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14
제1장 서론 17
1.1. 연구배경 및 목적 17
1.1.1. 연구배경 17
1.1.2. 연구목적 19
1.2. 연구범위 및 방법 20
1.3. 연구의 내용구성 22
제2장 이론적 고찰 26
2.1. 도시공간구조 26
2.2. 국토 및 도시계획체계 28
2.2.1. 국토계획체계 28
2.2.2. 도시계획체계 30
2.3. 도시계획법제의 변화 32
2.4. 토지 및 교통정책의 변화 35
2.4.1. 토지정책의 변화 35
2.4.2. 교통정책의 변화 36
제3장 광주도시계획의 시대별 변천과정 37
3.1. 일제강점기 시대 37
3.2. 보통시 시대 43
3.2.1. 1967년 도시계획재정비 43
3.2.2. 1975·1976년 도시계획재정비 50
3.2.3. 1984년 도시기본계획 57
3.2.4. 1985년 도시계획재정비 64
3.3. 광역시 시대 71
3.3.1. 1990년 도시기본계획 71
3.3.2. 1992년 도시계획재정비 78
3.3.3. 1995년 도시기본계획 89
3.3.4. 1998년 도시계획재정비 98
3.3.5. 2004년 도시기본계획 110
3.3.6. 2007년 도시관리계획재정비 118
제4장 광주도시계획의 변천에 관한 고찰 132
4.1. 도시기본계획 132
4.1.1. 토지이용계획 132
4.1.2. 가로망 계획 142
4.1.3. 소결 145
4.2. 도시계획재정비 148
4.2.1. 토지이용계획 148
4.2.2. 가로망계획 166
4.2.3. 도시개발사업 170
4.2.4. 소결 173
제5장 결론 178
참고문헌 181
부록 186
그림 1.1. 연구수행의 흐름도 21
그림 1.2. 광주 법정도시계획의 수립과정 23
그림 1.3. 광주도시공간구조 변천과정 24
그림 1.4. 연구의 내용구성 25
그림 2.1. 국토계획체계 29
그림 2.2. 도시계획체계 31
그림 2.3. 지구단위계획제도의 도입과정 34
그림 3.1. 광주시가지계획평면도(광주광역시, 1939) 39
그림 3.2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1939) 41
그림 3.3. 가로망계획 복원도(광주광역시, 1939) 42
그림 3.4. 도시계획총괄도(광주광역시, 1967) 45
그림 3.5.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1967) 47
그림 3.6. 가로망계획 복원도(광주광역시, 1967) 47
그림 3.7. 개발사업 현황도(광주광역시, 1967) 48
그림 3.8. 광주시권 지역개발구상도(광주광역시, 1976) 52
그림 3.9. 도시계획총괄도(광주광역시, 1976) 53
그림 3.10.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1976) 55
그림 3.11. 가로망계획 복원도(광주광역시, 1976) 55
그림 3.12. 개발사업 현황도(광주광역시, 1976) 56
그림 3.13. 도시개발축 기본구상(광주광역시, 1984) 58
그림 3.14. 다핵구조의 도시형성 기본구상(광주광역시, 1984) 58
그림 3.15. 도시기본구상도(광주광역시, 1984) 60
그림 3.16.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1984) 62
그림 3.17. 도시공간구조 기본구상(광주광역시, 1986) 65
그림 3.18. 도시계획총괄도(광주광역시, 1986) 66
그림 3.19.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1986) 68
그림 3.20. 개발사업 현황도(광주광역시, 1986) 70
그림 3.21. 도시공간구조 기본구상(광주광역시, 1990) 72
그림 3.22. 도시기본구상도(광주광역시, 1990) 74
그림 3.23.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1990) 76
그림 3.24. 도시공간구조도(광주광역시,1992a) 80
그림 3.25. 도시개발축 구상도(광주광역시, 1992a) 80
그림 3.26. 도시계획총괄도(광주광역시, 1992a) 82
그림 3.27.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1992a) 83
그림 3.28. 개발사업 현황도(광주광역시, 1992a) 88
그림 3.29. 도시공간구조 기본구상도(광주광역시, 1995) 91
그림 3.30. 광주광역생활권 개발축 구상(광주광역시, 1995) 92
그림 3.31. 도시기본구상도(광주광역시, 1995) 95
그림 3.32.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1995) 97
그림 3.33. 도시공간구조 기본구상도(광주광역시, 1998) 99
그림 3.34. 도시계획총괄도(광주광역시, 1998) 102
그림 3.35.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1998) 104
그림 3.36. 개발사업 현황도(광주광역시, 1998) 109
그림 3.37. 도시공간구조 기본구상도(광주광역시, 2004) 111
그림 3.38. 도시기본구상도(광주광역시, 2004) 114
그림 3.39.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2004) 116
그림 3.40. 도시공간구조 기본구상도(광주광역시, 2007) 118
그림 3.41. 도시관리계획 총괄도(광주광역시, 2007) 120
그림 3.42. 가로망 계획도(광주광역시, 2007) 122
그림 3.43. 개발사업 현황도(광주광역시, 2007) 129
그림 3.44. 토지자원 현황분석 흐름도 130
그림 3.45. 토지자원 현황분석도(2010년 현재기준) 131
그림 3.46. 토지자원 현황분석 종합도(2010년 현재 기준) 131
그림 4.1. 광주도시기본계획 중심지체계 변화과정 136
그림 4.2. 시가화구역 변화과정(도시기본계획) 140
그림 4.3. 시가화구역 종합도(도시기본계획) 141
그림 4.4. 가로망계획 변화과정(도시기본계획) 144
그림 4.5. 도시확산 변화과정(도시기본계획) 145
