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6
I. 서론 9
1. 연구목적 9
2. 연구사 검토 11
3. 연구 방법 21
II. 이향과 귀향의 순환성 32
1. 떠남의 공간과 '바다'의 신비성 32
1) '바다'의 역동성과 생명성 인지 33
2) 「바다9」의 은유와 도상성 53
2. 돌아옴의 공간과 '고향'의 원형성 59
1) 그리움의 객관적 상관화와 동일화 정서 61
2) '고향'의 부재와 원형 복원에의 의지 68
III. 시간의식과 속도의 가속성 78
1. 전근대의 시간과 동양적 세계관 78
1) 은일의 여백과 공감각적 인지 80
2) 「장수산1」의 은유와 도상성 88
2. 근대의 시간과 풍경으로서의 근대 94
1) 근대 풍경과 감성적 인지 96
2) '기차'의 상징성과 모더니티 111
IV. 생성과 소멸의 양가성 125
1. 수용과 차단의 이중성을 통한 생성의식 125
1) '유리'의 이중성과 세계관 인지 127
2) 「통조창1」의 은유와 도상성 144
2. '안'과 '밖'의 변증법과 정서적 교감 149
1) 소멸과 생성의 경계와 혼종성 150
2) 경계의 소통과 정서의 패러독스 160
V. 구원과 순수의 영속성 170
1. 신앙 체험과 천상 지향의식 170
1) 실존의 고뇌와 향일성 인지 172
2) '불'의 은유와 도상성 177
2. 유년 체험과 순수 지향의식 186
1) '가족'의 부재와 그리움 187
2) 동화적 상상력과 순수성 196
VI. 결론 204
참고문헌 211
This study considered the process of creating and giving meanings in poems of Jiyong Jeong by using cognitive poetic methodology. It studied his consciousness for the era and meaning of the objects through the cognitive poetic aspect. Based on this, it tried to find out how his poets communicated with the contemporary time and what kinds of emotions were comprised through his world view and consciousness about space time.
In chapter 2, metaphor and iconography of 'sea' and 'home town' were interpreted. Meaning structure of 'sea' was considered by being connected to the sea related poems, mainly concentrated on 'Sea9.' This poem used basic conceptual metaphors such as 'nature is human,' 'accident is action' and 'emotion is material.' These metaphors in complementary relations form a complex space and expand their images from physical actions to emotional level.
His process of recognizing his hometown initiated in Japan when he realized what the absence of hometown meant. The sense of loss and loneliness stimulated his imagination to restore the originality of 'hometown.'
In the chapter 3, the way he realized the time and speed of life was dealt concentrated on poems about mountains and the modem experiences. An aged monk and Jangsoo Mountain in 'Mt.Jangsoo 1' were described metaphorically in order to show similarity of family. It is found in expressions such as "nature is human' and 'human is nature.' The two elements are combined and show an image of silence which indicates unification of human and nature.
Experiencing the modem culture and materials, he felt strangeness. Use of 'way schema' embodied liquidity of city and adrift existence. He visualized the strange object to animalistic image to describe modem experience in 'Train,' therefore highlighting the speed and movement of the train.
In chapter 4, his way to recognize properties of twofold life in expressions such as 'life and death,' and 'creation and destruction' was studied through material and natural phenomena. 'Glass window' in his poems bears two different meanings - 'open' and 'close.' Transparency of the window has twofold characteristics to connect and to disconnect the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That is to say, the window isolates the writer from his longing objects but at the same time enables him to communicate with stars and birds which appear through the window itself.
In chapter 5, his way to recognize the world and the world he tried to realize in his religious poems and children's poems were described. In his religious poems, two main conceptual metaphors, which are 'life is travel' and 'life and death are connected,' contribute to not only microscopic but also macroscopic structures of the text.
The most noticeable sentiment in his young life is the sense of 'longing,' which is induced from the absence of mother in his young ages. The longing is expressed in the forms of 'sadness,' 'crying,' and 'scariness.' Meantime, he also described the innocence of children by brining fairy tale imagination into nature like diverse animal and plants as well as traditional experience.
