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II. 강원지역의 천주교 전래 16
1. 강원지역의 천주교 전래 16
1) 천주교 수용과 강원지역 16
2) 원주·횡성지역 19
3) 춘천·홍천지역 22
4) 영동지역 24
2. 천주교 탄압과 강원지역 27
III. 교인촌의 형성과 집회장소 34
1. 교인촌의 형성 34
2. 뮈텔주교의 공소순방 기록을 통해 본 교인촌 37
1) 여주, 문막 권역 37
2) 제천 권역 38
3) 홍천·춘천권역 41
4) 횡성 권역 43
5) 평창 권역 44
6) 영동 권역 47
3. 옹기와 통혼을 통해 본 생활상 55
4. 집회 장소의 변화 67
IV. 강원지역과 교안 79
1. 교안의 발생 배경 79
2. 교안의 내용과 성격 85
1) 강원지역 교안의 개요 85
2) 사회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교안 90
3) 블라두 신부와 관련된 교안 102
V. 선교사의 활동과 인식 108
1. 선교사 현황 108
2. 선교사들의 활동 112
3. 선교사들의 지역 인식 122
VI. 결론 133
참고문헌 137
1. 사료 137
2. 연구서 137
3. 연구논문 140
Abstract 143
부록 146
부록 1. 뒤테르트르 신부 서한 목록 146
부록 2. 부이수 신부 서한 목록 149
부록 3. 1882-1911 강원·함경도 교세통계표 153
【그림 1】 용소막 성당의 통혼 범위 66
【사진 1】 학야 1리 옹기 가마 원경 59
【사진 2】 학야 1리 옹기 가마터 유물 59
【사진 3】 학야 1리 옹기 가마터 수습 유물 60
【사진 4】 학야 2리 일대 전경 61
【사진 5】 학야 2리 옹기 가마터 원경 61
【사진 6】 학야 2리 옹기 가마터 요벽 구조물 62
【사진 7】 학야 2리 옹기 가마터 수습 유물 62
【사진 8】 원주 대안리 공소 71
【사진 9】 원주 대안리 공소의 초기 평면형태 73
【사진 10】 건축 직후의 풍수원 성당 75
【사진 11】 건축 직후의 용소막 성당 76
【지도 1】 조선시대 강원지역의 역과 역로 20
【지도 2】 뮈텔주교 순방 강원지역 일대 교인촌(1900년) 54
본 논문은 강원지역에 천주교가 전래되는 과정과 교인촌의 성립, 교인촌에서의 생활 그리고 정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교안과 강원지역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1910년대까지 강원지역의 천주교사에 대해 총체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1784년 이승훈이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신앙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창설된 조선의 천주교회는 기존의 사회질서와 충돌하였고, 1801년에 이르러서는 천주교에 대한 격심한 탄압이 일어났다.
강원지역은 천주교 탄압을 피해 이주한 사람들과 유배를 받아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천주교가 전래되었는데 원주·횡성지역은 유배 온 남인 계열과 육로·수로를 통해서, 춘천·홍천지역은 '黃嗣永帛書'를 북경에 전달하기로 했던 황심의 추국 기록을 통해서 교인촌의 형성과정을 알 수 있다. 영동지역의 경우에는 원주·횡성 지역 천주교 전래의 연장선에서 병인박해를 피해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강원지역 교인촌은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거치면서 더 안전하고 온전한 믿음을 위해서 산간벽지로 숨어든 사람들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들의 생활상은 옹기와 통혼, 그리고 집회장소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상당수의 교인이 옹기를 굽고 생활하였다는 기록과 현재까지 남아있는 교인촌인 고성 학야 지역의 현지답사를 통해 옹기가마터를 확인하고 관련 유물을 수습할 수 있었다. 또한 학야와 산두지역에서의 증언채록을 통해 교인들이 옹기를 구웠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고, 아직까지도 '옹기=천주교'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을 만큼 천주교와 옹기의 깊은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교인들 간의 통혼에 대해서는 원주 용소막 성당 신자들의 구술을 통해 신자들이 신앙의 유지를 위해 통혼을 하였고 그것이 근래까지도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집회장소의 변화는 私家에서 한옥형 성당 그리고 서구식의 성당으로 변화하는데, 사가를 사용하였음은 강원지역의 교인들의 증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사가에서 한옥형 성당으로 변화되는 것은 현재 남아있는 한옥형 공소인 원주의 대안리 공소를 통해서 볼 수 있는데 종교가 토착화되는 과정 속에서 남녀의 좌석을 나누어 놓았음도 대안리 공소의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한옥식의 성당은 조불조약 체결 이후에 서구식으로 변화하는데 강원지역의 경우 풍수원 성당이 약현 성당을 모델로 삼아 서구식으로 지었으며, 풍수원과 용소막 성당 모두 교인들이 직접 참여하여 벽돌을 구워 성당을 지었다는 사실을 증언과 서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강원지역 교인촌에서 특이할 만한 것은 강릉 특히 동해, 삼척 일대에서 전혀 교인촌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강원지역의 강릉, 삼척 지역이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곳이었으므로 교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었던 것이라 생각된다.
