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0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문제 18

3. 용어의 정의 19

4. 연구의 제한점 20

II. 이론적 배경 21

1. 대안교육의 이론적 개념과 운영실태 21

가. 대안교육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21

나. 한국 대안교육의 유형 및 실태 42

다. 외국 대안교육의 이념과 동향 47

2.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 56

가. 학교의 교육적 효과의 개념 56

나.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 측정준거 60

다. 선행연구 고찰 69

3. 연구대상 대안학교 현황 73

4. 연구의 틀과 절차 98

III. 연구 방법 101

1. 연구 대상 101

2. 측정도구 102

3. 자료처리 113

IV. 연구 결과 및 논의 114

1. 대안학교의 유형별 특성 분석 114

2. 대안학교의 유형별 교육적 효과 분석 126

가. 대안학교의 변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 126

나.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 137

다. 학생의 가정변인과 학교변인이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146

3. 종합 논의 165

V. 요약 및 결론 176

1. 요약 176

2. 결론 180

3. 제언 183

참고문헌 185

부록 200

표목차

〈표II-1〉 성격에 따른 대안학교 분류 27

〈표II-2〉 교사의 기준 면적(제3조제2항 관련) 38

〈표II-3〉 옥외체육장의 기준 면적(제3조제2항 관련) 38

〈표II-4〉 대안학교 개정안 변경내용 39

〈표II-5〉 대안학교 추진현황 41

〈표II-6〉 특성화 대안학교 인가 현황(2010. 5월 현재) 43

〈표II-7〉 유형별 대안학교 현황 44

〈표II-8〉 위탁형 대안학교 현황(2009) 45

〈표II-9〉 미인가 대안학교 급별 현황 46

〈표II-10〉 미인가 대안학교 설립·운영 주체 및 설립 기원 현황 46

〈표II-11〉 효과적인 학교 특성 분석 62

〈표II-12〉 학습흥미를 산출변인으로 측정한 연구자료 66

〈표II-13〉 학생만족도와 관련된 연구자료 69

〈표II-14〉 대안학교별 인원 현황(2010년) 73

〈표II-15〉 대안학교별 출신지역 현황 74

〈표II-16〉 영산성지고 세입 예산현황(2010년) 74

〈표II-17〉 영산성지고 세출예산 현황(2010년) 75

〈표II-18〉 대안학교별 시설현황 75

〈표II-19〉 학교주변 지역 환경 현황 76

〈표II-20〉 영산성지고 학생들의 장래 희망 선호도 77

〈표II-21〉 세인고 학생들의 장래 희망 선호도 78

〈표II-22〉 세인고 부모 학력 수준 현황 78

〈표II-23〉 영산성지고 부모들의 직업별 분석 현황 79

〈표II-24〉 영산성지고 학생 부모 동거 현황 80

〈표II-25〉 세인고 학생들의 대학 진학 현황 80

〈표II-26〉 교육이념 특성 비교표 84

〈표II-27〉 교육목표 특성 비교표 85

〈표II-28〉 대안학교의 보통교과 과목 편성 현황 96

〈표II-29〉 특성화 교과 과목 편성 현황 97

〈표II-30〉 재량 및 특별활동 교육과정 편성표 98

〈표III-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02

〈표III-2〉 설문지 회수 현황 103

〈표III-3〉 심층면접 내용 104

〈표III-4〉 교사의 능력 측정도구 107

〈표III-5〉 개정된 학교풍토 설문지(OCDQ-RE) 문항구성과 신뢰도 109

〈표III-6〉 학습흥미의 측정도구 및 신뢰도 111

〈표III-7〉 설문도구의 하위영역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113

〈표IV-1〉 대안학교 유형별 특성 분석 116

〈표IV-2〉 영산성지고에 입학한 동기 118

〈표IV-3〉 세인고에 입학한 동기 119

〈표IV-4〉 부모 교육수준에 따른 교사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 126

〈표IV-5〉 부모 교육수준에 따른 교사능력 하위변인에 대한 인식 차이 127

〈표IV-6〉 부모 교육수준에 따른 학교풍토 유형에 대한 인식 차이 128

〈표IV-7〉 주거지에 따른 교사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 129

〈표IV-8〉 주거지에 따른 교사능력 하위변인에 대한 인식 차이 129

〈표IV-9〉 주거지에 따른 학교풍토에 대한 인식 차이 130

〈표IV-10〉 가정배경에 따른 교사 능력의 차이에 대한 각 학교별 인식 차이 132

〈표IV-11〉 교사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학교별 인식 차이 134

〈표IV-12〉 학교별 학교 풍토의 차이에 대한 인식 차이 136

〈표IV-13〉 부모 교육수준에 따른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 138

〈표IV-14〉 주거지에 따른 교육적 효과의 인식 차이 139

〈표IV-15〉 가정변인에 따른 학습 흥미의 차이에 대한 각 학교별 인식 차이 140

〈표IV-16〉 가정변인에 따른 학생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각 학교별 인식 차이 142