He embodied sensuous impression of objects using basic conceptual metaphors like 'nature is human' and 'emotion is truth.' Feelings of thrill and expectation about stepping toward a new open world were translated into dynamism and demystification of 'sea' while duplicity of 'glass' marked twofold emotion of creation and destruction.
He expressed cognition and world view about time space through objects. 'Train' represents sensuous cognition for modem experience and the reality of the time filled with sadness and maladjustment. On the contrary, mountain expresses oriental view of the world and reclusive emotion. Sensuous cognition attitude is shown in children's poems as well, which embody objects and conventions of youth experience with fairy tale like imagination.
In addition, he threw ontological questions and thoughts about life through image diagram such as 'way schema,' 'container schema' along with basic conceptual metaphors like 'life is travel' and 'life and death are connected.' The phrase 'life is travel' is connected to the metaphor of 'life is pain,' which indicates limit and pain of life while expanding the life to afterlife with religious faith at the same time.
For the last, he contemplated the images through figure related contents. The figure related contents such as blank with a long break, spacing and use of similar notes strengthen the poetic sense and text of poems as well as elevate its completeness and esthetic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정지용 전집 1시,민음사,2005. | 미소장 |
2 | 정지용 전집 2산문,민음사,2005. | 미소장 |
3 | 원본 정지용 시집 ,깊은 샘,2003. | 미소장 |
4 | 「한국 현대 기독교 시 연구」,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2. | 미소장 |
5 | 「정지용 시의 기호학적 연구」,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89. | 미소장 |
6 | 「1930년대 시의 담론체계연구:지용시와 영랑시에 대한 기호학적 담론 분석」,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6. | 미소장 |
7 | 정지용과 윤동주의 동시 연구 | 소장 |
8 | 「1920년 한국시의 모더니즘 연구」,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0. | 미소장 |
9 | 「한국 민속예능의 민족연극학적 연구」,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89. | 미소장 |
10 | 「정지용 시의 이미지 연구」,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7. | 미소장 |
11 | 「김수영 시 연구」,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1. | 미소장 |
12 | 韓國 모더니즘詩 硏究 | 소장 |
13 | 30年代 모더니즘 시의 心象體系硏究 | 소장 |
14 |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과 전통 : 정지용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 소장 |
15 | 「정지용 시의 갈등 양상 연구」,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8. | 미소장 |
16 | 「오장환 시 연구」,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4. | 미소장 |
