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4
제2절 연구방법 15
제3절 논문의 구성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8
제1절 조선시대 가구의 종류 18
1. 안방가구 20
2. 사랑방가구 37
3. 부엌가구 43
제2절 목재의 구조와 목리(木理)의 일반적 특성 고찰 53
1. 목재의 구조 54
2. 목리(木理)의 종류와 형태 56
3. 목재의 구성요소와 목리의 특성 및 건조방법 58
4. 조선시대 가구에 사용된 목재 및 특성 62
5. 목재 제재에 따른 목리의 형성 81
제3장 조선시대 가구의 형태와 목리(木理)의 상관관계 분석 84
제1절 조선시대 가구의 구성요소와 목리의 상관관계 분석 84
1. 장, 농의 형태와 목리 84
2. 반닫이 형태와 목리 88
3. 문갑, 사방탁자의 형태와 목리 91
4. 서안과 소반의 형태와 목리 95
5. 기타 가구(가께수리, 궤, 함)의 형태와 목리 100
제2절 조선시대 가구의 구성 요소와 크기 106
제3절 조선시대 가구의 구성요소에 따른 목재의 마름과 배치 108
1. 복판(문판), 쥐벽칸, 머름칸, 서랍의 목재 배치 109
2. 천판의 목재 배치 114
3. 다리(마대), 측널의 목재 배치 118
4. 문판(복판), 쥐벽칸, 머름칸, 서랍 가구 구성 목리 및 문양 122
5. 천판, 다리(마대), 측널 가구 구성 목리 및 문양 123
제4절 조선시대 가구의 종류에 따른 형태 및 목재의 표준 구성도 124
1. 느티나무 장 목재의 구성 125
2. 감나무 이층농 목재의 구성 127
3. 느티나무 반닫이 목재의 구성 129
4. 소나무 문갑 목재의 구성 131
5. 감나무, 소나무 사방탁자 목재의 구성 133
6. 소나무 서안 목재의 구성 135
7. 금강소나무 소반 목재의 구성 137
8. 참죽나무 가께수리 목재의 구성 139
9. 느티나무 궤 목재의 구성 141
10. 느티나무 함 목재의 구성 143
제5절 조선시대 가구의 구성요소에 따른 분석 145
1. 느티나무 장 목재의 구성 분석 145
2. 감나무, 소나무 이층농 목재의 구성 분석 147
3. 소나무 반닫이 목재의 구성 분석 149
4. 감나무, 소나무 사방탁자 목재의 구성 분석 151
5. 소나무 문갑 목재의 구성 분석 153
6. 소나무 서안 목재의 구성 분석 155
7. 금강소나무 소반 목재의 구성 분석 157
8. 참죽나무 가께수리 목재의 구성 분석 159
9. 느티나무 궤 목재의 구성 분석 161
10. 느티나무 함 목재의 구성 분석 163
제4장 조선시대 가구 형태에 목리의 특성을 응용한 디자인 제안 165
제1절 목재 문양의 패턴화를 통한 디자인 제안 165
1. 목재 문양의 패턴화 165
2. 디자인 목표 및 컨셉 167
제2절 목재 문양의 패턴화를 이용한 가구 디자인 시안 169
1. 안방가구 이층농 디자인 시안 169
2. 안방가구 삼층장 디자인 시안 172
3. 거실 문갑 시안 175
4. 거실 테이블 시안 178
제5장 결론 183
참고문헌 192
국문초록 197
Abstract 203
[그림 1-1] 연구 진행 체계 17
[그림 2-1] 삼층 옷장 (1103 X 548 X 1700mm) 21
[그림 2-2] 판형농 세부명칭 24
[그림 2-3] 판형 이층농 (780 X 385 X 1050mm) 25
[그림 2-4] 판형 이층농 (833 X 375 X 1345mm) 26
[그림 2-5] 기둥형농 세부명칭 27
[그림 2-6] 기둥형 이층농 (938 X 488 X 1412mm) 28
[그림 2-7] 기둥형 삼층농 (989 X 452 X 1750mm) 30
[그림 2-8] 반닫이 세부명칭 31
[그림 2-9] 반닫이 전면구조 형식 34
[그림 2-10] 문판의 구조와 형식 35