〈표IV-17〉 가정변인이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 147

〈표IV-18〉 가정변인이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48

〈표IV-19〉 교사능력이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 149

〈표IV-20〉 학교풍토가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 152

〈표IV-21〉 학교변인이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54

〈표IV-22〉 학교풍토가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59

〈표IV-23〉 대안학교 유형별 특성 분석 현황 167

그림목차

[그림III-1] 대안학교의 특성과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의 틀 모형 99

[그림III-2] 대안학교의 특성과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절차 모형 100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인 학습흥미와 학생만족도에 가정변인과 학교변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안학교 유형별로 어떠한 특성이 있는가?

둘째, 대안학교 유형별로 교육적 효과가 무엇인가?

1) 대안학교 변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는 무엇인가?

2)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는 무엇인가?

3) 학생의 가정변인과 학교변인이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인 학습흥미와 학생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은 무엇인가?

셋째,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방향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개 지역(전남, 전북, 경남)에서 성격이 다른 3개의 대안학교를 선택하였으며, 총 266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을 위하여 3개 학교에서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대안학교의 개념에 대한 정리와 대안학교의 특성 및 현황, 그리고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준거를 고찰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 프로그램인 SPSS 15.0으로 영역별 신뢰성은 Cronbach's α를 이용하였다. 연구변인들 간의 인식의 차이를 알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Enter 방식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학교의 유형별 특성분석이다.

연구대상 대안학교로 선정된 세 개 학교를 생태학교, 재적응학교, 고유이념학교로 구분하고 교장의 지도성을 분석한 결과 생태학교는 업무중심, 재적응학교는 관계중심, 고유이념학교는 업무중심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이 대안학교에 입학한 동기를 분석한 결과 대안학교가 갖고 있는 고유의 성격에 맞게 학생들이 입학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가정에서 대안학교에 대한 입학정보와 인식정도를 알기 위하여 심층 면접한 결과 대안학교에 입학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가족이나 가까운 선·후배에 의해 대안학교에 대한 정보를 얻었으며, 대안학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숙지하고 입학하였다는 결과를 얻었다.

대안학교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인간관계와 기숙사와 같은 단체생활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대안학교 교육과정이 입시중심이 아닌 특성화 수업방식으로 인하여 대학진학에 상대적으로 불이익이 발생할 것이라는 두려움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거의 대부분 학생들이 입학사정관제도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안학교별 교육적 효과분석이다.

1) 대안학교의 변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 분석이다. 교사능력에 대하여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능력의 하위영역인 학습기회와 흥미유발 영역에서 읍·면 지역의 학생들이 대도시의 학생들보다도 교사들의 능력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별 교사능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유이념학교 학생들이 생태학교 학생들보다 높이 인식하고 있으며, 교사능력 하위영역인 학습행동관리 영역에서 고유이념학교 학생들이 재적응학교와 생태학교 학생들보다 교사의 학습행동관리 능력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풍토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교장은 폐쇄적, 교사는 개방적으로 나타났으며, 학교별로 학교풍토를 분석한 결과 재적응학교는 개방적인 교장으로 나타났지만 고유이념학교와 생태형학교는 폐쇄적인 교장으로 나타났다. 교사에 대한 학교풍토는 전체적으로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 분석 결과이다.

부모 교육수준에 따른 학습흥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원졸, 대졸, 고졸이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원졸, 고졸이하, 대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 학교별로 학습흥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유이념학교, 생태학교, 재적응학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고유이념학교의 경우 학생들의 부모 학력이 대학원 졸 이상일 경우 가장 높은 학습흥미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다음으로는 고졸이하, 그리고 대졸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학교별로 학생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유이념학교, 생태학교, 재적응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태학교의 경우 학생들의 부모 학력이 고졸이하일 경우 가장 높은 학생만족도를 보여주었고 다음으로는 대학원졸, 대졸 순으로 나타났다.

