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문제 17
3. 용어의 정의 18
II. 이론적 배경 20
1. 수학문장제 문제와 문제해결 전략 20
1) 수학문장제 문제의 개념과 유형 20
2) 수학문장제 문제와 문제해결 25
3) 수학문장제 문제해결전략 29
2.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 오류유형 35
1) 지적장애와 인지처리양식 35
2) 수학교과와 인지처리양식 38
3) 인지처리양식과 오류유형과의 관계 40
3. 다중표상 기반 인지·초인지전략과 문제해결 43
1) 표상의 개념과 다중표상 방법 43
2) 인지·초인지 전략 51
3) 다중표상 기반 인지·초인지전략과 문제해결과의 관계 58
III. 연구 방법 65
1.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 오류유형과의 관계 65
1) 연구 대상 65
2) 연구 참여자 66
3) 검사 도구 67
4) 연구 절차 69
5) 오류분석 기준 70
6) 자료처리 71
2. 다중표상 기반 인지·초인지전략이 수학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72
1) 연구 대상 72
2) 연구 참여자 75
3) 연구 설계 76
4) 프로그램 개발 77
5) 조사 도구 84
6) 연구 절차 88
7) 자료 처리 90
IV. 연구 결과 91
1.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 오류유형과의 관계 91
1)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 91
2) 지적장애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 오류유형 94
3)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 오류유형의 관계 95
2. 다중표상 기반 인지·초인지전략이 수학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97
1) 다중표상 기반 인지·초인지전략이 수학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97
2) 다중표상 기반 인지·초인지전략이 수학문장제 문제해결의 오류유형에 미치는 영향 99
V. 논의 103
1.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 오류유형과의 관계 104
2. 다중표상 기반 인지·초인지전략이 수학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108
VI. 결론 및 제언 112
1. 결론 112
2. 제한점 및 제언 113
참고문헌 115
부록 124
〈부록1〉 검사 실시 전 사전 교육자료 124
〈부록2〉 검사실시후 자기 점검표 126
〈부록3〉 오류유형분석 검사지-기본형- 127
〈부록4〉 오류유형분석 검사지-심화형- 132
〈부록5〉 오류유형분석 검사지-기초형- 137
〈부록6〉 사전수학문장제 해결검사 142
〈부록7〉 사후수학문장제 해결검사 147
〈부록8〉 수학문장제 문제 해결 검사 사전·사후검사 문항 난이도 152
〈부록9〉 다중표상을 기반으로 한 인지·초인지 전략 차시별 지도안 153
Abstract 160
[그림 II-1] Riley 등(1983)의 문제 이해 및 해결모형 26
[그림 II-2] 한국교육개발원의 문제해결 교수-학습모형(강옥기 등, 1985) 27
[그림 II-3] Hudson(1993)의 표상 48
[그림 II-4] Montague(1997)의 인지·초인지 전략 모델 56
[그림 II-5] Montague(1997)의 인지·초인지전략의 세부적 단계 57
[그림 II-6] 다중표상의 과정 58
[그림 II-7] 인지·초인지전략 60
[그림 II-8] 다중표상 기반 인지·초인지전략 윤곽도 61
[그림 III-1] 프로그램 세부 단계별 윤곽도 78
[그림 IV-1]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의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비교 98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 오류유형의 특징과 그 관계를 알아보고, 다중표상을 기반으로 한 인지·초인지 전략이 지적장애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 학습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개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은 지적장애학생이 보이는 인지처리양식을 알아보고 수학문장제 문제에서 보이는 오류유형을 파악하여 이 둘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있어 수학문장제 문제 교수방법에서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경남지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지적장애학생(N=100)을 대상으로 K-ABC와 오류유형 분석 검사지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에는 차이가 없다. 즉, 지적장애학생의 순차저리양식과 순차처리양식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적장애학생들이 보인 오류유형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오류유형은 잘못된 연산의 오류이고, 그 다음으로는 계산 오류, 주어진 수 오류, 임의의 답 오류, 무응답 순이다. 잘못된 연산의 오류가 가장 많다는 것은 문장제 문제의 의미 파악이 어려웠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지능유형과 오류유형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즉, 순차우세학생의 경우 잘못된 연산의 오류가 유의미하게 높고, 주어진 수 오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동시우세학생의 경우 주어진 수 오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잘못된 연산의 오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연구문제 2는 다중표상을 기반으로 한 인지·초인지 전략이 지적장애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만약 영향을 미친다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다중표상을 기반으로 한 인지·초인지 전략이 지적장애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따라서 경남 C시에 거주하는 지적장애학생 40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치하였다. 이 학생들은 연구문제 1에 참여한 학생들 중 선발하였다. 실험 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일주일에 3회씩, 10주 간에 걸쳐 총 30회기가 실시되었다. 다중표상을 기반으로 한 인지·초인지 전략의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를 하였으며, 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의 사전검사 점수와 실시 후의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를 t검증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다중표상을 기반으로 한 인지·초인지 전략은 지적장애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에 효과적이다.
