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7

제1장 서론 9

1.1. 도입 9

1.2.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1.3. 논문의 구성 12

제2장 인지언어학적 은유이론 13

2.1. 은유 13

2.2. 전통적 은유이론 15

2.3. 전통적 은유이론의 한계 17

2.4. 개념적 은유이론 20

2.5. 신경망과 개념적 은유이론 32

2.6. 혼성적 은유이론 36

2.7. 신경망과 혼성적 은유이론 48

2.8. 개념적 은유이론과 혼성적 은유이론의 비교 55

제3장 프로스트의 시적 은유 분석 59

3.1. 「자작나무」("Birches")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이론 59

3.1.1. 〈변화는 이동〉 은유 59

3.1.2. 〈목적이 있는 삶은 여행〉 은유 60

3.1.3. 요약 74

3.2. 「낙엽 밟는 사람」("A Leaf-Treader")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이론 75

3.2.1. 의인화 75

3.2.2. 존재·지향 은유에서의 의인화 76

3.2.3. 요약 90

3.3. 「금빛인 것은 머무를 수 없다」("Nothing Gold Can Stay")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이론 91

3.3.1. 시간은 공간상의 위치 91

3.3.2. 시간은 질주자 92

3.3.3. 요약 103

3.4. 「다시는 새들의 노래가 똑같지 않을 것이다」 ("Never Again Would Birds' Song Be the Same")에 나타난 혼성적 은유이론 104

3.4.1. 시간의 압축 104

3.4.2. 에덴으로의 여행 106

3.4.3. 요약 119

3.5. 「티티새」("The Oven Bird")에 나타난 혼성적 은유이론 120

3.5.1. 표상의 세계 120

3.5.2. 혼성공간으로의 확장 121

3.5.3. 요약 131

제4장 결론 133

Abstract 137

참고문헌 139

그림목차

(그림2.5) 색깔 상태 공간(color state space) 35

(그림2.6.1) 교차공간 사상 38

(그림2.6.2) 총칭공간 39

(그림2.6.3) 안구위상시각정보(retinotopic visual information)를 상위계열 항목 단위정보(higher-order reference frames)로 전환하는 후두 정엽피질(posterior parietal cortex)의 역할을 보여주는 그림 40

(그림2.6.4) 혼성공간 41

(그림2.6.5) 볼츠만 머신(Boltzmann machine)의 도식적 그림 42

(그림2.6.6) 네 공간모형의 기본구조 43

(그림2.6.7) This surgeon is a butcher의 의미 구축의 개념적 통합 망 45

(그림2.6.8) He's not a butcher, he's surgeon의 의미 구축의 개념적 통합 망 46

(그림2.6.9) 신경집단 선택론 또는 신경 다윈주의의 세 가지 주요 원리 48

(그림2.7.1) 운동뉴런(motor neuron)에서 다양한 전기적 사건(electrical events)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식적 그림 50

