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 문제 18

연구문제 1.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19

연구문제 2.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가? 19

3. 용어 정의 19

1)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 19

2) 뇌선호도(Brain Perference Indicator) 20

3) 전뇌학습(Whole-brain learning) 20

4)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Color Education Program) 21

II. 이론적 배경 22

1. 정서지능 22

1) 정서지능의 개념 22

2) 정서지능의 구성요소 25

2. 전뇌학습 29

1) 전뇌학습과 관련한 뇌의 구조와 기능 29

2) 전뇌의 성장과 발달에 따른 학습 37

3) 전뇌학습과 정서지능 39

3. 초등 색채수업 42

1) 초등 색채수업의 의의 42

2) 초등 색채수업 이론 44

3) 아동의 색채표현발달 52

4) 색채수업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54

5) 색채수업과 정서지능 57

6) 색채수업과 전뇌학습 61

III. 연구 1.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 개발 67

1. 연구방법 67

2. 연구결과 71

1)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 개발 71

3. 논의 138

1)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 138

IV. 연구 2.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144

1. 연구방법 144

1) 연구대상 144

2) 연구설계 145

3) 측정 도구 146

4) 연구절차 147

5) 자료처리 148

2. 연구결과 148

1) 실행(Implementation) 149

2) 평가(Evaluation) 151

3. 논의 180

1)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에 대한 논의 180

V. 요약, 결론 및 제언 191

1. 요약 191

1)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 개발 191

2)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효과 검증 193

2. 결론 196

3. 제언 198

참고문헌 200

Abstract 217

부록 5

부록 1. 교사 요구조사 설문지 221

부록 2. 요구조사 설문지(아동용) 224

부록 3. 자기평가 보고서 및 교사관찰 평가채점 기준 및 척도 226

부록 4. 5학년의 자기평가 보고서 및 교사관찰 평가 문항과 채점척도 227

부록 5. 6학년의 자기평가 보고서 및 교사관찰 평가 문항과 채점척도 228

부록 6. 5학년 색채학습 수행평가지 229

부록 7. 6학년 색채학습 수행평가지 230

부록 8. 색채수업프로그램 만족도 검사 231

부록 9. 색채도안-1(전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232

부록 10. 색채도안-2(전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233

부록 11. 색채도안-3(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234

부록 12. 색채도안-4(일반색채수업, 공용) 235

부록 13. 색채도안-5(일반색채수업, 공용) 236

부록 14. 색채도안-6(일반색채수업, 공용) 237

부록 15.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의 교수·학습과정안(5학년, 2차시) 238

부록 16.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의 교수·학습과정안(5학년, 3차시) 242

부록 17.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의 교수·학습과정안(6학년, 2차시) 246

부록 18.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의 교수·학습과정안(5학년, 1차시) 250

부록 19. 우뇌학습에기반한 색채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5학년, 2차시) 254

부록 20.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5학년, 3차시) 258

부록 21.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6학년, 1차시) 262

부록 22.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6학년, 2차시) 266

부록 23. 일반색채수업의 교수·학습과정안(5학년, 1~3차시) 270

부록 24. 일반색채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초등 6학년, 1~2차시) 272

부록 25.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 학습지(5학년, 1차시) 274

부록 26.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 학습지(5학년, 2차시) 275

부록 27.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 학습지(5학년, 3차시) 276

부록 28.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 학습지(6학년, 1차시) 277

부록 29.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 학습지(6학년, 2차시) 278

부록 30.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학습지(5학년, 1차시) 279

부록 31.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학습지(5학년, 2차시) 280

부록 32.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학습지(5학년, 3차시) 281

부록 33.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학습지(6학년, 1차시) 282

부록 34.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학습지(6학년, 2차시) 283

부록 35. ◈ 색채활동 경험보고서 284

부록 36. C 초등학교 5학년의 전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자아상) 285

부록 37. C 초등학교 5학년의 전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나의 두 얼굴) 286

부록 38. C 초등학교 5학년의 전뇌 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나의 성장나무) 287

부록 39. C 초등학교 6학년의 전뇌 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색 감정피자) 288

부록 40. C 초등학교 6학년의 전뇌 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나의 마음나무) 289

부록 41. H 초등학교 5학년 전뇌 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자아상) 290

부록 42. H 초등학교 5학년의 전뇌 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나의 두 얼굴) 291

부록 43. H초등학교 5학년의 전뇌 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나의 성장나무) 292

부록 44. H 초등학교 6학년의 전뇌 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색 감정피자) 293

부록 45. H 초등학교 6학년의 전뇌 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마음나무) 294

부록 46. C초등학교 5학년의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 (주제:나를 색으로 표현하기) 295

부록 47. C초등학교 5학년의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음악에 마음싣기) 296

