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7

요약 9

1. 서론 1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5

2. 디자인 창의력 교육 17

2.1. 디자인 창의력 교육의 필요성 17

2.1.1. 디자인과 창의성 17

2.2. 디자인 교육의 현황 24

2.2.1. 국내 초등학생 디자인 교육 24

2.2.2. 국외 초등학생 디자인 교육 27

3. 교구를 활용한 디자인 창의력 교육 32

3.1. 교구의 개념 32

3.1.1. 교구의 선정 기준 35

3.2. 실험에 활용한 교구 36

3.2.1. 도형도화지 (figure paper) 36

3.2.2. 옥타퍼즐 37

3.2.3. 애니메이션북 37

3.2.4. 소형톱니퍼즐 38

3.2.5. 조립식 이글루 38

3.3. 교구를 활용한 수업 운영 39

3.3.1. 수업운영프로그램 개요 39

3.3.2. 도형도화지 40

3.3.3. 옥타퍼즐 42

3.3.4. 애니메이션 북 44

3.3.5. 소형 톱니퍼즐 46

3.3.6. 조립식 이글루 48

4. 임상수업 반응조사 50

4.1. 임상수업 반응조사의 목적 및 내용 50

4.2. 임상수업 반응조사 방법 53

4.3. 임상수업 반응조사의 분석 55

4.3.1. 도형도화지 55

4.3.2. 옥타퍼즐 56

4.3.3. 애니메이션 북 57

4.3.4. 소형톱니퍼즐 58

4.3.5. 조립식 이글루 59

5. 결론 63

참고문헌 65

설문지 67

〈표 1〉 창의적 과정 14

〈표 2〉 연구 과정 16

〈표 3〉 디자인의 일반 교육으로서의 가치 20

〈표 4〉 영국의 교육단계에 따른 이수과정 28

〈표 5〉 레고 차량조립세트 33

〈표 6〉 교구의 선정 기준 35

〈표 7〉 도형도화지 구성 36

〈표 8〉 옥타퍼즐의 구성 37

〈표 9〉 애니메이션 북의 구성 37

〈표 10〉 소형톱니퍼즐의 구성 38

〈표 11〉 조립식이글루의 구성 38

〈표 12〉 수업운영 프로그램 39

〈표 13〉 도형도화지의 교수학습지침서 40

〈표 14〉 도형도화지의 수업운영 및 결과 41

〈표 15〉 옥타퍼즐 교수학습 지침서 42

〈표 16〉 옥타퍼즐의 수업운영 및 결과 43

〈표 17〉 애니메이션 북 교수학습지침서 44

〈표 18〉 애니메이션 북의 수업운영 및 결과 45

〈표 19〉 소형톱니퍼즐 교수학습지침서 46

〈표 20〉 소형톱니퍼즐의 수업운영 및 결과 47

〈표 21〉 조립식이글루 교수학습지침서 48

〈표 22〉 조립식이글루의 수업운영 및 결과 49

〈표 23〉 안성시종합사회복지관 53

〈표 24〉 양진초등학교 53

〈표 25〉 설문조사 측정항목 54

〈표 26〉 도형도화지 설문조사 측정항목 56

〈표 27〉 옥타퍼즐 설문조사 측정항목 57

〈표 28〉 애니메이션 북 설문조사 측정항목 58

〈표 29〉 소형톱니퍼즐 설문조사 측정항목 59

〈표 30〉 조립식 이글루 설문조사 측정항목 60

〈표 31〉 교구 5종 각 항목별 평균값과 총 평균 62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교구를 활용하여 디자인 창의력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는데 있다. 교구의 활용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집중과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창의적 결과물을 산출해낼 수 있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교구는 학문분야의 범위, 교구의 조형적 특성 등의 분류기준에 의해 선정된 도형도화지, 옥타퍼즐, 에니메이션북, 소형톱니퍼즐, 조립식 이글루이다. 본 교구를 활용하여 안성시에 거주하는 8세에서 11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디자인창의력교육을 실시하였다. 임상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반응을 설문과 결과물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면보다는 입체적이고, 신체활동이 많은 교구가 창의력에 더욱 효과적이다.

둘째, 평면적 교구일지라도 동작이 가능하며, 움직임을 느낄 수 있는 교구가 창의력 교육에 더 효과적이다.

셋째, 호기심, 집중도, 몰입도 그리고 창의력은 모두 관련도가 매우 깊다. 호기심 지수가 높을 때 집중도도 높았으며 이에 따라 몰입도도 높을 뿐 아니라 창의성 지수도 같이 높게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교구의 활용은 아이들이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흥미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흥미를 가진 아이는 집중과 몰입을 하게 되어 창의적 사고에 도달 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창의력에 이르기까지의 네 가지의 과정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네 가지는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

결국, 교구의 특징의 차이점에 따라 교구가 아동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또한 차이가 있으며, 평면적 교구 보다는 입체적 교구가, 또한 신체활동이 큰 놀이형식의 교구가 아동에게 더욱 효과적인 창의력 교육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교구가 가진 적절한 특징에 따라 교구 활용에 따른 교육효과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교구의 활용은 대체적으로 대상 학생들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