(그림2.7.2) 소뇌(cerebellum)의 도식적 단면 51

(그림2.7.3) 신경망 행렬(neural network matrix)의 도식적 그림 52

(그림2.8.1) 신경 매커니즘을 통해서본 망막에 미치는 잔상 58

(그림3.3.1) 「금빛인 것은 머무를 수 없다」의 의미구성을 위한 개념적 통합 망 101

(그림3.4.1) 바이패스 수술(Source: Education Excellence Partnership Website, 2001) 105

(그림3.4.2) 「다시는 새들의 노래가 똑같지 않을 것이다」의 입력정신 공간 111

(그림3.4.3) 「다시는 새들의 노래가 똑같지 않을 것이다」의 공간횡단 사상 112

(그림3.4.4) 「다시는 새들의 노래가 똑같지 않을 것이다」의 총칭 정신공간 113

(그림3.4.5) 「다시는 새들의 노래가 똑같지 않을 것이다」의 혼성공간 114

(그림3.4.6) 「다시는 새들의 노래가 똑같지 않을 것이다」의 입력공간으로의 역 사상 115

(그림3.4.7) 「다시는 새들의 노래가 똑같지 않을 것이다」의 의미구성을 위한 개념적 통합 망 117

(그림3.5.1) 「티티새」의 의미구성을 위한 개념적 통합 망 127

초록보기

흔히 말하기를 시적 언어는 일상적인 언어를 벗어난다고 한다. 즉, 시적 언어는 일반인이 일상적으로 말하는 언어 사용의 범위를 벗어난 은유로서 탁월한 수사법과 기교를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일상 언어와는 본질적으로 다르고, 특별하고, 수준 높은 어떤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Lakoff & Johnson(1980: 13)에 따르면, 은유는 시적 언어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 언어, 사고 그리고 행동에도 널리 퍼져있다고 한다. 또한 은유는 익숙한 개념들을 통해서 익숙하지 않은 개념들을 경험하고 이해하는 하나의 인지적 작용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학의 시적언어를 인지언어학적 은유이론으로 설명하고, 인지적 접근방법의 구조 안에서 분석하여 문학 연구와 언어학 연구는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시인들 역시 우리가 평소 사용하는 은유와 같은 기본적인 수준의 은유를 시적 언어에 사용한다. 그 중 한 사람이 20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시인 중의 한 사람인 Robert Frost(1874-1936)이다. 그는 일생 동안 모든 그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은유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그는 주로 자연과 관련된 많은 시를 썼다. 그러나 그의 시에 나타난 자연은 인간들의 이야기를 하기 위한 은유의 도구일 뿐이다. 또한 그는 자연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삶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그의 대다수의 시들은 일상적 삶의 모습과 많이 관련되어 있다.

이처럼 은유는 인간의 삶의 한 가지 양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 역할이 매우 크다. 또한 우리의 개념 체계는 은유적으로 구조화되었기에 은유는 우리에게 사물이나 사건을 쉽게 이해시키는 인지 기제이다. 그러므로 은유가 인지 언어학 분야에서 연구의 주제가 되어왔다. 인지언어학의 은유에서 선구자인, Lakoff & Johnson(1980)은 일반적인 은유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며, 은유가 언어의 ‘특별한’ 부분이 아닌 ‘일상적인’ 부분이라고 주장한다. 즉 우리는 은유를 일상적이며 무의식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사용한다. 언제나 무엇을 생각하든 은유를 통해서 사고하며, 그러한 은유는 일상적 인지 사고와 언어의 집합체이다. 또한 은유는 언어의 문제만이 아니라 우리의 감정, 사회, 인격, 그리고 삶과 죽음 등에 대한 사고를 반영한다. 그러므로 은유는 시적 상상력뿐만 아니라, 이성적 사고에 있어서도 필수적이다.

시인들도 우리 모두가 소유하고 있는 보편적인 사고 양식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시는 우리에게 호소력이 있다. 그러므로 은유는 일상적인 삶에 있어서의 언어뿐만 아니라, 사고와 행위 속에서도 널리 퍼져 있다. 우리의 생각과 행동의 관점이 되는 일상적인 개념체계는 본질에 있어 근본적으로는 은유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일상적 개념체계의 본질을 구축하는 인지언어학적 은유를 Frost 시의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은유이론의 일반적인 이론의 문제들 중에서 Lakoff & Johnson(1980)의 ‘개념적 은유이론’ 과 Fauconnier & Turner (1994, 1998)의 ‘혼성적 은유이론’을 살펴본다. 더 나아가 Frost 시의 은유적 기제를 검토해서 인지언어학적 이론들은 시적 언어뿐만 아니라, 일상의 언어에서도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개념적 은유이론에 의해서는 「자작나무」(“Birches”)·「낙엽 밟는 사람」(“A Leaf-Treader”)·「금빛인 것은 머무를 수 없다」(“Nothing Gold Can Stay”)를 분석하고, 개념적 혼성 이론에 의해서는 「다시는 새들의 노래가 똑같지 않을 것이다」(“Never Again Would Birds’ Song Be the Same”)·「티티새」(“The Oven Bird”)를 검토한다.

인지언어학적 은유이론을 통해서 Frost 시를 분석한 결과, 그는 주변의 자연과 인간사회에서 소재를 구하고 거기서 느끼는 것을 평이한 어조로 말하고 있지만, 그 속에는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이 나타나 있다. 그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는 모든 어려움을 숨김없이 내 보이지만, 그 앞에서 쉽게 체념하거나 좌절하지 않고 극복하는 의지의 모습을 일관되게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문학 작품을 통한 문학연구는 인지언어학 영역의 연구에 의해서 탐구 가능한 영역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