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7

1.1. 연구동기와 목적 7

1.2. 연구범위와 방법 9

2. 예배(Worship : 경배) 11

2.1. 예배란 무엇인가? 11

2.2. 예배의 기본 원리 15

2.3. 예배의 성경적 배경 17

2.3.1. 구약의 근원 17

2.3.2. 신약의 근원 18

2.3.3. 초기 기독교 예배 19

2.3.4. 고대와 중세의 예배 20

2.3.5. 종교개혁 시기의 예배 20

2.3.6. 현대 개신교의 예배 21

2.4. 예배를 방해하는 요소들 23

2.5. 하나님께서 거절하시는 예배 26

3. 찬양(Praise) 29

3.1. 찬양이란 무엇인가? 29

3.1.1. 찬양의 어원 30

3.1.2. 찬양의 일반적 의미 32

3.2. 찬양의 이유 34

3.3. 찬양의 내용 36

3.4. 찬양의 형태 37

3.5. 찬양의 능력 41

3.6. 찬양을 방해하는 요소들 43

4. 찬양인도자(Worship leader) 45

4.1. 찬양인도자의 정의 45

4.1.1. 예배인도자와 찬양인도자의 차이 45

4.1.2. 성경적인 배경 46

4.2. 찬양인도자의 자질 49

4.3. 찬양인도자의 역할 52

4.4. 찬양 사역에 있어서의 목사와의 관계 57

5. 찬양인도의 실제 60

5.1. 찬양곡의 구분 60

5.1.1. 찬송가 61

5.1.2. 복음성가 62

5.1.3. CCM 64

5.1.4. 워십송 66

5.2. 효과적인 찬양곡 선정 기준 69

5.2.1. 예배의 주제 69

5.2.2. 가사의 내용 70

5.2.3. 멜로디와 음악 71

5.3. 찬양인도 시 주의해야 할 사항 73

5.4. 리허설과 예배인도 76

5.4.1. 리허설 76

5.4.2. 예배의 시작 78

6. 결론 81

참고문헌 84

(초록) 87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80년대 후반부터 한국교회에서는 몇몇 선교단체와 소수의 교회를 중심으로 경배와 찬양 운동이 일어났고, 그것이 확산되어 현재에는 거의 모든 교회에서 경배와 찬양에 대한 재인식과 함께 예배의 회복을 부르짖고 있다. 특히 찬양에 대한 부분은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전체 예배에 있어서 30 ~ 60%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기존의 예배에 있어서 찬양은 예배를 드리기 전 그저 준비하는 수단으로만 취급되었었다. 과거 전통적인 교회에서는 예배의 요소 중 가장 큰 부분을 말씀, 설교에 비중을 두었고, 찬양은 그저 그런 예배를 드리기 위한 악세서리 정도로만 취급되었다. 그러나 많은 성도들은 찬양을 통하여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만남을 경험하게 되고, 찬양가운데 역사하시는 성령의 놀라운 일들을 경험하게 되었다. 물론 예배에 있어서 말씀은 절대적이다. 말씀에 대한 권위를 약화되어서는 안 된다. 이곳에서 말하고 싶은 요지는 말씀에 대한 절대적 권위를 그대로 두고, 은혜받기 위한 수단, 혹은 예배를 드리기 위해 준비하는 수단으로 왜곡되어진 찬양의 본질을 바로 잡고자 함에 있다. 오늘날 각 교회에서 사역자들을 선정할 때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 중 한 가지가 찬양사역을 해 보았냐는 질문이다. 이는 현대 교회에서 찬양사역자를 필요로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훈련되고, 준비된 찬양사역자는 너무나도 부족하다는 것이다. 예배나 찬양에 대한 바른 개념과 이해 없이 교역자라는 이유로, 혹은 음악적 재능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각 교회에서 찬양을 인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가장 전문적인 사역을 해야 하는 사람이 가장 비전문적인 사람들이 요청에 의해서, 혹은 열심만을 가지고 찬양을 인도하고 있다. 찬양인도는 그저 노래를 인도하는 수준이 아니다. 하나님께는 최고의 영광을 올려드리는 행위이며, 회중들은 하나님의 지성소로 더욱 더 가까이 나아가게 하는 안내자와도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내하는 안내자가 지리적 위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안내한다면 당혹스럽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먼저 예배에 대한 정의와 의미들을 살펴보았다. 성경적 배경에서 예배를 무엇이라고 말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구약과 신약을 근원으로 현대 개신교에 이르기까지 예배가 어떤 특징과 발전을 이루어 왔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예배를 방해하는 요소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찬양이 무엇인지 그 정의와 어원, 일반적인 의미를 다루었다. 찬양은 하나님께 구원받은 백성들이 하나님께 반응할 수 있는 최고의 표현이며, 의무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찬양을 해야 하는 이유와 찬양의 내용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찬양의 형태와 찬양을 통하여 실제적으로 어떤 능력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찬양을 방해하는 요소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찬양인도자는 오늘날 한국교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찬양인도자는 무엇보다도 앞에서 살펴본 예배와 찬양에 대한 정확한 이해해야 한다. 그 다음 자신의 역할과 그 자질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찬양을 인도할 때 예배곡으로는 어떤 곡들이 적합한지, 효과적인 찬양사역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