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Symbol and Abbreviation 9
Abstract 11
제1장 서론 13
제2장 Two-segment 코어 모델을 이용한 PT 철공진의 과도상태 정량적 분석 17
2.1. 선형 제차 미분방정식의 일반해 21
2.2. 선형 비제차 미분방정식의 특수해 23
2.3. 선형 미분방정식의 해 26
제3장 Two-segment 코어 모델 기반 PT 철공진 방지 방법 37
3.1. 쇄교자속 자연응답과 전압 자연응답의 초기값들에 대한 관계식 38
3.2. 모드별 철공진 방지 조건 40
3.2.1. 과제동 모드에서 PT 철공진 방지 조건 42
3.2.2. 임계제동 모드에서 PT 철공진 방지 조건 47
3.2.3. 부족제동 모드에서 PT 철공진 방지 조건 51
제4장 Two-segment 코어 모델을 이용한 PT 철공진의 과도상태 해석적 분석에 대한 사례 연구 59
4.1. 사례 1: 부족제동과 부족제동 사이의 모드 전이 (θ=90도) 62
4.2. 사례 2: 부족제동 모드 (θ=0도) 65
4.3. 사례 3: 과제동과 부족제동 사이에 모드 전이 (θ=90도) 67
제5장 Two-segment 코어 모델 기반 PT 철공진 방지 방법에 대한 사례연구 70
5.1. 사례 4: CB = 4170 pF, CE = 1269 pF λs₁ = 1.2 λrated, L₁ = 51.433 kH(이미지참조) 72
5.2. 사례 5: CB = 4170 pF, CE = 1269 pF λs₁ = 1.85 λrated, L₁ = 38.575 kH(이미지참조) 74
5.3. 사례 6: CB = 4170 pF, CE = 1269 pf λs₁ = 2 λrated, L₁ = 51.433 kH(이미지참조) 77
5.4. 사례 7: CB = 4170 pF, CE = 2538 pF λs₁ = 1.2 λrated, L₁ = 51.433 kH(이미지참조) 79
5.5. 사례 8: CB = 4170 pF, CE = 2538 pF λs₁ = 2.65 λrated, L₁ = 38.575 kH(이미지참조) 81
제6장 결론 84
참고문헌 86
부록 89
부록 A. PT 철공진 모델의 간단화 89
부록 B. Two-segment 코어 모델을 이용한 HYSDAT 코어 모델의 포화점 선정방법 96
부록 B.1. HYSDAT 코어 모델의 특징 96
부록 B.2. Two-segment 모델의 포화점(λs₁, is₁)을 이용하여 HYSDAT 코어 모델의 포화점(λs_hys, is_hys) 선정방법(이미지참조) 99
부록 B.3. HYSDAT 코어 모델의 포화점(λs_hys, is_hys)을 이용하여 two-segment 코어 모델의 포화점(λs1,is1) 선정방법(이미지참조) 102
부록 C. Two-segment 코어 모델의 확장 104
부록 C.1. 자화 곡선으로 확장 105
부록 C.2. 히스테리시스 모델로 확장 106
부록 D. 모드별로 표현한 특수해 및 K 111
부록 D.1. 선형 비제차 미분방정식의 특수해를 모드별로 표현 111
부록 D.2. K를 모드별로 표현 116
부록 E. λh0와 vh0/ω의 다른 표현(이미지참조) 120
부록 F. 생략한 수식 전개과정 122
그림 2.1. PT 철공진 모델 18
그림 2.2. Two-segment 코어모델 19
그림 2.3. 부족제동모드에서 선형 미분방정식 해의 계수와 위상각 δh의 관계(이미지참조) 32
그림 2.4. 뉴톤-랍슨 방법을 이용한 tst의 계산(이미지참조) 36
그림 3.1. 모드별 쇄교자속의 상한 41
그림 3.2. Vho = 0과 (Vh0/w))/λh0 = -tanδp의 의미(이미지참조) 58
그림 4.1. EMTP-RV를 이용한 PT 철공진 모델 60
그림 4.2. 사례 1에 대한 결과 64
그림 4.3. 사례 2에 대한 결과 66
그림 4.4. 사례 3에 대한 결과 69
그림 5.1. 사례 4에 대한 결과 73
그림 5.2. 사례 5에 대한 결과(λs1 = 1.2λrated, L₁ = 38.575 kH)(이미지참조) 75
그림 5.3. 사례 5에 대한 결과(λs1 = 1.85λrated, L₁ = 38.575 kH)(이미지참조) 76
그림 5.4. 사례 6에 대한 결과 78
그림 5.5. 사례 7에 대한 결과 80
그림 5.6. 사례 8에 대한 결과(λs1 = 1.2λrated, L₁ = 38.575 kH)(이미지참조) 82
그림 5.7. 사례 8에 대한 결과(λs1 = 2.65λrated, L₁ = 38.575 kH)(이미지참조) 83
그림 A1. 154kV 한국전력 GIS 단선도 90
그림 A2. 간단한 등가회로 1 91
그림 A3. 간단한 등가회로 2 91
그림 A4. 간단한 등가회로 3 92
그림 B1. HYSDAT 코어 모델의 결과 97
그림 B2. 1사분면에서 HYSDAT 코어 모델의 결과 98
그림 B3. Two-segment 코어 모델의 포화점을 이용한 HYSDAT 코어 모델의 포화점 선정방법 99
그림 B4. Hysteresis fitter를 이용한 곡선정합 결과 101
그림 B5. Two-segment 코어 모델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와 HYSDAT 코어 모델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 102