조불조약의 체결 이후 선교사들은 치외법권적 혜택을 누리고 있었고, 세력자로 인식되었다. 이 과정에서 敎案이 발생하는데 강원지역의 교안은 1888년부터 1907년까지 30건이 있었으며, 1888년부터 1900년까지에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1905년 이후에는 1건의 사례만이 보인다.
강원지역 교안에서, 다른 지역의 사례에서는 볼 수 없었던 특이한 것은 일부이기는 하지만 교회를 배척하는 의병이 교회의 선교사로 하여금 권력자와 연결해 줄 것을 요청하는 것이 보이는 것이다. 이는 의병이 선교사를 조선의 천주교회에 속한 일부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뒤의 프랑스공사관을 의식하여 커다란 세력으로 의식하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의병들이 한국인 신부에게 도움을 청하고자 한 것은 한국인 신부 역시도 정권과 선을 닿을 수 있는 권력자로 인식한 것으로 이는 서양인 신부 뿐만 아니라 한국인 신부에 대한 인식까지도 전환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강원지역의 교안에서 눈여겨 볼 것은 블라두 신부와 관련된 것으로 전체 교안 중 8건을 차지한다. 이는 천주교에 입교하는 교인이 순수하게 입교하는 경우도 있지만, 선교사의 힘을 이용하여 교인이 비교인에게 경제적인 탈취를 행했음을 생각해 보면 순수하지 못한 의도로 천주교에 입교하는 이들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1886년 이후 강원지역의 천주교과 교인촌이 증가하는 것과도 맞물려 보이는 부분이다. 선교사들이 교인을 보호하는 것이 교세의 확장에 도움이 되는 것이기는 하였지만 블라두 선교사와 관련된 교안을 통해서는 교안의 양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원지역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의 서한을 통해서 이들의 지역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시기에 활동한 선교사는 21명이었으며, 관할 선교회는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였다. 파리외방전교회는 교육활동에 주력하였는데, 특히 한국인 성직자 양성을 위해서 세운 신학교가 강원지역 배론에 세워졌다는 것은 중요한 사실이다. 또한 이 배론 신학교가 조불조약 체결 이후 부엉골 신학교로 계승되며 이 부엉골 신학교가 현재 신학교의 전신이 되는 것은 강원지역이 외진 곳이었으므로 학교를 세울 만큼 안전한 곳이었고 전교 활동에 유리한 곳이었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학교와 서당의 형태로 교인들이나 교회에 의해서 교육이 이루어졌음 역시 증언과 서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서 강원지역 천주교인들이 교육에 열의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강원지역 특히 원주지역에서의 성영회의 활동은 교육활동과 더불어 사회복지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원주지역은 현재도 사회복지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어 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조선에 파견된 선교사들은 동학 및 의병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강원지역에서 활동했던 선교사들의 서한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당시 강원지역에 있었던 사람들도 서양인 선교사나 한국인 신부를 권력자로 인식하였음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의병들이 한국인 신부 역시도 정권과 선을 닿을 수 있는 권력자로 인식한 것은 강원지역의 특이한 사례라 할 수 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舊韓國外交文書 - 法案』 | 미소장 |