3) 학생의 가정변인과 학교 변인이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R²) 분석이다.

가정 변인이 교육적 효과인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교육수준이 38%, 주거지별로는 40%가 학습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교육수준에서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력의 집단 간의 차이는 고졸이하, 대졸, 대학원졸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거지 영역에서는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정 변인이 교육적 효과인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주거지별로는 27%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의 차이는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 변인이 교육적 효과인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교사능력은 학습흥미에 16.4%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풍토에서 개방적인 교사는 학습흥미에 7.4%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변인이 교육적 효과인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교사능력은 학생만족도에 41.3%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풍토에서 개방적인 교사는 학생만족도에 25.9%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안학교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방향이다.

대안학교는 다양한 성격과 특성이 존재하며 이러한 특성을 인정하고 학교의 다양성을 존중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다양성이 인정되고 학생들의 적성과 재능을 최대한 발휘하며, 학생중심의 다양한 대안학교가 설립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양질의 대안학교 교사의 양성을 위해서 인력 확보체제를 구축하고 대안교육연수원을 통하여 정기적인 워크숍이나 공동연수 등을 통한 활발한 경험교류 기회를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대안학교의 제도화에 대한 필요성과 자율성 확보 및 재정지원 확대이다.

참고문헌 (20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2).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서울 :박영률 출판사 미소장
2 (2001). 학교효과의 측정과 학교평가방법 비교 분석.교육학연구,39(3),1-26. 미소장
3 (1996).학교효과성 측정도구 개발 연구.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2001).교사가 지각한 교장 수업지도성과 학생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구조.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 (1995).학교효과 연구의 조망.한국교육학회소식.31(2) 미소장
6 (1996). 새 학교구상: 좋은 학교의 조건과 그 구현 방안 탐색.서울: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7 (2009).특성화 고등학교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연구보고서 RR-2008-01,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8 교육과학기술부(2007).대안교육백서. 미소장
9 (2008).교육사회학.교육과학사. 미소장
10 (1995). 대안적 학교교육이란. 교육개발 통권 94호. 서울: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1 (2008).기독교대안학교 발전 방안 모색:신앙공동체 이론을중심으로.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2 효과적인 학교 결정요인 소장
13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rocess Variables of Effective Schools and their Students 소장
14 (1997). 리더쉽 유형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2000).대안학교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ion Model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Total Quality Management in Elementary Schools 소장
17 대안교육의 교육관과 실천사례 연구 소장
18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아동의 학업성취 소장
19 Educational Gap in Korea and Determinant Factors 소장
20 The Effect of Private Lessons on Academic Achievement 소장
21 (1994). 학생이 지각한 선호-실제 학급풍토와 학업성취의관계.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2 (2005). 이미지 메이킹이 개념 정립과 프로그램의 효과성분석 연구.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3 (1984).탈학교논쟁.한마당. 미소장
24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 효과성과 교장 리더십, 학교 풍토 및 교사 교수활동의 관계 연구 소장
25 (2005).교육효과성 제고를 위한 통합적 접근의 교사평가체제 개선 연구.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2008).아오스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학현사. 미소장
27 (2004).초등학생의 학업성취 특성분석 및 지원방안.서울대학교 교육행정연수원. 미소장
28 (1997).교사가 지각한 유아 교육 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 효과성의 관계연구.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9 (2007).조직 내 세대차이 극복을 위한 교육의 효과에 관한연구.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대안교육에 있어서 '대안'의 범주화 소장
31 (1981). 교육격차의 관련요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32 (1999).리더쉽 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2008).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 효과 분석.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4 (1998).학교효과 결정요인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5 도시형 대안학교 운영특성에 관한 연구 소장
36 대안학교 학력인정에 관한 연구 소장
37 학습 집중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소장
38 (2003).학교교육수준 및 실태분석 연구:고등학교.한국교육 개발원 연구보고서,RR 2003-16. 미소장
39 集中力訓鍊이 數學敎科 學習力에 미치는 影響 소장
40 (2001). 도시형대안학교 설립방안에 관한연구.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보고서. 미소장
41 (1993).한국의 교육 불평등:고등교육 팽창의 과정과 결과.서울:교육과학사. 미소장