[그림 2-11] 다리구조와 형식 36
[그림 2-12] 내부구조와 형식 36
[그림 2-13] 문갑 종류 및 도면 (1440 X 368 X 225mm) 38
[그림 2-14] 서안의 종류 및 도면 (653 X 293 X 281mm) 39
[그림 2-15] 경상의 종류 및 도면 (673 X 303 X 272mm) 40
[그림 2-16] 사방탁자의 종류 및 도면 (486 X 486 X 1558mm) 41
[그림 2-17] 책장의 종류 및 도면 (1060 X 1250 X 392mm) 42
[그림 2-18] 찬장의 종류 및 도면 (1478 X 1597 X 756mm) 45
[그림 2-19] 찬탁의 종류 및 도면 (1957 X 1457 X 330mm) 46
[그림 2-20] 해주식 소반 세부명칭 및 도면 48
[그림 2-21] 소반 결속구조 방식과 형식 48
[그림 2-22] 나주식 소반 세부명칭 및 도면 49
[그림 2-23] 소반 결속구조 방식과 형식 50
[그림 2-24] 통영식 소반 세부명칭 및 도면 50
[그림 2-25] 소반 결속구조 방식과 형식 51
[그림 2-26] 다각반(공고상, 원반) 형식 51
[그림 2-27] 목재의 구조 54
[그림 2-28] 목재의 건조방법 61
[그림 2-29] 소나무 3단면과 목리 및 문양 64
[그림 2-30] 소나무(금강송) 3단면과 목리 및 문양 66
[그림 2-31] 낙엽송 3단면과 목리 및 문양 68
[그림 2-32] 은행나무 3단면과 목리 및 문양 70
[그림 2-33] 느릅나무 3단면과 목리 및 문양 72
[그림 2-34] 느티나무 3단면과 목리 및 문양 74
[그림 2-35] 참죽나무 3단면과 목리 및 문양 76
[그림 2-36] 오동나무 3단면과 목리 및 문양 78
[그림 2-37] 감나무 3단면과 목리 및 문양 80
[그림 2-38] Quarter Sawn과 Flat Sawn 특징 82
[그림 2-39] Quarter Sawn과 Flat Sawn 목리(木理) 비교 83
[그림 3-1] 장, 농 세부명칭 85
[그림 3-2] 느티나무 장 목리(木理)의 구성 86
[그림 3-3] 감나무, 소나무 이층농 목리(木理)의 구성 87
[그림 3-4] 반닫이 세부명칭 89
[그림 3-5] 느티나무 반닫이 내부와 외부 목리(木理)의 구성 90
[그림 3-6] 문갑 세부명칭 91
[그림 3-7] 사방탁자 세부명칭 92
[그림 3-8] 소나무 문갑 목리(木理)의 구성 93
[그림 3-9] 감나무, 소나무 사방탁자 목리(木理)의 구성 94
[그림 3-10] 서안 세부명칭 95
[그림 3-11] 소반 세부명칭 96
[그림 3-12] 소나무 서안 목리(木理)의 구성 97
[그림 3-13] 은행나무 소반 목리(木理)의 구성 98
[그림 3-14] 소나무 소반 목리(木理)의 구성 99
[그림 3-15] 가께수리 세부명칭 100
[그림 3-16] 궤 세부명칭 101
[그림 3-17] 함 세부명칭 102
[그림 3-18] 느티나무 가께수리 목리(木理)의 구성 103
[그림 3-19] 느티나무 궤 목리(木理)의 구성 104
[그림 3-20] 느티나무 함 목리(木理)의 구성 105
[그림 3-21] 소나무 목리 및 문양 109
[그림 3-22] 느티나무 목리 및 문양 109
[그림 3-23] 낙엽송 목리 및 문양 110
[그림 3-24] 참죽나무 목리 및 문양 111
[그림 3-25] 오동나무 목리 및 문양 111
[그림 3-26] 감나무 목리 및 문양 112
[그림 3-27] 은행나무 목리 및 문양 113
[그림 3-28] 금강송 목리 및 문양 113
[그림 3-29] 소나무 목리 및 문양 114
[그림 3-30] 느티나무 목리 및 문양 114
[그림 3-31] 낙엽송 목리 및 문양 115
[그림 3-32] 참죽나무 목리 및 문양 115
[그림 3-33] 감나무 목리 및 문양 116
[그림 3-34] 오동나무 목리 및 문양 116