2 | 『各司騰錄』 | 미소장 |
3 | 『江原道來案』 | 미소장 |
4 | 『外部訴狀』, | 미소장 |
5 | 『關衛編」 | 미소장 |
6 | 『純祖實錄』 | 미소장 |
7 | 『推案及鞫案』 | 미소장 |
8 | 『京鄕雜誌』 | 미소장 |
9 | 『己亥日記』 | 미소장 |
10 | 『致命日記』 | 미소장 |
11 | 『드브레• 뒤테르트르• 르메르• 리굴로• 부이수• 부이용• 시잘레• 프와요• 정규하• 최양업신부 서한』 | 미소장 |
12 | 『드망즈 주교 일기』 | 미소장 |
13 | 『뒤텔주교 일기 1 - 8』 | 미소장 |
14 | 『본당별 교세통계표 - 1882~1911(강원 • 함경도지역)-』 | 미소장 |
15 | 『서울교구 연보 I • Ⅱ』 | 미소장 |
16 | 『朝鮮地誌資料』강원도편 | 미소장 |
17 | 『천주교 조선교구 연말통계보고서』 | 미소장 |
18 | 『프랑스 외무부 문서 1 - 8』,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9 | 『한국가톨릭대사전』 | 미소장 |
20 | 『함경도 선교사 서한집 I • Ⅱ』 | 미소장 |
21 | 『조선후기 儒敎와 西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미소장 |
22 | 『종교건축기행 34』. W 미디어. 2007. | 미소장 |
23 | 『한국 가톨릭 성당 건축사』. 한국교회사연구소. 1984. | 미소장 |
24 | 『건축가 알빈 신부』. 분도출판사. 2007. | 미소장 |
25 | 『濟州島辛丑敎難史』. 太和出版社. 1980. | 미소장 |
26 | 『韓國理敎女性史』1 • 2. 한국인문과학원. 1983. | 미소장 |
27 | 『박해시대 교우촌』. 한국가톨릭문화연구소. 1984. | 미소장 |
28 | 『가톨릭과 朝鮮後期 社會變動』.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8. | 미소장 |
29 | 『한국천주교회사의 연구』. 한국사학. 2008. | 미소장 |
30 | 『朝鮮後期 儒敎와 天主敎의 대립』. 일조각. 1997. | 미소장 |
31 | 『한국 천주교 전래의 기원(1566-1784)』. 서강대학교 출판부,1989. | 미소장 |
32 | 『역사의 땅,배움의 땅 배론』. 성바오로출판사. 1992. | 미소장 |
33 | 『한국천주교회사 상 • 중 • 하』. 한국교회사연구소,1980. | 미소장 |
34 | 『한국교육사』I . 문음사. 1992. | 미소장 |
35 | 『황사영 백서 논문 선집』. 기쁜소식. 1994. | 미소장 |
36 | 『누가 저희를 위로해주겠습니까(황사영백서 해제)』. 기쁜소식. 1999. | 미소장 |
37 | 『黃嗣永帛書와 異本』. 국학자료원. 2003. | 미소장 |
38 | 『19세기 서양선교사와 한국사회』. 景仁文化社. 2004. | 미소장 |
39 | 『한국천주교회사』. 가톨릭출판사. 1962. | 미소장 |
40 | 『전례의 토착화』. 가톨릭출판사. 1990. | 미소장 |
41 |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 국학자료원. 2002. | 미소장 |
42 | 『한국 초기 교회에 관한 교황청 자료 모음집』. 가톨릭출판사. 2000. | 미소장 |
43 | 『일제의 종교정책과 천주교회』. 景仁文化社. 2001. | 미소장 |
44 | 『韓國天主敎會史硏究』. 한국교회사연구소. 1986. | 미소장 |
45 | 朝鮮西學史硏究 | 소장 |
46 | 『擇里志』. 삼중당문고. 1995. | 미소장 |
47 | 『개항기 한국사회와 천주교회』. 가톨릭출판사. 2005. | 미소장 |
48 | 『한국 근대사와 천주교회』. 가톨릭출판사. 2005. | 미소장 |
49 | 『朝鮮後期 天主敎史 硏究』.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8. | 미소장 |
50 | 『역주 사학징의』I .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 2001. | 미소장 |
51 | 『天主敎의 全羅道 傳來』. 探究堂. 1998. | 미소장 |
52 | 『조선후기의 西學과 斥邪論 연구』. 한국교회사연구소. 2002. | 미소장 |
