험복에 대한 착용만족도 결과 103

〈표 36〉 1차 원피스 연구패턴에 적용된 여유량 105

〈표 37〉 1차 원피스 연구패턴 제도법 및 여유량 112

〈표 38〉 2차 원피스 연구패턴에 적용된 수축률 114

〈표 39〉 2차 실험복에 대한 외관평가 결과 122

〈표 40〉 2차 실험복에 대한 착용만족도 결과 124

〈표 41〉 원피스 연구패턴에 적용된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 133

그림목차

〈그림 1〉 재단봉제용 편성물. 23

〈그림 2〉 가먼트 랭스 편성물. 24

〈그림 3〉 성형제품용 편성물. 24

〈그림 4〉 무봉제 완성형 편성물. 25

〈그림 5〉 국내 니트의류제품 시장 규모 : 캐주얼 시장. 30

〈그림 6〉 제품품목별 산업경쟁력 수준 : 환편 봉제니트의류. 30

〈그림 7〉 i-Designer의 가상착의 시스템 개요. 46

〈그림 8〉 i-Designer의 시뮬레이션 순서. 46

〈그림 9〉 여유량, 의복압, 신축률 및 단면형태. 47

〈그림 10〉 연구 구성도. 50

〈그림 11〉 실험복 소재의 물성. 54

〈그림 12〉 실험복 원피스 디자인. 57

〈그림 13〉 외관평가를 위한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평가용 바디. 60

〈그림 14〉 가상착의에 의한 여유량, 신축률, 수평과 수직단면의 공극량. 64

〈그림 15〉 착용만족도 평가를 위한 동작자세. 66

〈그림 16〉 조사대상 브랜드 기본 신체사이즈 비교. 74

〈그림 17〉 컨펌시 스펙과의 오차 허용치수 비교. 75

〈그림 18〉 조사대상 업체의 직물과 환편니트 상의 기본패턴비교. 80

〈그림 19〉 업체별 환편니트 상의 기본패턴 중합도. 80

〈그림 20〉 조사대상 브랜드별 직물과 환편니트 패턴치수 비교. 81

〈그림 21〉 브랜드별 직물과 환편니트 패턴의 여유량평균 비교. 82

〈그림 22〉 실험복 소재의 치수변화율 비교. 84

〈그림 23〉 실험복 소재의 신장특성 계측치. 85

〈그림 24〉 20대 성인여성의 상의제작을 위한 누드스펙 추출. 87

〈그림 25〉 환편니트 원피스 기준패턴. 95

〈그림 26〉 1차 실험복 원피스 봉제 후와 워싱 후 수축률 비교 97

〈그림 27〉 1차 원피스 연구패턴별 여유량 비교. 105

〈그림 28〉 T/R 성분의 조직별 1차 원피스 연구패턴의 중합도. 107

〈그림 29〉 T/R/S 성분의 조직별 1차 원피스 연구패턴의 중합도 108

〈그림 30〉 조직과 성분별 여유량이 적용된 1차 원피스 연구패턴의 중합도. 109

〈그림 31〉 T/R 성분의 기준소재 1차 원피스 연구패턴 설계(OP1_S). 110

〈그림 32〉 T/R/S 성분의 기준소재 1차 원피스 연구패턴 설계(OP1_SS). 111

〈그림 33〉 2차 원피스 연구패턴별 워싱 후 수축률 비교. 115

〈그림 34〉 T/R 성분의 조직별 2차 원피스 연구패턴의 중합도. 116

〈그림 35〉 T/R/S 성분의 조직별 2차 원피스 연구패턴의 중합도. 117

〈그림 36〉 1차와 2차 실험복 원피스의 워싱 후 수축률 비교 119

〈그림 37〉 외관평가를 위한 실제착의평가. 120

〈그림 38〉 가상착의에 의한 공극량 비교. 126

〈그림 39〉 가상착의의 와이어 프레임에 의한 여유량 비교. 127

〈그림 40〉 가상착의에 의한 수직단면 비교. 128

〈그림 41〉 가상착의에 의한 수평단면 비교. 129

〈그림 42〉 가상착의에 의한 신축량 비교. 130

〈그림 43〉 가상착의에 의한 의복압 비교. 131

〈그림 44〉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이 적용된 원피스 연구패턴 비교. 134