[그림 3-35] 은행나무 목리 및 문양 117
[그림 3-36] 금강송 목리 및 문양 117
[그림 3-37] 소나무 목리 및 문양 118
[그림 3-38] 느티나무 목리 및 문양 118
[그림 3-39] 낙엽송 목리 및 문양 119
[그림 3-40] 참죽나무 목리 및 문양 119
[그림 3-41] 감나무 목리 및 문양 120
[그림 3-42] 오동나무 목리 및 문양 120
[그림 3-43] 은행나무 목리 및 문양 121
[그림 3-44] 금강송 목리 및 문양 121
[그림 4-1] 목재 문양 사방대칭형 패턴 모식도 166
[그림 4-2] 목재 문양 회전형 패턴 모식도 166
[그림 4-3] 디자인 키워드 167
[그림 4-4] 문판의 팽나무 목리 문양의 패턴화 169
[그림 4-5] 안방가구 이층농 170
[그림 4-6] 문판의 팽나무 목리 문양의 패턴화 172
[그림 4-7] 안방가구 삼층장 173
[그림 4-8] 문판의 느티나무 목리 문양의 패턴화 175
[그림 4-9] 거실 문갑 도면 176
[그림 4-10] 천판의 호두나무 목리, 문양의 패턴화 178
[그림 4-11] 거실 테이블 179
[그림 4-12] 거실 원형 테이블 181
[도면 4-1] 안방가구 이층농 도면 171
[도면 4-2] 안방가구 삼층장 도면 174
[도면 4-3] 거실 문갑 도면 177
[도면 4-4] 거실 테이블 도면 180
[도면 4-5] 거실 원형 테이블 도면 182
오늘날 조선시대 가구의 조형미를 뒷받침하는 요소는 바로 목리(木理)의 구성과 이음, 짜임에 있다. 이러한 작업은 가구를 제작할 때 먼저 목재를 판재로 베어 어떤 부분을 어디에 어떻게 사용할 것을 장인은 먼저 구상 한다. 그러한 과정 중에 가장 아름다운 목리의 부분은 가구의 전면 문판에 판재로 쓰고 나머지 부분을 각재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 장인의 안목에 따라 나뭇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장인의 능력이고 이러한 노력들은 조선시대 가구의 가장 본질적인 조형장식에 속하며 그 아름다운 목리를 극대화시켜 잘 활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었다. 그러한 노력은 조선시대 가구의 조형미를 크게 달라지게 하였다.
가구 제작에 있어 목재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목재는 가구 재료로 다른 재료가 갖지 못한 독특한 질감(texture)과 나뭇결(wood Grain)을 갖고 있다. 특히 목재의 목리는 인공으로 만들어진 문양이 아닌 자연의 오랜 세월 수많은 자연환경의 변화 속에서 만들어진 문양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 인간은 나무를 보는 자체로도 진한 감동을 느낄 수 있고 목재에 나타나는 목리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면 편안한 안식과 숙연함을 느낄 수 있다. 나무는 보는 시각과 계절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다양성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목재의 특성을 크게 3가지로 분류하면 목리, 재색(材色), 향기(香氣)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문양의 모습은 목재의 제재 방법에 따라 횡단면(목구(木口), End grain)과 판목(板目, Flat grain)면, 정목(柾目, Edge grain)면 무늬로 나타나고 그 형상에 따라 다양한 문양으로 표현되며 가구 제작에 있어 유용한 재료가 된다.