그림 C1. 구분적 선형 자화 곡선 105
그림 C2. 구분적 선형 히스테리시스 곡선(3 segments) 107
그림 C3. 구분적 선형 히스테리시스 곡선(4 segments) 108
그림 C4.구분적 선형 히스테리시스 곡선((n+1) segments) 109
그림 D1. 쇄교자속 선형 비제차 미분방정식 특수해의 계수 113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Modeling and analysis guidelines for slow transients. III. The study of ferroresonance ![]() |
미소장 |
2 | Novel analytical solution to fundamental ferroresonance-part I: power frequency excitation characteristic ![]() |
미소장 |
3 | “Ferroresonance, cahier technique no. 190,” Groupe Schneider, 1998. | 미소장 |
4 | An unsymmetrical mode of ferroresonance ![]() |
미소장 |
5 | Novel analytical solution to fundamental ferroresonance - part II: criterion and elimination ![]() |
미소장 |
6 | Failure of Electromagnetic Voltage Transformer Due to Sustained Over-Voltage on Switching - an Indepth Field Investigation and Analytical Study ![]() |
미소장 |
7 |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9th Ed, John Wiley & Sons, 2006. | 미소장 |
8 | Dynamics on ferroresonant circuit exhibiting chaotic phenomenon ![]() |
미소장 |
9 | 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 Theory Book, Chapter 6, 1995. | 미소장 |
10 | Digital Time-Domain Simulation of Ferroresonance of Potential Transformer in the 154 kV GAS Insulated Substation | 소장 |
11 | "EMTP-RV Referece Manual," CEATI International Inc. [Online]. Available: http://www.emtp.com. | 미소장 |
12 | Parameters Affecting Ferroresonance in $LCR$ Electric Circuits ![]() |
미소장 |
13 | EMTP Primer, EPRI, 1985, Sec. 9 | 미소장 |
14 | Damping of capacitive voltage substations ferroresonance using a suitable RLC filter ![]() |
미소장 |
15 | No ![]() |
미소장 |
16 | "154kV GIS 모선 PT 이상전압 발생 원인규명 및 예방대책," 99 전력계통보호기술연구회논문, 1999, pp. 190-196 | 미소장 |
17 | "GIS 변전소 유도성 전압변성기의 철공진 방지대책," 한국전력공사 | 미소장 |
18 | Multimodal operation of a ferroresonant circuit with quintic nonlinearity ![]() |
미소장 |
19 | Ferroresonance study using Galerkin method with pseudo-arclength continuation method ![]() |
미소장 |
20 | Ferroresonance in electromagnetic voltage transformers: A study based on nonlinear dynamics ![]() |
미소장 |
21 | No-New-Neurons Dogma Loses Ground ![]() |
미소장 |
22 | Quantification of the chaotic behavior of ferroresonant voltage transformer circuits ![]() |
미소장 |
23 | Estimation of the model parameters of ferroresonant circuits using jump voltage assignment ![]() |
미소장 |
24 | An Accurate Hysteresis Model for Ferroresonance Analysis of a Transformer ![]() |
미소장 |
25 | Impacts of Transformer Core Hysteresis Formation on Stability Domain of Ferroresonance Mode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