〈그림 45〉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이 적용된 원피스 연구패턴 중합도. 135

초록보기

본 연구는 캐주얼하면서 실용성을 추구하는 현재의 트랜드에 적합한 환편니트 소재에 대해서 조직과 성분에 따른 부위별 적정 여유량과 워싱에 의한 수축률을 산출하여 형태안정성과 맞음새가 우수한 환편니트 원피스 패턴 설계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환편니트 소재의 사용실태와 패턴설계방법에 관한 현황파악을 위해 영캐주얼 브랜드의 소재담당과 패턴담당 실무자를 대상으로 직접면담과 설문지법을 통해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포대로 사용빈도가 높은 환편니트 30수의 플레인, 2×2리브, 폰테디롬의 3가지 조직과 T/R, T/R/S의 2가지 성분의 6가지 소재를 선정하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업체패턴의 비교착의 실험을 통해 본 실험을 위한 환편니트 원피스 기준패턴을 추출하였다. 6가지 소재별로 3벌씩 18벌의 1차 실험복을 제작, 외관과 착용만족도 평가를 통해 각 소재의 신축성이 부위별 기본 여유량으로 적용된 1차 연구패턴을 추출하고 치수변화에 영향을 주는 워싱 후 수축률을 산출하였다. 1차 실험결과에서 산출된 여유량과 워싱 후 예상되는 수축률이 적용된 2차 연구패턴으로 다시 2차 실험복을 제작하여 연구패턴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객관적 평가를 위해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평가를 비교분석하여 적정 신축률이 적용된 환편니트 원피스 패턴을 제시하였다.

1. 실험소재의 치수변화율 측정결과, 아이론<손세탁<가정용세탁기 순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먼트 워싱 후의 치수변화에 대한 패턴 부위별 데이터의 체계화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장률 측정결과, 웨일방향 보다는 코스방향의 신장률이 크게 나타났다. 웨일방향에서는 DS소재, 코스방향에서는 RS소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조직과 성분에 따라 신장특성이 다른 결과를 보여 주었다.

2. 환편니트 패턴설계방법 현황 조사결과, 허리둘레와 소매길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직물 보다 환편니트의 패턴치수가 작게 나타났다. 어깨경사각은 더 기울어지고 앞어깨 형태이며, 엉덩이둘레, 너비항목은 -여유량으로 몸에 fit하였다.

3. 인구패턴의 여유량 산출 결과, 가슴둘레와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에서 R < RS < SS < S < DS < D 패턴 순으로 증가하였다. 가슴둘레의 경우 폰테디롬조직인 D와 DS패턴에서 1.2%와 0.0%로 가장 많았고, 2×2리브조직에서는 -7.1%의 R 보다 RS패턴에 여유량 -4.8%로 적게 설정하였다.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너비항목에 적용된 -여유량에 의해 원피스 착용 시 코스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웨일방향이 줄어들어 무릎길이, 뒤옷길이, 소매길이는 +여유량을 설정하였다.