53 | 『한국교회사의 탐구』.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 미소장 |
54 | 『丙寅迫害資料硏究』. 한국교회사연구소. 1986 | 미소장 |
55 | 최석우신부 서품 50주년 기념 논총 .『민족사와 교회사』. 한국교회사연구소. 2000. | 미소장 |
56 | 『원주 근대 건축을 찾아서』. 서우. 2004. | 미소장 |
57 | 『天主歌辭 硏究』. 황석두루가서원. 1985. | 미소장 |
58 | 『江原道史』歷史編. 江原道史編纂委員會. 1994. | 미소장 |
59 | 『교회와 역사』225-231호. 한국교회사연구소. 1994. | 미소장 |
60 | 근현대 한국 가톨릭 연구단 지음. 『한국 근현대 100년 속의 가톨릭교회(상 • 중 • 하).2004-2006. | 미소장 |
61 | 감곡본당 100년사 편찬위원회 편. 『甘谷本堂九十年史』. 천주교 감곡본당. 1990. | 미소장 |
62 | 농촌실태조사연구위원회 • 한국가톨릭농민회 . 『한국천주교 농촌공소(公所) 실태 조사연구보고서』. 분도출판사. 1984. | 미소장 |
63 | 배티사적지 편,『증언톡과 교회사자료(최양업 신부의 전기 자료집)』,천주교 청주교구,1996. | 미소장 |
64 | 『文化財實測調査報告書 _ 용소막성당』. 강원도. 2000. | 미소장 |
65 | 『文化財實測調査報告書 _ 풍수원성당』. 강원도. 1999. | 미소장 |
66 | 『한국지명총람』강원도편. 한글학회. 1979 | 미소장 |
67 | 天主敎 原州敎區. 『原州敎區三十年史』. | 미소장 |
68 | 천주교 성내동 성 당 .『성내동 오십년사』. | 미소장 |
69 | 천주교 원주교구 용소막교회. 『용소막성당 100년사』. 2004. | 미소장 |
70 | 천주교 원주교구 주교좌 원동성당. 『園洞百年史』.1996. | 미소장 |
71 | 천주교 의림동 성 당 .『의림동성당 25년사』. | 미소장 |
72 | 천주교 정선성당.『정선본당 50년사』. | 미소장 |
73 | 천주교 태장성당.『태장 10년사』. | 미소장 |
74 | 천주교 학성동 성당 .『학성동성당 오십년사』. | 미소장 |
75 | 천주교 전주교구.『천주교 전주교구사』I . 호남교회사연구소. 1998. | 미소장 |
76 | 천주교 준천교구.『준천교구 50년사』. | 미소장 |
77 | 천주교 간성성당.『사진으로 돌아본 간성본당』. | 미소장 |
78 | 천주교 교동성당.『교동 삼십년사』. | 미소장 |
79 | 천주교 김화성당.『김화성당 50년사』. | 미소장 |
80 | 천주교 노암동성당.『노암동본당 13년사』. | 미소장 |
81 | 천주교 동명동성당.『동명동본당 50년사』. | 미소장 |
82 | 천주교 묵호성당.『묵호봉당 50년사』. | 미소장 |
83 | 천주교 성산성당.『성산본당 25년사』. | 미소장 |
84 | 천주교 양구성당.『양구본당 40년사』. | 미소장 |
85 | 천주교 양양성당.『양양성당 80년사』. | 미소장 |
86 | 천주교 옥천동성당.『옥천동 20년사』. | 미소장 |
87 | 천주교 주문진성당.『주문진 75년사』. | 미소장 |
88 | 천주교 죽림동성당.『죽림동성당 70년사』. | 미소장 |
89 | 천주교 홍천성당.『홍천성당 88년사』. | 미소장 |
90 | 쌍호공소를 통해 본 천주교 교우촌의 성립과 변천 | 소장 |
91 | Study on the Changes and Adaptation of Catholic Architecture in Korea | 소장 |
92 | 嶺東地域 天主敎 受容에 關한 硏究 | 소장 |
93 |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Catholic Church, Daean-ri, Wonju | 소장 |
94 | 강원도 장축형 성당의 제단구성과 가시체계에 관한 연구 | 소장 |
95 | 천주교 신앙지역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안성 지방을 중심으로 | 소장 |
96 | 「한국 천주교회의 소공동체 전통」. 『민족사와 교회사』한국교회사연구소 | 미소장 |
97 | 19세기 '옹기 교우촌' 연구 | 소장 |
98 | 19世紀 '甕器 敎友村'의 信仰生活과 甕器 紋樣 | 소장 |
99 | 옹기점의 민속학적 고찰 | 소장 |
100 | 「1901年 濟州島民亂의 原因에 대하여 - 辛丑天主敎 迫害事件 - 」. 『인천교대 논문집』2. 1967. | 미소장 |
