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1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내용 및 방법 14
II. 본론 15
1. 이론적 배경 15
(1) 대중음악 15
(2) 대중음악 교육의 실제 사례 21
(3) 음악 교육관에서 바라보는 대중음악 30
2. 음악교육에 있어서 대중음악의 활용 44
(1)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 44
(2)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50
(3) 각 출판사별 대중음악 지도내용 61
III. 결론 144
참고문헌 146
ABSTRACT 148
국문초록 150
대중매체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청소년들은 대중음악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들은 자신들이 듣고 있는 음악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고 무분별하게 듣고 따라 부르는 것에만 치우쳐져 있다. 음악교사들 또한 획일적인 수업으로 인하여 학교 교육과 학생간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양자간의 합일점을 찾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수업에 있어서 대중음악의 개념, 특징, 종류를 정리하였고 대중음악을 음악수업에 실제 적용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고등학교 음악에 대중음악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 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음악 교육관을 통해 바라본 대중음악에 대한 평가를 시도함으로써 대중음악이 교육적으로 활용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중음악 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업지도를 위하여 제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영역별로 나누어 수업 개요안을 작성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폭 넓은 다양한 음악적 능력을 기르게 하고 음악 교사들과 학생들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게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의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대중음악 수용과 대중음악교육에 대한 다양하고 균형 잡힌 소양을 갖추어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오늘날 대중음악교육은 피할 수 없는 것이 되었고 대중음악을 통한 음악교육이 필요한 상황임을 알아야 한다. 음악교육에 있어서 먼저 생각할 것이 자라나는 청소년들임을 알아야 한다. 청소년기에게 있어 균형적인 발달이야말로 음악 교육의 목표 중 하나인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 역할이라 할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음악적 환경을 만들어 줄 의무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음악을 활용한 효과적인 음악 수업의 연구가 계속 되어져야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