4. 워싱 후 수축률 산출 결과, 모든 실험복에서 수축률이 나타났고, 코스방향 보다 웨일방향에 많이 나타났다. D패턴에서 부위별로 가장 큰 수축률을 보였고, S, SS, DS패턴은 비교적 안정적이며 신축성이 좋은 R, RS패턴에서 가장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스판성분이 함유된 SS, DS, RS패턴의 경우 워싱에 대한 치수는 비교적 안정적이나 봉제 시 신장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패턴 설계 시 조직과 성분에 따른 신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5. 연구패턴의 적합성 검증을 위한 외관평가결과, 6가지 실험복 모두 3.0이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D = S < DS = SS < RS = R 패턴 순으로 신축성은 좋지만 치수안정성이 적은 2×2리브조직에서 가장 높았다. 가슴으로 향하는 사선주름에서는 RS, R, SS, DS패턴에서 높은 점수가, D와 S패턴에서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허리 군주름평가에서는 DS = D = S < SS = R < RS 패턴 순으로 나타나 두꺼운 소재일수록 뒤허리 처짐분을 많이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착용만족도 평가결과 전체적인 여유량에서 실험복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착탈의 평가에서는 D < DS < SS = S < RS = R 패턴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6.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평가 비교분석 결과, 가상착의에 의한 여유량 및 공극량 분석의 경우 모든 실험복의 상부와 엉덩이부위는 바디에 거의 밀착되고 앞부분의 밑가슴에서 허리 사이와 뒷부분의 등허리부위에서는 여유량이 많이 나타났다. 신축률 분석에서 -여유량이 적용된 너비항목과 가슴둘레, 엉덩이둘레가 신장되고, 허리둘레의 뒷부분과 여유량이 많은 D패턴에서 신장이 적게 나타났다. 의복압 분석에서는 소재의 신축특성으로 인해 의복압은 거의 나타나지 않아 각 패턴별로 착용감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는 실제착의 평가와 같은 결과로 가상착의 평가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7. 환편니트 소재의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예상되는 수축률이 적용된 연구패턴추출 결과, R < RS < SS < S < DS