42 (1993).학업성적에 대한 기여변인의 영향력 분석.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3 (2008).초등 영어 수업에서의 드라마 활동에 대한 교육적효과.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4 (1983).중학생의 영어과 학습에 대한 흥미상실 시기 및 그원인에 관한 연구.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5 (1999).교장의 지도성 유형이 교원사기와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변혁적 거래적 지도성을 중심으로.성균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6 (2005).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풍토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7 대안학교 학부모의 교육열에 관한 연구 소장
48 (1973).작은 것이 아름답다.서울:범우사. 미소장
49 (2008).자연권 수련시설의 스포츠체험 환경과 교육적 효과성의 관계.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0 (2007).특성화 대안학교 정책 평가 연구.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1 (2003).초등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2 How cooperative learning affects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educational self efficacy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소장
53 (2005).청소년 학습전략 검사 타당화 연구: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4 (1998).우리나라 대안교육 실천사례 비교 연구 :계절프로그램 형태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5 대안학교의 제도화 과정과 법제화 방향에 관한 논의 소장
56 대안교육 수요의 특성 및 결정 요인 분석 소장
57 (1994).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행위가 학교효과성에 미치는영향:고등학교를 중심으로.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8 (2009).초등학교 효과성 관련 요인 간의 관계분석 연구.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9 (2009).영어 유치원과 일반 유치원 유아의 영어 학습흥미도 분석.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0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한 대안교육 정책에 관한 연구 소장
61 (2003).변량분석과 회귀분석.학지사. 미소장
62 (2004).과학 영재의 특성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3 (1996).공동체주의 교육이념에 기초한 한국 대안학교 실천에 관한 연구.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4 지역간,학군간 학력격차의 문제 네이버 미소장
65 (2005).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대안학교 교육과정개발.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6 (2004).우리나라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분석: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7 (2004).고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학업성적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15(2),113-127. 미소장
68 (2009).학교효과분석.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9 學校敎育機能과 學校效果性間의 關係硏究 소장
70 (2004).학교교육 기능과 효과성.원미사. 미소장
71 교육투자의 미시적 접근에 대한 논의 : 학교 교육 생산성을 중심으로 소장
72 (1992).교수효과성 평가를 위한 준거체제 탐색연구.『교육학 연구,30(4)157-172. 미소장
73 (2009). 기독대안학교 학생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연구.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4 (2009).작은 학교 운동의 현황과 방향.제 2참교육 운동,새로운 실천,새로운 학교,2009 여름 새로운 학교 연수 자료집.새로운 학교 네트워크. 미소장
75 (1996).대학교육의 효과성 변인의 측정과 분석.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6 서울평화교육센터 편(1997).대안학교의 모델과 실천.서울:내일을 여는 책. 미소장
77 (1997).인문계 고등학교 학교효과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8 (2006).고등학교 국어교과 읽기수업의 독해력 향상 TAI협동학습 모형개발과 효과성 검증.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9 (2008).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학지사. 미소장
80 (2005).주요국 대안교육 프로그램 운영비교연구.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81 우리나라 대도시 고등학교 학교풍토의 개방성에 관한 연구 소장
82 (1998).대안학교의 전인교육이념 실천에 관한 연구.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3 가톨릭 대안 학교 교육을 위한 사례 연구 : 독일 "마르히탈 계획 학교" 소장
84 A Case Study of Catholic Alternative Schools in Germany through the Analysis of "Carl-Joseph-Leiprecht-Schule" in Germany 소장
85 (1999).대안학교의 공동체 가치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6 (2007).대안학교와 일반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연구:발도르프학교를 중심으로.교육과학논총,20(1).p35-43 미소장
87 Study on the Relation among Teachers' Perceived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소장
88 (1999).대안학교의 학생들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인문계고등학교 학생들과의 비료를 통하여.한국교원대학 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9 (1998).한국교육의 새로운 모색.서울:내일을 여는 책. 미소장
90 (2004).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91 (2005).부모의 가족배경과 사회문화적 자원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제 1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미소장
92 (1994).조직행동의 이해.법문사. 미소장
93 (1997).어린이 마음.정신기획. 미소장
94 학교조직 효과성의 메타분석 소장
95 대안학교의 학부모 참여와 교육 주체의 형성 과정 : 부천 <산어린이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96 (2004).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문화적 지도성이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97 사고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및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소장