17 | 「영랑 시 연구」,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2. | 미소장 |
18 | 정지용 동시 연구 | 소장 |
19 | 「한국 현대 동시의 정신 양상 연구」,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8. | 미소장 |
20 | 韓國 모더니즘詩에 나타난 疎外意識과 不安意識 硏究 | 소장 |
21 | 「정지용 시의 시간의식 연구」,아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5. | 미소장 |
22 | 「조태일 시의 인지시학적 연구」,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0. | 미소장 |
23 | 정지용 시의 자연 인식과 형상화 양상 | 소장 |
24 | 「서정주 시 텍스트의 인지시학적 연구」,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8. | 미소장 |
25 | 「정지용 시의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80. | 미소장 |
26 | 「정지용 시의 운율체계 연구」,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4. | 미소장 |
27 | 「1930년대 한국모더니즘 시 연구」,인하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1994. | 미소장 |
28 | 「한국 근대소설론의 유형별 사적 연구」,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88. | 미소장 |
29 | 鄭芝溶 詩의 硏究 | 소장 |
30 | 「정지용 시의 상상력 연구」,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89. | 미소장 |
31 | 정지용시의 전통지향성 연구 | 소장 |
32 | 「현대시에 나타난 「바다」 연구」, 문학과언어 4집,1983. | 미소장 |
33 | 「정지용 동시 연구」, 정지용의 문학세계 연구 ,깊은샘, 2001. | 미소장 |
34 | 「장수산1」의 구조와 의미」, 정지용 시 다시 읽기 ,월인,2003, | 미소장 |
35 | 「1933년 시단의 회고」, 조선일보 ,1933.12.8. | 미소장 |
36 | 「기교주의 비판」, 시론 ,백양당,1947. | 미소장 |
37 |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 김기림 전집2 ,심설당,1988. | 미소장 |
38 | 「정지용 시의 공간체계와 텍스트 의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2집,2004. | 미소장 |
39 | 「시를 위한 시」, 예술과 생활 ,박문출판사,1947. | 미소장 |
40 | 「정지용의 ‘곡마단’고」, 경기어문학 4집,1983.12. | 미소장 |
41 | 「정지용 동시론」, 청람어문연구 3집,2004.12. | 미소장 |
42 | 「영상미학의 탐구」, 현대문학 306호,1980.6. | 미소장 |
43 | 「불길한 환상,유리창 밖의 세상-‘유리창2’론」, 시의 아포리아를 넘어서 ,이룸,2001. | 미소장 |
44 | 「카톨릭시즘과 미의식」,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1984. | 미소장 |
45 | An interpretation of Korean Talnorum from a view point of Performance Studies: focusing on Dongrae-Dulnorum | 소장 |
46 | 정지용 시의 죽음의식 연구 | 소장 |
47 | 「정지용론」, 삼천리문학 1권 2호,1938.4. | 미소장 |
48 | 「카톨릭시즘과 정지용 시」, 인문과학연구 6집,2005. | 미소장 |
49 | 「한국 현대시의 한시적 전통 계승에 관한 고찰」, 국어국문학 92호,1984.12. | 미소장 |
50 | 「1930년대 시에 나타난 ‘기차’표상과 근대적 시각성」, 현대문학이론연구 ,2006.3. | 미소장 |
51 | The Train in Korean Modern Poetry | 소장 |
52 | 鄭芝溶의 일어시 연구 | 소장 |
53 | 정지용 시에 나타난 색채어 연구 | 소장 |
54 | ,「신미시단의 회고와 비판」, 중앙일보 ,1931.12.7. | 미소장 |
55 | 「을해시단총평」, 박용철전집 2권,동광당서점,1982. | 미소장 |
56 | 오장환 시의 문체 연구 | 소장 |
57 | 정지용의 「향수」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 소장 |
58 | 「정지용,즉 모더니즘의 자기부정」, 시학평전 ,1963. | 미소장 |
59 | 「정지용 시에서 ‘헤매임’과 산문 양식의 문제」, 한국문학의 양식론 ,한양출판,1997. | 미소장 |
60 | 만해 한용운 시의 인지시학적 연구 | 소장 |
61 | ,「1933년 시단연평」, 신동아 ,1933.12. | 미소장 |