이상의 결과 소재별 적정 여유량과 워싱 후 예상되는 수축률을 반영한 환편니트 조직과 성분별 원피스 패턴 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환편니트 의류산업 시장에서 경쟁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아이템의 산업용 패턴을 설계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의류학 전공의 교육현장에서 환편니트 패턴제작을 위한 교육용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6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2). 의복의 입체구성. 서울 :교문사. 미소장
2 니트웨어의 토르소·슬리브 원형 설계 소장
3 (1992). 제편공학. 서울 :문운당. 미소장
4 (2003). 피복재료학(제3개정판). 교문사. 미소장
5 Review : Characteristics and using method of Cyber Sewing 3D CAD 소장
6 Rib 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니트 패턴 연구 소장
7 3D 인체측정치를 이용한 니트 원피스 패턴 연구 소장
8 The Recent Tendency of the Weft Knitting Technologies 소장
9 (2002). 패션소재기획. 교문사. 미소장
10 (1995). 패션재료의 지식. 서울 :수학사. 미소장
11 의복과 체형.나미향․김정숙(역).(1999).서울 :예학사. 미소장
12 무봉제 니트웨어와 재단 봉제 니트웨어의 생산 공정 비교 분석 소장
13 니트산업. (1991).「 메랑꼴」 니트용 특수사 다품종 소로트 전개. 대한메리야스공업협동조합연합회,95(3,4월),28. 미소장
14 니트산업. (1992). 국내 환편니트시장의 허와 실. 대한메리야스공업협동조합연합회,105. 미소장
15 Transactions : A Study on Sizing System for the Knit Trainning Weare - females from 15 to 24 years old - 소장
16 플레어스커트의 실제착의와 가상착의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 : 20대 비만체형 여성을 중심으로 소장
17 Transactions : A Study on One-Piece Dress Pattern According to the Somatotype Alteration of Women in their 20s 소장
18 스트레치소재 의류제품의 생산실태 연구 소장
19 Application of Human Body Measurement Technology in Clothing and Fashion Industry 소장
20 (1996). 스트레치 소재.삼양사,삼양트리론,191(봄),11~15. 미소장
21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KSA 7003의복설계를 위한 인체측정 :KSA 7004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인체측정,2004. 미소장
22 니트산업의 구조와 발전방향 네이버 미소장
23 신축성 직물 스커트의 체형별 여유분에 관한 연구 소장
24 섬유저널. (1995). 2천년을 연다-New market new matrix : Have의 욕구에서 be의 수요로 패션환경 패션가치가 변한다. 섬유저널,100(8월),98. 미소장
25 Jersey 소재를 이용한 토르소와 슬리브 원형연구 : 중년전기 여성을 중심으로 소장
26 20대 여성의 여유량 산출에 의한 길 원형 설계 소장
27 니트웨어를 위한 기본원형에 관한 연구 : 부인용 원형을 중심으로 소장
28 (2000). 서양의복구성. 예학사. 미소장
29 (1996). WoolPlusLycra의 봉제시 주의사항. 한국의류시험연구소,의류기술,55(9),48~53. 미소장
30 월간섬유. (1993). 환편니트 등장으로 활성화를 도모하는 니트전문업체 브랜드 올 F/W 패션경향. 월간섬유사,241(9월),106. 미소장
31 니트웨어의 소재특성에 따른 패턴 개발 연구 소장
32 무봉제 니트 원피스 드레스의 편성방법 : 웨이스트 다트와 소매 편성방법을 중심으로 소장
33 (2004). 이승렬의 패턴이야기. 기술과 감성. 미소장
34 실버세대를 위한 니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 환편니트를 중심으로 소장
35 (1997). 패션비즈니스사전. 교학연구사. 미소장
36 니트웨어의 머어천다이징에 관한 고찰 네이버 미소장
37 (2008). 알기쉬운 평면패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38 환편니트 의류산업에 관한 연구 : 환편니트 전문브랜드를 중심으로 소장
39 캐주얼 니트 셔츠의 fit에 따른 기준 패턴 개발 : 한국인 18~29세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소장
40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the Dart Design 소장
41 소재의 신장율에 따른 슬랙스 원형 연구 :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소장
42 제일모직 봉제연구소. (1997).Stretch직물의 봉제방법. 미소장
43 Body-Conscious Look에 나타난 미적 특성 고찰 소장
44 3차원 형상 데이터에 의한 성인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 및 부츠 컷(Boots-cut) 청바지 패턴 설계 : 3차원 가상착의평가를 중심으로 소장
45 (1999). 1990년대 국내 여성복 소재경향과 특성에 대한 연구.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3(3),69~78. 미소장
46 (2005). 3D CAD를 이용한 패션스타일링 i-Designer.화성 :해란. 미소장
47 한국섬유개발연구원. (2005). 니트소재 해외시장동향.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미소장
48 한국의류산업협회. D76(2005). 니트의류산업 경쟁력조사. 과천 :무역위원회. 미소장
49 신축성소재 셔츠 블라우스의 여유량에 관한 연구 소장
50 중년여성의 체형별 원피스 드레스 원형 연구 소장
51 니트 의류제품의 패턴 제작시 신장 특성 적용에 관한 연구 소장
52 니트의 신축성에 따른 상의의 패턴 설계방법 연구 소장
53 Pattern making for fashion design.박기완(역).(2001).패션디자인을 위한 패턴메이킹.노라노. 미소장
54 Plain 조직 니트 의류의 소매 암홀 형태 연구 소장
55 文化女子大學校 被服構成學 硏究室 編纂. (1993). 被服構成學.東京 :文化出版局. 미소장
56 (1980).ニット地によるブラウスの胸圍.袖ぐりのゆとり量たついて(第1報). 日本家庭學雜誌,31(3),179~183. 미소장
57 (1981). ゆとり量設定に關する基礎的硏究(第1報). 日本家庭學雜誌, 32(3),210~215. 미소장
58 (1976). Beyond basic textiles.New York: Fairchild. 미소장
59 E. I. du Pontde Nemours & Co.(1987). Stretch construction capabilities. Bobbin, June, 154-159. 미소장
60 Fitting Essential. (1997).All about ease. Vogue Pattern, September/October, x-xi. 미소장
61 (1989). Sewing for stretch. Thread Magazine, June/July,62~63. 미소장
62 (1999). Pattern making by flat-patt ern method(8thed). Columbus,Ohio:Prentice Hall,259. 미소장
63 (1992). Knitted clothing technology. Blackwell Scientific. 미소장
64 Stretch Fabric Interaction with Action Wearables: Defining a Body Contouring Pattern System 네이버 미소장
65 테크노아코리아.http://www.i-designer.co.kr 미소장
66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사이즈코리아.http://www.sizekorea.ats.go.kr 미소장
67 한국섬유산업연합회.http://www.kofoti.or.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