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6
I. 서론 8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8
2. 연구의 범위 10
1) 내용적 범위 10
2) 시간적 범위 10
3. 연구의 방법 11
1) 문헌분석 11
2) 전문가 설문조사 11
4. 연구사 15
II. 조경 산업의 변천 19
1. 조경공사 관련 제도 19
1) 조경 건설업 관련 제도 19
2) 조경 건설업 업무 내용 20
3) 조경공사업 등록 기준 22
4) 조경식재 및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 등록 기준 22
5) 조경공사업 및 조경식재공사업과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 기술능력 25
2. 조경 건설업체 28
3. 조경공사금액 29
4. 조경기술인력 30
5. 조경관련 신기술 도입 31
6. 조경공사 공종 다양화 32
1) 조경공사 표준품셈 공종 32
2)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공종 33
III. 조경공사 품셈 제도의 변천 35
1.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제정 배경 35
2.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시대별 변천 36
1) 1960년대(1962년~1969년) 36
2) 1970년대(1970년~1979년) 36
3) 1980년대(1980년~1989년) 37
4) 1990년대(1990년~1999년) 38
5) 2000년대(2000년~2009년) 39
3. 조경공사 관련 실적공사비 적산제도의 특성 41
4. 조경공사 적산기준의 구성 43
IV. 결과 및 고찰 45
1. 조경공사 표준품셈에 대한 만족도 45
1) 설문 응답자의 특성 45
2) 조경공사 표준품셈 만족도 45
3) 조경공사 표준품셈 중 만족도가 높은 공종 47
4) 조경공사 표준품셈 중 개정이 필요한 공종 49
5) 조경공사 표준품셈 중 제정이 필요한 공종 52
2. 조경공사 표준품셈 변천 요인 55
1) 전문가 전체 55
2) 조경설계 전문가 57
3) 조경시공 전문가 59
4) 녹지 공무원 60
3. 고찰 64
V. 결론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5
부록 : 설문지 77
그림 1. 시기별 조경 건설업 20
그림 2. 시기별 조경 건설업체 수 자료 : 이상석(2008.) 한국의 조경산업. 한국조경백서 p. 102-104에서 인용. 28
그림 3. 시기별 조경공사금액 자료 : 대한건설협회, 대한전문건설협회 29
그림 4. 시기별 조경공사 표준품셈 명칭 35
그림 5. 시대별 조경공사 표준품셈 40
그림 6. 조경설계 전문가 만족도 46
그림 7. 조경시공 전문가 만족도 46
그림 8. 녹지 공무원 만족도 47
그림 9. 만족도 높은 공종(조경설계 전문가) 48
그림 10. 만족도 높은 공종(조경시공 전문가) 48
그림 11. 만족도 높은 공종(녹지 공무원) 49
본 연구의 목적은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변천 요인을 규명하여 표준품셈의 제정 및 개정 시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헌분석과 전문가 설문조사 방법으로 표준품셈에 대한 만족도와 개정 및 개정이 필요한 공종 그리고 중요한 표준품셈의 변천 요인을 도출한다. 변천요인 평가 항목의 선정은 조경 시공학 및 적산학 교재 내용 중에서 20개를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예비조사와 본 조사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조경설계, 조경시공, 녹지 공무원 집단으로 구분하여 30부씩 총 90부의 설문을 받았다. 설문 내용의 통계처리는 SPSS Statistics 17.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과 직각회전을 실시하여 변천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1962년 '떼뜨기 및 떼붙임' 공종을 최초로 2010년 현재 '떼붙임 초류파종', '굴취', '식재', '뿌리돌림', '유지관리', '정원석 쌓기 및 놓기', '암 절개면 보호 식재공' 등 7개 대공종과 29개 소공종으로 다양하게 변천되어 왔다. 1970년대는 주로 식재 분야의 품셈이 주로 제정되었다. 조경 산업 분야도 건설업의 종류에 조경공사가 신설되고 최초의 조경업체 신설과 조경기술자격 제도가 신설되었다. 1980년대는 유지관리 분야의 품셈이 주로 제정되었다. 조경 산업 분야도 조경공사의 영역의 확대와 더불어 조경업체나 공사금액도 외형적인 성장을 한 시기이다. 1990년대는 비탈면 보호 분야의 품셈이 주로 제정되었다. '건설산업기본법'의 개정으로 인하여 조경의 영역이 축소되었으나, 신기술제도의 신설과 함께 외형적으로 크게 성장한 시기이다. 2000년대는 신소재와 신공법 및 유지관리 분야의 품셈이 주로 제정되었다. 조경 산업분야도 조경공사와 관련된 설계기준, 적산기준 등이 제정 및 개정되었고 조경업체나 공사금액도 외형적으로 크게 성장을 하였다.