그림 4.6. 2004년 도시기본계획과 기개발지 비교 146
그림 4.7. 도시기본계획상의 도시공간구조 모형화 147
그림 4.8. 용도지역 결정도(광주광역시, 1967) 157
그림 4.9. 용도지역 결정도(광주광역시, 1976) 157
그림 4.10. 용도지역 결정도(광주광역시, 1986) 158
그림 4.11. 용도지역 결정도(광주광역시, 1992a) 159
그림 4.12. 용도지역 결정도(광주광역시, 1998) 160
그림 4.13. 용도지역 결정도(광주광역시, 2007) 161
그림 4.14. 용도지역 변화과정(도시계획재정비) 163
그림 4.15. 용도지역 변화과정 종합도(I) 164
그림 4.16. 용도지역 변화과정 종합도(II) 165
그림 4.17. 가로망계획 변화과정(I) 168
그림 4.18. 가로망계획 변화과정(II) 169
그림 4.19. 개발사업 변화과정(I) 171
그림 4.20. 개발사업 변화과정(II) 172
그림 4.21. 도시확산 변화과정(도시계획재정비)(I) 173
그림 4.22. 도시확산 변화과정(도시계획재정비)(II) 174
그림 4.23. 광주도시공간구조 변화형태(I) 175
그림 4.24. 광주도시공간구조 변화형태(II) 176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광주광역시 (1939), 「光州市街地計劃區域 • 街路 및 土地區劃整理地區 결정고시」 | 미소장 |
2 | 광주광역시(1967), 「광주도시계획재정비 보고서」 | 미소장 |
3 | 광주광역시 (1976), 「광주도시계획재정비 보고서」 | 미소장 |
4 | 광주광역시 (1984), 「광주도시기본계획 보고서」 | 미소장 |
5 | 광주광역시(1986), 「광주도시계획재정비 보고서」 | 미소장 |
6 | 광주광역시 (1990), 「광주도시기본계획 보고서」 | 미소장 |
7 | 광주광역시(1992a), 「광주도시관리계획재정비 보고서」 | 미소장 |
8 | 광주광역시(1992b), 「광주도시계획연혁」 | 미소장 |
9 | 광주광역시(1992c), 「광주도시 장기 종합개발계획」 | 미소장 |
10 | 광주광역시(1995), 「2011년 광주도시기본계획 보고서」 | 미소장 |
11 | 광주광역시 (1998), 「광주도시계획재정비 보고서」 | 미소장 |
12 | 광주광역시(2004), 「2020년 광주도시기본계획 보고서」 | 미소장 |
13 | 광주광역시(2006), 「2010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보고서」 | 미소장 |
14 | 광주광역시 (2007), 「2010년 광주도시관리계획 재정비 보고서」 | 미소장 |
15 | 광주광역시 (2008), 「시정주요통계」 | 미소장 |
16 | 광주광역시(2010), 「2010년 산업단지 현황」,pp. 13〜219 | 미소장 |
17 | 국토연구원(2003), 「도시기본계획결정권한의 지방이양에 따른 제도보완 방향」 | 미소장 |
18 | 국토연구원(2005), 「인구저성장시대의 도시관리정책 방향 연구」 | 미소장 |
19 | 국토연구원(2007), 「대규모개발사업 주변지역의 토지시장 안정화 방안」 | 미소장 |
20 | 국토연구원(2008a), 「미래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다핵도시체계 확립과 육성 방안」 | 미소장 |
21 | 국토연구원(2008b), 「상전벽해 국토60년」 | 미소장 |
22 | 국토연구원(2009a), 「한국형 국토발전모형 정 립 연구」,p. 82 | 미소장 |
23 | 국토연구원(2009b), 「도시용지 공급확대에 따른 토지시장 관리방안 연구」 | 미소장 |
24 | 국토해양부(2007), 「도시계획수립체계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25 | 2008년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 |
미소장 |
26 | (1998),“서울대도시권의 공간구조변화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1989),“신구 도심부의 공간구성에 관한 비교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1995),“대도시 공간구조와 도시성장 패턴에 관한 연구,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1999), 「건축행정법」,도서출판 학우 | 미소장 |
30 | (1993),“도시성장과 도시공간구조의 관계 연구(대구시의 토지이용변화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Suburban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Fringe in Kwangju Metropolitan Area | 소장 |
32 |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 (2004a), 「국토지역계획론」,보성각 | 미소장 |
33 |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2004b), 「토지 이용계획론」,보성각 | 미소장 |
34 | 도시계획론 | 소장 |
35 | (2000),“광주시 도시공간구조의 형태적 변화에 관한 연구”,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p. 123 | 미소장 |
36 | (2009),“해방이후 마산시 도시공간구조의 변천과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7 | (1994),“청주 도시계획의 시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8 | 도시공간구조변화와 통행행태의 변화관계에 관한 연구 ![]() |
미소장 |
39 | (2000), 「일반행정법」제8편,삼영사 | 미소장 |
40 |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urban center system : i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소장 |