101 | 「박해기 한국천주교회의 경제관」. 『한국교회 사논문집』1. 한국교회사연구소. 1984. | 미소장 |
102 | 「濟州敎案에 관한 一檢討 _ 소위 三義士의 활동을 중심으로」. 『제주도연구』8.1991. | 미소장 |
103 | 한말 제주지역의 천주교회와 '濟州敎案' | 소장 |
104 | 『韓末 天主敎會와 鄕村社會』.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미소장 |
105 | 「韓末 天主敎會의 濟州敎案 인식 _ 뒤텔문서를 중심으로 -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998. | 미소장 |
106 | 「한말 토착문화와 천주교회의 갈등 - 1901년 제주교안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2001. | 미소장 |
107 | 韓末 敎案과 敎民條約 : 교회와 국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소장 |
108 | 한말 천주교와 제주교안 : 발생 배경을 중심으로 | 소장 |
109 | 19세기 경기 북부 지역의 천주교 | 소장 |
110 | 「朝鮮後期 慶南地域의 初期 天主敎 受容者들과 受容形態」. 『签山史學』34. 1998. | 미소장 |
111 | 「개항기 한국천주교회와 개신교의 관계 - 海西敎案을 중심으로 -」. 『宗敎硏究』.한국종교학회. 1995. | 미소장 |
112 | 朝鮮 後期 內浦地方의 天主敎 傳來와 受容에 관한 연구 | 소장 |
113 | 개화기·일제시대 경기 북부 지역의 천주교 : 본당 및 공소와 신자 수 변화를 중심으로 | 소장 |
114 | 『韓國 中世築城史 硏究』. 景仁文化社. 2003. | 미소장 |
115 | 「初期 韓國 新舊敎 關係의 史的 考察 _ 海西敎案과 文書論爭을 中心으로」.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그리스도교와 겨레문화연구회 . 1985. | 미소장 |
116 | 「忠淸道 天主敎 傳來-이존창의 활동을 중심으로-」. 『全州大學論文集』11.1982. | 미소장 |
117 |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가 한국 근대교육기관의 발전에 미친 영향 연구 | 소장 |
118 | 천주교의 원주지역 정착과 발전 연구 : 1888년-1909년을 중심으로 | 소장 |
119 | 19세기 화서학파 홍재구의 서양 인식과 천주교회의 반응 : <<正俗新編>>을 통하여 | 소장 |
120 | 「19세기 언양 천주교 교우촌 사례분석」. 釜山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 미소장 |
121 | 「濟州島에 있어서의 天主敎迫害-1901년의 敎難-」. 『李丙燾博士華甲記念論叢』.1956. | 미소장 |
122 |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 문제 ![]() |
미소장 |
123 | 원주·횡성 지역의 천주교 전래와 정착 연구 | 소장 |
124 | 한말 횡성지역의 교안 ![]() |
미소장 |
125 | 「1898년 고성지역의 천주교도 홍경모의 토지늑탈사건과 블라두 신부」. 『釜山敎會史報』.釜山敎會史硏究所. 2004. | 미소장 |
126 | 강원지역 교안(敎案 ; 1886-1910)의 발생배경과 성격 | 소장 |
127 | 「동해안지역 옹기점의 분포와 변화」-영덕지역과 울산지역을 중심으로-.『民族文化論叢』第40輯. | 미소장 |
128 | 「辛酉迫害의 分析的 考察」. 『敎會史硏究』1. 한국교회사연구소. 1997. | 미소장 |
129 | 天主敎 初期迫害의 原因에 대한 再檢討 : 韓國敎會史의 豫言者的 役割 <特輯> | 소장 |
130 | 19세기 중엽 프랑스 선교사들의 조선 인식과 문명관 | 소장 |
131 | 초기 교회 시대 경기 북부 지역의 천주교 : 경기도 마재의 나주 정씨 가문을 중심으로 | 소장 |
132 | 19세기 내포지방의 천주교 확산 | 소장 |
133 | 「海西敎案의 硏究」.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그리스도교와 겨레문화연구회. 198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