횡단면의 경우 목재의 결이 가로 줄무늬나 세로 줄무늬 형식으로 나타나 판재용으로는 부적합 하나 현대 가구의 디자인 문양(Pattern)을 요하는 부분에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마름하면 기하학적인 문양(Pattern)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문양은 생장륜과 목재조직의 특성에 의해 나타나는 것과, 판목판과 정목판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판목판의 경우 가구 제작에 있어 판재에 주로 쓰이는 부분으로 넓은결과 아름다운 문양(Pattern)을 얻을 수 있어 조형적 문양을 요하는 가구의 천판, 문판, 복판, 머름칸, 서랍 등에 사용하면 훌륭한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정목판의 경우는 문양이 곧은결을 지니고 있어 가구 제작 시 골재에 해당되는 기둥, 쇠목, 동자, 마대 등에 사용하면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목재의 성장 과정 중 상해에 의해 생겨나는 혹 등에 나타나는 절류문양이나 목재줄기의 아래쪽이나 뿌리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불규칙적인 형상의 근주문양은 문양이 특이하고 추상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어 특히 느티나무 등에 많이 나타나는 문양으로 가구 제작 시 문판, 복판 등에 사용하면 조형이 높은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균에 의해 피해를 받아 생겨나는 색소문양의 일종인 얼룩줄 형상의 문양이 있는데 이 문양은 주로 감나무에 먹이 들어간 먹감나무에 나타나며 산수화 모습을 닮은 문양을 지니고 있어 가구 제작 시 주로 문판, 복판, 머름칸, 서랍에 사용하면 매우 뛰어난 장식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어 귀하게 사용되는 문양이다.
가구 제작에 특히 고려해야 할 사항은 목재의 성질, 함수율, 밀도, 인장강도, 표면광택, 색채, 내구성, 방충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질 좋은 가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목재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선택해야 한다.
또한 목재는 물체의 팽창률, 열전도율, 광선굴절률 등 물리적인 환경에 의해 변형되기 쉬우므로 목재 건조 방법 중 자연건조 방법과 인공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목재의 변형을 막아야 한다. 자연건조 방법은 그늘에서 오랜 세월 자연 바람에 말리는 방법으로 가구 제작용으로 사용하려면 5~10년 정도 목재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건조를 해야 가구 제작을 할 수가 있으며 인공건조 방법은 화학약품처리 및 건조기 등에 의해 건조한다. 목재는 건조를 많이 할수록 목재의 강도는 커지므로 다양한 건조 방법을 통해 가구 제작에 들어가야 한다. 또한 목재 고유의 목리와 문양을 선택하여 형태와 색채, 비례를 적절히 유도하고 그러한 구성은 가구 제작에 조형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요소가 되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조선시대 가구 크기 비교는 일반 가구와 기타 가구 크기를 비교하였다. 일반 가구의 장 종류는 머릿장, 옷장, 의걸이장, 책장, 찬장, 찬탁으로 구분하였고 그 외 가구는 농, 반닫이, 서안, 사방탁자, 소반, 문갑, 경상, 가께수리, 궤, 함으로 크기를 비교하였다.
조선시대 가구의 전면 중앙 부분에 자리하고 있는 문판(복판)의 크기, 가로와 세로 길이를 알 수 있는 천판의 크기, 전체의 높이를 알 수 있는 골재의 크기, 가장 아랫부분의 가구를 지탱하는 다리(마대)의 크기, 측면의 크기를 알 수 있는 측널의 크기 등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소반은 문판(복판)이 없는 관계로 분석에서 제외했다.
조선시대 가구를 제작하는 목재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목리를 잘 활용한 목재는 감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등을 볼 수 있다. 가구의 내부는 주로 오동나무를 사용하였고 가구의 기본 틀이라 할 수 있는 기둥, 쇠목, 동자, 마대, 족대 등은 가구 전체의 기본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매우 중요하며 가구의 건실함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가구의 짜임새와 안정된 비례와 조형을 표현하는 부분이다. 그로 인해 목재 선택에 있어 정목판의 곧은결을 사용하였다. 목리는 주로 판목판과 절류문양, 근주문양을 사용했으며 목재는 소나무, 느티나무, 참죽나무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가구의 가장 아름다운 조형을 표현하는 복판, 쥐벽칸, 머름칸은 목리의 최상을 골라 가구의 조형성을 높이는데 심혈을 기울였음을 볼 수 있다.