부록 48. C초등학교 5학년의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물고기 가족화) 297

부록 49. C초등학교 6학년의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분노감 표현) 298

부록 50. C초등학교 6학년의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집, 나무, 사람) 299

부록 51. H초등학교 5학년의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 (주제:나를 색으로 표현하기) 300

부록 52. H초등학교 5학년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음악에 마음 싣기) 301

부록 53. H초등학교 5학년의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물고기 가족화) 302

부록 54. H초등학교 6학년의 우뇌 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분노감 표현) 303

부록 55. H 초등학교 6학년의 우뇌 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집, 나무, 사람) 304

부록 56. C초등학교 5학년의 일반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색의 변화) 305

부록 57. C초등학교 6학년의 일반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색과 생활) 306

부록 58. H초등학교 5학년의 일반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색의 변화) 307

부록 59. H 초등학교 6학년의 일반색채수업 활동 작품(주제:색과 생활) 308

부록 60. C와 H초등 5·6학년의 전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학습지 309

부록 61. C와 H초등 5·6학년의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 학습지 310

부록 62. C와 H초등학교 5·6학년의 전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의 색채활동 경험 보고서 311

부록 63. C와 H초등학교 5·6학년의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의 색채활동 경험 보고서 312

부록 64. C와 H초등학교 5·6학년의 일반색채수업의 색채활동 경험 보고서 313

부록 65. 정서지능 검사지(초등학생용) 314

부록 66. 뇌선호도 검사지 317

표 1. 정서지능의 개념적 특징 24

표 2. Mayer와 Salovey의 초기 정서지능 구성요소 모형 26

표 3. Mayer와 Salovey의 정서지능 구성요소 수준별 모형 27

표 4. 대뇌피질의 4가지 엽(lobe)과 학습과 관련한 기능 33

표 5. 좌뇌·우뇌의 인지기능과 학습방식 35

표 6. 전뇌의 성장과 발달에 따른 학습 38

표 7. 유채색과 무채색의 연상 언어 50

표 8. 유채색과 무채색의 상징 언어 52

표 9. 색채수업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55

표 10. 색채를 활용한 정서와 정서지능에 관련한 선행연구 분석 59

표 11. 좌·우뇌 반구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 62

표 12. 전뇌학습과 미술활동에 관련한 선행연구 분석 65

표 13. ADDIE 모형의 단계별 과정의 역할 및 세부 활동 68

표 14. 미술표현특성에 따른 유형 분석 결과 75

표 15. 색채표현 능력에 대한 분석결과 77

표 16. 교사 요구조사에 대한 분석결과 79

표 17. 학습자 요구조사 분석 결과 81

표 18. 제7차 색채학습 내용 83

표 19. 초등 5·6학년 미술교과서의 교사 지도내용과 방법 83

표 20. 요구분석 결과에 따른 의사결정 86

표 21. 과제분석 결과에 따른 의사결정 87

표 22.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인 초등 5·6학년의 색채학습목표 93

표 23.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의 학습목표 94

표 24. 5학년의 색채학습 수행평가 기준 및 평가 요소 96

표 25. 6학년의 색채학습 수행평가 기준 및 평가 요소 97

표 26. 5학년의 색채학습 수행평가 요소 및 문항 98

표 27. 6학년의 색채학습 수행평가 기준 및 평가 요소 98

표 28. 색채학습과정과 색채수업사태간의 관계 102

표 29. 색채수업과 관련한 정서지능의 구성 요소와 전뇌영역 110

표 30. 심상형성의 4가지 수준에 따른 색채활동 113

표 31.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 120

표 32.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프로그램 120

표 33.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의 차시별 학습목표 121

표 34.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의 차시별 진행구성 및 내용 122

표 35.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의 차시별 진행구성 및 내용 123

표 36. 일반색채수업의 차시별 진행구성 및 내용 123

표 37.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의 색채도안 126

표 38. 우뇌학습에 기반한 색채수업의 색채도안 127

표 39.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의 교수·학습과정안 예시(5학년, 1차시) 130

표 40.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 예시(6학년, 1차시) 134

표 41. 연구대상의 구성 145

표 42. 실험설계 146

표 43. 수행평가지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응답 152

표 44. 5학년의 수행평가 분석 결과 153

표 45. 6학년의 수행평가 분석 결과 154

표 46. 5학년의 교사 관찰평가 분석 결과 155

표 47. 6학년의 교사 관찰평가 분석 결과 156

표 48. 색채수업프로그램의 만족도 평가 분석 결과 157

표 49. 색채활동 경험 보고서 158

표 50. 색채활동 경험 보고서 내용평가 160

표 5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결과 162

표 5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지능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64

표 53. C초등학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지능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66