41 | (1997),“도시공간구조와 통근행태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2000), 「도시설계」,기문당 | 미소장 |
43 | (2000),“도시계획사를 통하여 본 부산시 공간구조의 변천과정”,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4 | A Study on Transforma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Suwon | 소장 |
45 | The Transformation of the Spatial Structure by Commuting Flows in the Capital Region Using Network Analysis, 1980-2000 | 소장 |
46 | 도시공간구조와 공간이용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공간이용패턴 예측을 중심으로 | 소장 |
47 | (2007),“대규모 개발에 따른 도시공간의 구조적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8 | (1999), 「도시계획학원론」,박영사 | 미소장 |
49 | (2001), 「계획이론」,박영사 | 미소장 |
50 | (1989),“도시인구밀도의 공간적 패턴 변화쎄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1 | (1997), 「도시계획(제도와 규제)」,박영률출판사 | 미소장 |
52 | (1984), 「도시계획 및 설계」,형설출판사 | 미소장 |
53 | (1998), 「도시구조론」,동명사 | 미소장 |
54 | A Study on the Period Division of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in Ulsan ![]() |
미소장 |
55 | The Patterns of Urban Spatial Structural Changes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s - | 소장 |
56 | 한국토지공사(1996), 「환경친화적 단지계획기법」 | 미소장 |
57 | 울산의 도시공간구조 변화 분석 | 소장 |
58 | (1925), 「The Growth of the City」, in Robert E. Park, et, The City, Univ.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59 | (1965), 「Urban Land Use Planning」,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 미소장 |
60 | (eds.)(1962),「Urban Growth Dynamics a Regional Cluster of Cities」, John Wiley and Sons. | 미소장 |
61 | (1945), The Nature of Cities, 「The Annals of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 242. | 미소장 |
62 | (1997), Town and Country Planning in The UK (Twelfth Edition). | 미소장 |
63 | (1994), Town and Country Planning in Britain(Eleventh Edition). | 미소장 |
64 |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1989), Planning Control in Western Europe. | 미소장 |
65 | (1973),Planning Theory,Oxford : Pergamon Press. | 미소장 |
66 | (1992), "Planning : Millenial Retrospect and Prospect," Progress in Planning,(57). 263-284. | 미소장 |
67 | (1939),「The Structure and Growth of Residental Neighborhood in American Cities」, Fedral Housing Administration. | 미소장 |
68 | (1995). Ot»an Land Use Planning(4th ed.), Chicago :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미소장 |
69 | The Theory of Urban Form,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Vol. 24. 1958. | 미소장 |
70 | (19&4),Hstary of Utan Form :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Longman. | 미소장 |
71 | (1996),Urban Planning in Europe. | 미소장 |
72 | (2006), Urban Land Use Planning, 5th ed,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미소장 |
73 | (1965),Descriptive Models of Urban Land Use; 「Canadian Geographer」,Vol. 9. | 미소장 |
74 | (2000), The Contribution of Urban Villages to Sustainable Development, Achieving Sustainable Urban Form(Edited by Katie Williams,Elizabeth Burton and Mke Jenks),Reprinted by Spon Press,pp. 257 〜287. | 미소장 |
75 | (1985), 「比較都市計劃序說」,三省堂 | 미소장 |
76 | (1993), 「現代の 都市法」,東京大學出版社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