그 중 주로 사용한 목재는 소나무, 느티나무, 감나무이며 소나무는 손쉽게 구할 수 있었던 나무였고 또한 느티나무는 소나무에 비하면 그 수가 많지 않지만 마을 정자나무와 주변 산에서 구할 수 있었던 나무이다. 먹감나무는 감나무에 색소가 들어간 희귀성이 있는 목재로 그 수는 많지 않았다. 먹감나무의 목리는 한 폭의 산수화를 연상하는 동양의 아름다움을 나무에 표현한 모습을 지니고 있어 소목장들에게 가장 귀한 목재로 칭송을 받았고 소목장들은 먹감나무를 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먹감나무라고 해서 다 아름다운 무늬를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어서 진경산수(眞景山水)의 모습을 지닌 먹감나무는 평생에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행운의 나무로 귀하게 대접받았다.
조선시대 가구의 종합 분석 결과는 형태의 단순 명료함과 나뭇결의 대비가 동색계열의 조화와 함께 전체적으로 통일되고 안정감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나무가 그대로 서 있는 느낌과 자연 그대로를 집안에 옮겨 놓은 느낌을 주며 시간과 공간의 흔적이 그대로 담겨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재료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가구를 제작하였으며 전체적 조형 느낌을 보면서 제작하는데 그 매력이 있다 하겠다. 이 또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세상을 꿈꿨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조선시대 가구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자연, 대범, 편안함이다. 또한 장점을 살펴보면 재료의 두께가 일본 목가구보다 얇은 것이 특징이다. 그로 인해 재료가 적게 들어가고 짜맞춤 기법에 의한 건실함이 그대로 스며들어 있어 그 모습이 단순하고 절제된 모습과 균형이 조형적으로 비례되기 때문에 그 가치를 높이 평가 받고 있는 것이다.
조선시대 가구의 형태에 목리의 특성을 응용한 디자인 제안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안방가구와 거실가구로 분류하여 안방가구의 종류는 삼층장, 이층농을 디자인하였고 거실가구는 문갑과 테이블로 디자인 제안을 하였다. 디자인 제안 형식은 조선시대 가구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는 형식이 아닌 조선시대 가구의 정수를 현대의 생활공간에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형태로 변형하여 제안하였다.
첫째, 가구 복판(문판)은 목재의 자연적인 목리와 문양을 현대 디자인 패턴으로 시각화 하였다.
둘째, 조선시대 가구의 형태를 현대의 생활환경에 조화롭게 합일될 수 있도록 간결화 하여 제안하였다.
셋째, 조선시대 가구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이를 현대의 생활공간에 미적, 합리적으로 적용되도록 디자인하였다.
넷째, 디자인 컨셉은 가구 사용자의 취향과 공간, 감성에 따라 다양한 패턴과 형태를 욕구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컨셉은 가구 사용자의 취향과 공간, 감성에 따라 다양한 패턴과 형태를 욕구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1세기 가구 디자인 트렌드는 다양성을 지니고 있어 소비자의 욕구와 감성을 어떻게 자극하고 디자인 방향을 어떻게 제시하는가 하는데 목표 설정을 해야 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디자인 제안은 조선시대 가구의 이미지와 철학, 시대적 문화를 현대문화로 재해석하여 조선시대 가구 형태를 현대가구 형태로 디자인하였으며 그 중에서 중요한 디자인 요소는 목재의 목리 및 문양과 패턴의 조합을 통해 진화하는 디자인 방법을 모색하고 최대한 활용하여 새로운 디자인 구조로 전개를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 가구에 스며있는 철학과 목리의 적용방법 등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미래의 목가구 작업에 목리의 활용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논제와 같이 조선시대 가구 형태에 따른 구성 요소와 목리의 상관관계를 분석 연구함으로써 향후 목가구 조형성에 목리를 접목한 제작 방법 및 문양패턴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미래의 가구 제작은 현대 공예 조형과 목리의 적절한 적용이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아름다운 목가구가 형성될 것이라 사료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