표 54. H초등학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지능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67

표 55. 5학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지능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69

표 56. 6학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지능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70

표 57.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뇌선호도 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72

표 58. C초등학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뇌선호도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73

표 59. H초등학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뇌선호도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74

표 60. 5학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뇌선호도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76

표 61. 6학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뇌선호도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76

표 62. 정서지능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와 뇌선호도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의 변화에 대한 회귀분석 178

그림 1. 대뇌피질의 구조 31

그림 2. Munsell의 색입체와 개념도 44

그림 3. 색의 삼원색 45

그림 4. 색의 감산 혼합 46

그림 5. 20가지 색상환 47

그림 6. 프로그램개발과정의 진행 체계도 70

그림 7. 5학년의 색채학습자극 제시하기 104

그림 8. 5학년의 색채학습안내 제시하기a 105

그림 9. 5학년의 색채학습안내 제시하기b 106

그림 10. 6학년의 색채학습자극 제시하기 107

그림 11. 6학년의 색채학습안내 제시하기a 108

그림 12. 6학년의 색채학습안내 제시하기b 109

그림 13.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프로그램의 운영과정에 대한 모식도 111

그림 14. 전뇌학습에 기반한 초등 색채수업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모형 116

그림 1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지능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65

그림 16. 학교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지능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좌: C초등학교, 우: H초등학교) 168

그림 17. 학년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지능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좌: 5학년, 우: 6학년) 171

그림 18.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뇌선호도 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 173

그림 19. 학교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업별 사전·사후 정서지능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좌: C초등학교, 우: H초등학교) 175

그림 20. 학년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지능검사 차이의 평균 비교(좌: 5학년, 우: 6학년) 177

그림 21. 좌뇌선호와 정서인식과의 관련성 179

그림 22. 좌뇌선호와 정서활용과의 관련성 179

그림 23. 좌뇌선호와 정서조절과의 관련성 179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elementary color education program based on whole-brain learning, and then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el whi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instructional system development models. To test the effect of the program, 222 higher-grade students were participated from C and H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Then the selected students were randomly placed into three classes, one as the control group of ordinary color education, another as a control group of color education based on right-brain learning and the other as an experimental group of color education based on whole-brain learning.

The above program were applied to all the three classes from Sep. 26 to Nov. 1, 2010. Specifically, 5th-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ver total 3 sessions on one session per week basis(80 min. per session) and 6th-grade ones, total 2 sessions on the same basis(80 min. per sess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experimental group of color education based on whole-brain learning was improved in emotional intelligence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another experimental groups of color education based on right-brain learning and whether the former group became higher in whole-brain preference than the latter two groups.

Measurement devices for the study included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and Brain Preference Indicator(BPI). Difference between the pre-and post-tests using the devices, especially mean difference, was analyzed through ANCOVA. Scores f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brain preference from the pre- and post-test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matched t-test.

The post-hoc analysi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brain preference was made using Duncan test. And what effects changes in scores for 5 sub-areas of the intelligence from the pre- and post-test have on the types of brain preference, left-brain, right-brain and whole-brain was examin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color education based on whole-learning was improved in emotional intelligence more than another of color education based on right-brain learning and the control group of ordinary color education.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olor education program based on whole-brain learning became higher in whole-brain preference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effects of changes in brain preference were examined to find that preference for left-brain influences emotional cognition, emotional utilization and emotional control. The higher score for left-brain preference is, the lower scores for emotional cognition, emotional utilization and emotional control are.

Considering the above findings, the researcher would make following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e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art classes that are provided as a part of elementary education. Possible effects of other parts of the education were not controlled in developing the above program. This suggests that test results of the program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courses than art and, if any, other variables. In subsequent researches, therefore, the program should be applied and tested with more control of any irrelevant factors.

Second, this study focused onl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5th and 6th grade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as it was integrated with color learning sessions that belong to the course of elementary art education. Thu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Subsequent studies should focus on a wider range of learners in many different elementary education courses and develop a more valid program that emotional experiences in connection with a variety of learning sessions.

Third, this study was much difficult to proceed because there were few previous researches concerning whole-brain learning and colors or whole-brain learning and emotions. It was found that whole-brain learning realizes the combined use of both right and left brains, raising learners' potential and improving their skills of performance. In subsequent studies, whole-brain learning needs to be further researched in various ways.

Fourth,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applied during a relatively short period, that is, 3 sessions for 5th-grade children on 80 min. per session basis and 2 sessions for 6th-grade ones on the same basis. To raise or develop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n a sustainable manner needs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 accordance with long-term plans.

Fifth,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who received color education with art textbooks under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showed a little but general improvement in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uggests that if teachers fully understand and sincerely follow teaching instructions for elementary art education, they can properly help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especially during color learning se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