62 | 모더니스트 : 悲劇的 狀況의 主人公들 : 韓國現代文學의 再整理, 文學史的 位置 | 소장 |
63 | 정지용의 '종교시편'에 관한 연구 | 소장 |
64 | 現代詩의 五十年 | 소장 |
65 | 「정지용의 동시 연구」, 순천향어문연구 ,1998. | 미소장 |
66 | Special Theme Issue : The Geometrical Power of Imagination Expressed in Jung Ji Yong`s A Book of Sea Poems ![]() |
미소장 |
67 | 정지용 시에 나타난 고독과 죽음 | 소장 |
68 | The metaphors of sounds in the daily lives of modern times | 소장 |
69 | 「일제하 기독교 시인의 죽음의식」, 어문논총 27집,1999. | 미소장 |
70 | ,「바라든 지용 시집」, 조선일보 ,1935.12.10. | 미소장 |
71 | 「창의 공간기호론-정지용의 ‘유리창’을 중심으로」, 문학사상 ,1988.4. | 미소장 |
72 | 작가 吳永壽의 생태적 想像力 | 소장 |
73 | 「曇天下의 시단일년」, 신동아 ,1935.12. | 미소장 |
74 | The Rhythm of Jeong Ji-yong's poetry | 소장 |
75 | On Spatial Code System : A Theory of Jeong, Ji-yong’s Poetry | 소장 |
76 | 정지용 초기시에 나타난 근대의 '감성적(ästhetisch)' 전유 양상 고찰 | 소장 |
77 | 「수공예술의 말로」, 문학과 사상 ,세계문학사,1949. | 미소장 |
78 | 韓國現代詩史의 反省 | 소장 |
79 | 「산수시와 은일의 정신」, 1930년대 민족문학의 인식 ,한길사,1990. | 미소장 |
80 | 「대도시와 정신적 삶」,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2005. | 미소장 |
81 | 「정지용의 일어시」, 정지용의 문학세계 연구 ,깊은샘,2001. | 미소장 |
82 | 정지용 시 126편 다시 읽기 ,민음사,2004. | 미소장 |
83 | 정지용의 정지용시집 을 읽는다 ,열림원,2003. | 미소장 |
84 | 개념적 혼성이론 ,박이정,2002 | 미소장 |
85 | 한국근대시의 구조연구 ,한샘,1988. | 미소장 |
86 | 형상과 전통 ,월인,2006. | 미소장 |
87 |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1991. | 미소장 |
88 | 정지용 문학의 현대성 ,소명출판,2000. | 미소장 |
89 | 정지용의 문학세계연구 ,깊은샘,2001. | 미소장 |
90 | 정지용 시의 미학성 ,소명출판,2004. | 미소장 |
91 | 정지용 ,새미,1996. | 미소장 |
92 | 풍물굿 연구 ,지식산업사,2009. | 미소장 |
93 | 정지용 시의 공간과 죽음 ,월인,2002. | 미소장 |
94 | 정지용 이해 ,태학사,2002. | 미소장 |
95 | 정지용 연구 ,민음사,1987. | 미소장 |
96 | 한국모더니즘시연구 ,시문학사,1981. | 미소장 |
97 | 정지용 ,건국대학교출판부,1996. | 미소장 |
98 | 정지용의 삶과 문학 ,깊은샘,2010. | 미소장 |
99 | 인지시학 ,푸른사상,2004. | 미소장 |
100 | 정지용 시의 형태와 의식 ,국학자료원,2007. | 미소장 |
101 | 시학평전 ,1974. | 미소장 |
102 | 한국현대시의 인지시학적 이해 ,태학사,2005 | 미소장 |
103 | 현대문학산고 ,고대출판부,1976. | 미소장 |
104 | 근대시의 모더니티와 종교적 상상력 ,소명출판,2008. | 미소장 |
105 | 1930년대 한국시의 근대성 ,소명출판,2000. | 미소장 |
106 | 정지용 시의 심층적 연구 ,태학사,1999. | 미소장 |
107 | 비유와 인지 ,한국문화사,2003. | 미소장 |
108 | 탈경계의 문학과 비평 ,택학사,2008. | 미소장 |
109 | 말하는 몸 ,한국문화사,2006. | 미소장 |
110 | 정지용 시 연구 ,태학사,1994. | 미소장 |
111 | 정지용 ,깊은샘,1981. | 미소장 |
112 | 하나의 도에 이르는 시학 ,고려대출판부,1997. | 미소장 |
113 | 정지용 사전 ,고려대학교 출판부,2003. | 미소장 |
114 | 다시 읽는 정지용 시 ,월인,2003. | 미소장 |
115 | 삶의로서의 은유 ,서광사,1995. | 미소장 |
116 | 시와 인지 ,한국문화사,1996. | 미소장 |
117 | 몸의 철학 ,박이정,2002. | 미소장 |
118 | 인지언어학의 기초 ,한국문화사,1997. | 미소장 |
119 | 숨은 神 ,연구사,1986. | 미소장 |
120 | 마음 속의 몸 ,한국문화사,1992. | 미소장 |
121 | 은유와 도상성 ,연세대학교 출판부,2007. | 미소장 |
122 | 마음의 시학 ,한국문화사,2003. | 미소장 |
123 | 인지시학개론 ,한국문화사,2009. | 미소장 |
124 | 은유 ,한국문화사,200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