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BREVIATIONS 8
제1장 서론 9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9
2. 연구동향 및 연구방법 15
제2장 자유 개념 이해 30
1. 그레코로만 세계의 자유 개념 30
견유철학(Cynicism) 32
스토아 철학(Stoicism) 38
2. 구약의 자유 개념 42
출애굽 43
희년 48
제3장 노예/노예살이와 자유 56
1. 바울 당시의 노예/노예살이 56
2. 바울 서신에서의 노예/노예살이 67
3. 갈라디아서의 노예살이 비유 74
제4장 갈라디아서의 수신지와 적대자 문제 87
1. 수신지 문제 87
2. 적대자 문제 94
2.1. 유대주의화를 획책하는 자들 104
2.2. 원시종교 숭배자들 111
2.3. ta. stoicei/a tou/ ko,smou에 대한 고찰 114
2.4. 종합 131
제5장 갈라디아서 본문 연구 135
1. 본문의 위치 135
2. 본문 비평 140
3. 본문 사역 144
4. 단락 결정의 문제 146
5. 본문 주석 148
5.1. 그리스도의 자유와 할례(5:1-6) 151
5.2. 적대자들에 대한 비난(5:7-12) 185
5.3. 자유의 책임(5:13-15) 208
제6장 갈라디아서의 자유 224
1.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224
2. 원시종교로부터의 자유 233
3. 사랑으로 서로 섬기는 자유 238
제7장 결론 244
참고문헌 256
ABSTRACT 278
국문초록 281
이 논문의 목적은 갈라디아서에서 자유 개념이 가진 의미와 기능을 연구하는 것이다.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 그리스도인들에게 전한 복음의 핵심이 바로 자유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무엇보다도 갈라디아서 연구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바울의 적대자들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일이다.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를 떠난 후 거짓 형제들이 갈라디아 교회에 들어왔다. 그들은 바울이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아버지로부터 부르심을 받지 않았고, 그의 복음은 참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들은 할례를 받고, 율법이 규정한 것을 준수해야만 구원을 완전케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갈라디아 교회에는 또 다른 종류의 적대자들이 있었다. 이 사람들은 원시 정령을 섬겨야만 구원을 완전케 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이었다. 예전에 경험했던 원시종교를 받아들여야만 구원을 완전케 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이었다. 이미 갈라디아 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원시종교, 즉 마술, 거세, 초자연적인 계시 그리고 천사의 중재, 신을 달래는 기념비와 같은 것들을 잘 알고 있었다. 특히 키벨레 신앙이나, 아나톨리아의 다양한 기념비들, 소아시아 전역의 신을 달래는 기념비들은 중앙아나톨리아 사람들의 삶에 대단히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그러나 바울은 갈라디아서를 통해 구원은 그리스도 안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은혜 이외의 다른 그 무엇으로도 얻을 수 없다고 단언한다. 율법과 할례라도 구원을 완전케 하는 보조수단이 될 수 없고, 더욱이 연약하고 보잘 것 없는 원시종교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적대자들이 하려고 한 일은 결과적으로 갈라디아 교회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율법과 원시종교에 예속되어 살게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바울은 갈라디아 교회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리스도 안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은혜 이외에 다른 어떤 보조적인 수단, 즉 율법과 원시종교에 노예살이 하는 것을 허락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리스도께서 갈라디아 교회 그리스도인들을 모든 속박으로부터 자유롭게 하셨기 때문이다.
자유는 갈라디아 교회에 나타난 적대자들 때문에 야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울이 선택한 적절한 용어였다. 물론 바울의 자유 개념에 그레코로만적인 배경과 유대적인 배경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은 높다. 그러나 바울은 이 두 가지 배경에서 경험한 자유 개념을 문자 그대로 대변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것을 소화해 내고, 또 다른 개념의 자유를 주장했다. 특히 바울의 자유 개념은 그레코로만적인 정치적 자유와는 거리가 멀다. 그가 사유한 자유는 그리스도로부터 유래된, 말 그대로 그리스도의 자유이다. 그래서 그는 자유를 말하면서 “우리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소유한 자유”(갈 2:4)라고 말하는 것이다. 또한 5:1에서는 자유의 근거가 바로 그리스도임을 밝히고, 5:24에서는 그리스도께 속한 이들은 정욕과 욕망과 함께 육체를 십자가에 못박는다고 말한다. 2:20과 6:14에서도 십자가의 역할을 실존적으로 강조한다. 바울은 그리스도께서 십자가를 통하여 그리스도인들이 노예로서 속박 당했던 율법, 그리고 원시종교로부터 해방시켜 자유를 얻게 했다고 이해했다. 이렇게 볼 때 바울은 갈라디아서에서 자유의 기초를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에 두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바울은 그리스도인이 자유롭게 되었다면, 그 자유를 지키고 행사하는 유일한 길은 사랑으로 서로 섬기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것이 바로 바울이 전하고자 하는 자유의 역설이다. 즉 또 다른 노예살이를 위해서 자유를 사용하라는 것이다. 그래서 바울은 갈라디아 교회 그리스도인들이 공동체에서 자유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서로 섬겨주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로부터 주어진 자유를 자신의 이익이나 관심을 위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서로 남의 짐을 져 줌으로써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며(6:2), 기회가 되는 대로 모든 사람에게 선한 일을 하기 위해서(6:10) 자신의 자유를 사용해야만 한다.
바울 서신에 나타난 이러한 자유의 개념은 이사야 벌린(I. Berlin)의 Two concepts of Liberty에서 밝힌 자유의 적용을 통해 결론지을 수 있다. 벌린은 자유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고 생각했다. 하나는 부정적 또는 소극적 자유이고, 다른 하나는 긍정적 또는 적극적 자유이다. 소극적 자유를 바울의 자유에 적용시켜 본다면, 그리스도인들은 율법, 죽음, 죄 그리고 원시종교로부터 해방되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더 이상 무엇에도 노예살이를 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이제 그들은 그리스도의 자유를 지녔기 때문이다. 적극적 자유를 바울의 자유에 적용시켜 본다면, 그리스도인들은 그들의 자유를 오직 타인을 위하여, 그리고 복음을 위하여 사용해야만 한다. 바울은 노예살이로부터 자유케 된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 그리스도 그리고 그들의 이웃들의 노예가 되어야만 한다고 역설적으로 자유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