98 (2006).학교장 리더쉽이 의사소통과 조직몰입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99 (2008).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의 교수․학습풍토 및 교사의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0 (2009). 부모 교육참여와 학교교육 효과성 인식과의 관계.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1 (2009).교육적 효과 개념의 비판적 분석과 교육과정학연구에의 시사점.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2 (1990). F.E.Fiedler의 LPC척도에 대한 이해(1):도구로서의 신뢰도검증.전북대학교 논문집 20. 미소장
103 생명가치구현을 위한 영국의 대안교육:Schumacher학회의 작은 학교를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104 (1999).새로운 학교 풍경.예영커뮤니케이션. 미소장
105 (1995).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변화촉진행동,교사의 변화관심,학교효과성간의 관계.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6 (2007).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7 (1995).공동체가 살아야 교육이 큰다.대안교육을 생각하는 모임.새로운 학교,큰 교육 이야기.내일을 여는책. 미소장
108 (1999).한국대안학교의 특성 분석.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미소장
109 A Study on the Political Proposals for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um in the Alternative Schools 소장
110 (2008).대안교육의 실천과 모색.서울:학지사. 미소장
111 A Study on the System of Support for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um in the Alternative Schools 소장
112 (1998). 행정조직문화 인식양태와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3 (2001).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성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4 (2005).교사신뢰척도 개발 및 교사신뢰와 학교효과 변인의 관계모형 검증.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5 The effects of STAD and TGT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interests 소장
116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High School 소장
117 (1998).대안교육과 사회사업실천.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8 초·중·고 통합운영학교의 교육 효과 분석 소장
119 (1998). 최고 경영자의 가치지향성이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20 학교 교육의 위기와 원인, 그리고 대안의 모색 소장
121 (2001).대안교육과 대안학교.민들레. 미소장
122 대안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소장
123 代案學校의 運營 소장
124 대안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색(1) : 생태주의 교육 이념을 중심으로 소장
125 (1996).지능과 학습 흥미와 학업성적간의 관계.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6 대안학교 교육 만족도 분석 소장
127 (2002).효과적인 학교 특성을 통한 학교경영체제의 모형 탐색.교육행정학회연구.20(10).233-256. 미소장
128 (2009).대안학교 운영 실태 분석 연구.연구보고 RR 2009-3.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29 (2005). 대안학교의 자율성과 공공성 탐색. 교육행정연구. 20(3).25-48. 미소장
130 간디학교를 중심으로 소장
131 (A) Structural Analysis on Family Strength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Alternative Schools 소장
132 (2001).한국 대안학교의 실천사례에 관한 연구.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3 학교선택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소장
134 (1995). 케르센슈타이너와 듀이의 노작교육론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5 (2000).상업계 고등학교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6 (2003). 지역정보화정책의 지방전자정부 구현 효과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7 (1999).대안학교(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사 양성방안.교육인적자원부 정책개발 연구 보고서. 미소장
138 (1997).대안교육이란 무엇인가?서울:내일을 여는 책. 미소장
139 (1998).효과적인 학교를 결정하는 과정변인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40 (2000). 리더의 개인적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1 (2009). 학교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과 교수효과성과의 관계.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2 The Idea and History of Korean Alternative School 소장
143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성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소장
144 학생배경과 학업성취 : 어머니의 자녀교육에의 관여가 매개하는가? 소장
145 대안학교의 교육활동 비교 분석 소장
146 (1998).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 한울.56. 미소장
147 An Analysis of Conceptual Criteria on Alternative schools 네이버 미소장
148 pilot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chiev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d Students, teachers, and principals' leadership 소장
149 (2009). 역할극과 게임중심의 의사소통 학습방법이 유아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0 (2002).초등학교 학교효과에 관한 연구:학교환경,학교학습풍토, 학업성취의 다수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1 대안학교의 실태분석 연구 소장
152 (2002).한국 기업에서의 리더쉽 유효성에 관한 연구.중앙 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3 Recent Trend in Effective School Research 소장
154 (1992).학교 교육비와 교육 효과에 관한 논의.한국교육개발원 76.12-19. 미소장
155 (1999).학교교육 다기회를 위한 중등 대안학교 운영에 관한 연구.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6 (1996).새로운 학교교육을 위한 외국의 실험학교:21세기 신학교제도의 전망과 과제. 한국교육사회학연구회 학술세미나 자료집. 미소장