조경공사 표준품셈에 대한 만족도는 전문가 대부분이 불만족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전문가 집단별로 만족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조경공사 표준품셈 중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공종은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식재 공종을 선정하였다. 개정이 필요한 공종은 굴취, 식재, 유지관리 공종을 선정하였고, 공사단가의 현실화와 품셈의 부재로 인한 단가의 현실화 등을 개정 사유로 밝혔다. 제정이 필요한 공종은 시설물, 식재, 조경토 부설 공종 등을 선정하였다. 대부분 품셈의 결여로 인한 단가의 불합리성을 제정 사유로 밝혔다.
조경설계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도출된 중요한 변천 요인은 '경제 및 인력 발전', '조경공사 대형화와 고급화', '경제여건 변화' 순으로 파악되었다. 조경시공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도출된 중요한 변천 요인은 '조경공사 다양화와 고급화', '건설 환경 변화', '경제여건 변화' 순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녹지 공무원 집단으로부터 도출된 중요한 변천 요인은 '경제여건 변화, '업체 환경 변화', '조경공사 다양화와 고급화' 순으로 파악되었다.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조경공사 다양화, 조경공사 고급화, 경제여건 변화, 건설 환경 변화, 조경공사 대형화, 경제 및 인력 변화 등의 요인 때문에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변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집단 전체의 공통적 중요한 변천 요인은 조경공사 고급화, 조경공사 다양화, 경제여건 변화 등이다. 그리고 건설 환경 변화 요인은 조경 전문가 전체적으로는 중요한 변천 요인이나 각 전문가 집단별로 파악된 결과에서는 조경설계, 녹지 공무원의 설명력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요한 변천 요인인 조경공사 고급화 요인은 조경공사 금액의 폭발적 증가와 관련되었을 것이고, 조경공사 다양화 요인은 조경공사 공종의 다양화와 신기술 및 신공법의 도입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추측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제여건 변화 요인은 조경업체 수의 급속한 증가와 지속적인 조경기술 인력의 증가와 관련되었을 것으로 추측 할 수 있다. 향후 조경공사의 고급화, 다양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기에 조경공사 표준품셈도 식재, 굴취 및 유지관리 공종 위주로 많은 변천을 보일 것으로 판단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8). 조경 적산학 : 서울. 도서출판 국제. | 미소장 |
2 | (1996). 공원산책로 개설 품에 관한 기초연구. 국립진주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3. 180 〜 185. | 미소장 |
3 | 건설부 (1963). 건설공사 토목공사설계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4 | 건설부 (1964). 건설공사 토목공사설계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5 | 건설부 (1965). 건설공사 토목공사설계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6 | 건설부 (1966). 건설공사 토목공사설계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7 | 건설부 (1968). 건설공사 토목공사설계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8 | 건설부(1969). 건설공사 토목공사설계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9 | 건설부 (1977).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10 | 건설부 (1978).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11 | 건설부 (1980).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12 | 건설부(1981).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13 | 건설부 (1983).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14 | 건설부 (1984).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15 | 건설부 (1985).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16 | 건설부 (1986).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17 | 건설부(1987).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18 | 건설부(1988).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19 | 건설부 (1989).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20 | 건설부 (1990).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21 | 건설부(1991).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22 | 건설부 (1992).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23 | 건설부 (1993).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24 | 건설부 (1996).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25 | 건설부 (1998).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 미소장 |
26 | 경제기획원 (1974). 표준품셈(토목부문). 경제기획원. | 미소장 |
27 | 경제기획원(1975). 표준품셈(토목부문). 경제기획원. | 미소장 |
28 | 경제기획원 (1976). 표준품셈(토목부문). 경제기획원. | 미소장 |
29 | 국토해양부 (2008). 가설공사 등 건설공사 표준품셈 일제정비 실사 기술기준과 보도자료. | 미소장 |
30 | 국토해양부 (2010). 건설공사 실적공사비 적용 공종 및 단가. | 미소장 |
31 | 우리나라 造景植物 維持管理품셈의 改善에 관한 硏究 ![]() |
미소장 |