157 (1989).교육심리학의 구조 탐구.서울:교육과학사. 미소장
158 (2000).한국 교육철학의 현실과 대안.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9 한국 대안교육의 이념 모색 소장
160 대안학교 교육에 대한 비교연구 소장
161 敎師文化와 效果的인 學校의 關係 分析 소장
162 (1987). The design of school accountability systems. Paper resented at the Washington Conference on Educational Indicators. 미소장
163 (1978).A study of alternatives in American education, Rand(R-2170). Santa Monica: Rand. 미소장
164 (1979). School social systems and student achievement: Schools can make a difference. New York: Praeger. 미소장
165 Measur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166 (1990). Research that Inform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 Bloomington, Indiana: Phi delta Kappan Foundation. 미소장
167 (1978). Approachs to the Evaluation of Oganizational Effectiveness. Academmy of Management Review,2(3). 미소장
168 (1979).Effective school for the urban poor.Educational Leardership,37(1),15-27. 미소장
169 (1971). The What, Why and Where of the Alternatives Movement. National Elementary Principal. 미소장
170 (1973). Alternatives in education : A Typology of educational alternatives. Jossey-Bass, Inc.,Publisher. 미소장
171 (1977). Child Guidance and Delinquency in a London Borough.London: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72 (1985). Oganizations in Society. Englewood Cliffs,New Jersey:Prentice-Hall,Inc. 미소장
173 Elementary School Climate: A Revision of the OCDQ 네이버 미소장
174 (1996).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5th ed. New York: McGraw-HillInc. 미소장
175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176 (1973). Research into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 Endangered Species: Working Paper (University of Minnesota).p238-239. 미소장
177 (1966).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1st ed.).New York: John Willey & Sons. 미소장
178 (1997). The Parents' Guide to Alternatives in Education. SHAMBHALA PUBLICAYIONS, INC. Boston. 미소장
179 (1982).Alternative Schools.New York:Continuum. 미소장
180 (1997).No Destination,Chelsea Grean Pub Co. 미소장
181 (1990).Unusually effective school.A review and analysis of research and practice. Madison(USA): Nation Center for Effective Schools Research and Development. 미소장
182 (Eds.)(1994).Challenging the Giant:the best of EKOE,The Journal of Alternative Education.Albany: Down-To-EarthBooks. 미소장
183 Globalisation,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네이버 미소장
184 (1987). New evidence on effective elementary schools. Educational Leadership.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45(1),7-8. 미소장
185 (1988). School Matters: The Junior Years. Somerset, England: OpenBooks. 미소장
186 (1967). Delinquent Schools? New Society, 10: 542-543 미소장
187 NEIGHBOURHOOD, SCHOOL AND JUVENILES BEFORE THE COURTS* 네이버 미소장
188 London: 2,000 Years of a City and Its People 네이버 미소장
189 The Search for Effective Schools 네이버 미소장
190 (1991). Teaching Green: A Parent's Guide to Education for Life on Earth.London:GreenPrint. 미소장
191 (1979). Fifteen Thousand Hours: Secondary Schools and Their Effects on Children.London:Open Books. 미소장
192 Effective Schools: A Review 네이버 미소장
193 (1989).The School Effect. A Study of Multi-Racial Comprehensives. London: Policy Studies Institute. 미소장
194 (1988). School Effects. in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 N. J. Boyan New York:Longman,Inc.,).pp341-352 미소장
195 (1977). Effectiveness 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tudies.in Goodman,P.S.and Pennings,I.M eds.New Perspectiv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
196 (1990). School effectiveness and the development of process indicators of school functioning. In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Lissue: Swets & Zeitlinger.61-80. 미소장
197 (2000).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chool Effectiveness Research.London:Falmerpress. 미소장
198 Education Data System Redesign. 네이버 미소장
199 (1982).Instruction Process.In H.E.Mitzel (ed.), Encyclopedia of Educational Research 5th ed. New York:The Free Press.800-917. 미소장
200 (1984).Characteristics of Effective Organizations,ED 246837,March. 미소장
201 A System Resource Approach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네이버 미소장
202 교육과학기술부 http://www.mest.go.kr/ 미소장
203 간디고등학교 www.gandhischool.net/ 미소장
204 영산성지고등학교 http://www.yssj.hs.kr/ 미소장
205 세인고등학교 http://www.seine.hs.kr/ 미소장
206 간디고등학교(2010)학교 교육계획서. 미소장
207 영산성지고등학교(2010)교육과정 운영계획서. 미소장
208 세인고등학교(2010)학교 경영계획서.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