32 | 대한건설협회 (1970).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33 | 대한건설협회 (1972).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34 | 대한건설협회 (1973).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35 | 대한건설협회 (1994).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36 | 대한건설협회 (1995).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37 | 대한건설협회 (1997).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38 | 대한건설협회 (1999).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39 | 대한건설협회 (2000).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40 | 대한건설협회(2001).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41 | 대한건설협회 (2002).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42 | 대한건설협회(2003).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43 | 대한건설협회(2004).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 미소장 |
44 | 대한건설협회 (2009). 2009년 주요 건설통계. | 미소장 |
45 | 대한건설협회 외 (2010). 조경공사 적산기준 : 서울. 도서출판 조경. | 미소장 |
46 | (2006). 조경공사 적산기준 개선에 관한 전문가 의식조사. 조경시공 (편).No. 21. (pp. 91〜92). 도서출판 조경. | 미소장 |
47 | (2008). 조경적산학 : 도서출판 조경. | 미소장 |
48 | (1993). 표준품셈 실사를 위한 작업분석 기법 응용에 관한 연구.건설논총 Vol. 6 No.1 15〜30. | 미소장 |
49 | 건설공사 표준품셈 : 1973년도 | 소장 |
50 | 표준품셈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한·일 양국 비교 | 소장 |
51 | (1990). 조경 식재공사 표준품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한국조경학회지 18(3). 23〜37. | 미소장 |
52 | (1990) 조경 수목 식재공사 품의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생태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3 | (2001). 실적공사비 적산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토목환경 시스템공학과 석사학위논문 . | 미소장 |
54 |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 Changes on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Korea | 소장 |
55 | (2008). 한국의 조경산업. 환경조경발전재단 (저). 한국조경백서(pp. 9 6〜 135). 도서출판 조경. | 미소장 |
56 | (1988). 조경공사 표준품셈 개정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 학술발표논문. | 미소장 |
57 | 수목이식공사의 적산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교목류를 중심으로 | 소장 |
58 | (2006). 조경공사 관리 및 적산 :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59 | 조경 적산의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소장 |
60 | (2002). 조경실무 30년의 리뷰 그리고 제언. 한국조경학회 30주년 기념집.(저) 한국의 조경 (pp. 5 5〜80). 한국조경학회. | 미소장 |
6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3). 적산제도 개선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건설부. | 미소장 |
6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5).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미소장 |
6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6).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미소장 |
6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미소장 |
6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8).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미소장 |
6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9).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미소장 |
6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0).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미소장 |
6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 2007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개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미소장 |
69 | 한국이공학사 (1979). 표준품셈. 한국이공학사. | 미소장 |
70 | 한국이공학사 (1982). 표준품셈. 한국이공학사. | 미소장 |
71 | 한국조경학회 (2003). 조경시공학 : 문운당. | 미소장 |
72 | 한국조경학회 (2007). 조경공사업 발전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 | 미소장 |
73 | 한국조경학회 (2008).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국토해양부. | 미소장 |
74 | 환경조경발전재단 (2008). 한국조경백서 : 서울. 도서출판 조경. | 미소장 |
75 | 국토해양부. www.mltm.go.kr | 미소장 |
76 |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likms.assembly.go.kr/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 미소장 |
77 | 대한건설협회. www.cak.or.kr | 미소장 |
78 | 대한전문건설협회. kosca.or.kr | 미소장 |
79 | 한국건설신기술협회. kcnet.or.kr | 미소장 |
80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www.kicttep.re.kr | 미소장 |
81 | 한국산업인력공단. hrdkorea.or.k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