둘째, 다중표상을 기반으로 한 인지·초인지 전략은 잘못된 연산의 오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셋째, 다중표상을 기반으로 한 인지·초인지 전략은 잘못된 연산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에게 계산 오류를 범하지 않게 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계산 오류를 보이는 학생들에게 잘못된 연산 오류를 범하지 않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1995).수학과의 평가방법.그 이론과 실제.서울:교학사. | 미소장 |
2 | (2007).초등수학교육론.서울:동명사. | 미소장 |
3 | (2000).초등특수학생에 대한 문장제 수학문제 해결전략 훈련효과.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4 | (The) effects of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 소장 |
5 | The Characteristic of K-ABC-K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DHD: Analysis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 소장 |
6 | (The) Effect of Math Journal on the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olving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 소장 |
7 | 표상 학습전략이 수학학습장애아의 문장제 문제해결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8 | 교육부(1998).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서울:서울특별시 인쇄 공업 협동조합 | 미소장 |
9 | 귀인훈련과 인지-초인지 전략을 연합한 교수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학생의 무력감과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 소장 |
10 | (2007).청각장애 아동의 덧뺄셈 수학문장제 해결능력.단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2004).구체적 조작활동이 장애아동의 수리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2002).문제표상 학습방법의 효과.교육학연구,40(2),65-88. | 미소장 |
13 | (1999).K-ABC를 통한 정신지체아의 부호화 과정 특성.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4 | (2006).초인지학습전략 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수학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5 | (2002).자기교시훈련이 학습장애아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6 | (2005).자기교시 훈련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자기통제력 및 수학문장제 문제 해결에 미치는 효과.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7 | Cognitive Processing Analysis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by K-ABC | 소장 |
18 | (1998).인지-초인지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9 | (2008).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중재 효과 메타분석.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0 | Review of the Quality of Group Design Studies on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of Students with Math Learning Problems | 소장 |
21 | (2000).학습장애아동을 위한 교수-학습전략.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2 |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3-6 years-old Children with SLI, Mental Retardation, Cerebral Palsy based on the K-ABC | 소장 |
23 | The Effects of the Project Approach on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heir Information Processing Type | 소장 |
24 | Effects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attitudes·attribution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 소장 |
25 | (2004).자기조정전략훈련이 정신지체 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6 | (2004).문제해결학습의 원리와 방법.서울:형설출판사. | 미소장 |
27 | (2006).경도정신지체 아동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 교수를 위한 스케폴딩 기반 코스웨어의 개발 및 효과검증.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8 | (2005).수정된 문제풀이 전략훈련이 초등학교 수학 학습장애 학생의 문장제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공주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9 | A Study on Cognition Processing Features of Children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Underachieving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Measured by the K-ABC Test | 소장 |
30 | (2003).K-ABC임상사례연구.서울 :학지사 | 미소장 |
31 | (2005).문제풀이 전략훈련이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2 |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Down`s Syndrome Children`s Cognitive Processing | 소장 |
33 | (1997).K-ABC 실시․채점요강.서울:학지사. | 미소장 |
34 |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별 계열적-동시적 처리과정 프로파일 분석 | 소장 |
35 | (1997).한국판 K-ABC와 한국판 WIPPSI의 공인자 분석.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연구논문집,56,383-397. | 미소장 |
36 | (1989).기초학습기능검사,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7 | (2002).문자식에 대한 오류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지도방안연구.광주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8 | (2000).문제표상훈련이 경도정신지체아동의 수학문제해결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메타인지훈련이 독해장애아의 문장제 수학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소장 |
40 | (2008).문장제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오류 분석.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41 | Development of Basic Study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소장 |
42 | (2007).메타인지 학습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수학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43 | 문제 해결력 지도의 수학 교과 학업 성취 수준별 영향 | 소장 |
44 | K-ABC를 통한 읽기 장애아동의 정보처리능력 | 소장 |
45 | (The) Effect of Schema Based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Solv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for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 소장 |
46 | The types of representation and thinking strategies of young children at preoperational stage in arithmetical tasks | 소장 |
47 | (2004).초등수학 문장제 해결과정에 나타나는 오류분석.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8 | (The) Effects of Graphic Representations Strategies o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Moderate Mental Retardation | 소장 |
49 | (2005).진단범주로서 경도정신지체에 대한 타당성고찰.특수아동연구,7(2),113-127. | 미소장 |
50 | The Effects of Systematic Error-Procedures Guidance 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chievement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disabilities | 소장 |
51 |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Using the Motion Animation on Self-Determination and Self-Expression Abilities of Students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 소장 |
52 | (2006).상위인지학습훈련이 수학학습장애아의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53 | (2006).다면적 표상기반 전략 훈련이 수학문장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54 | (1995).정신지체아의 심리학적 이해.도서출판 특수교육. | 미소장 |
55 | 정보처리유형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의 차이 | 소장 |
56 | 이차방정식과 부등식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원인분석과 교정에 관한 연구 | 소장 |
57 | (2005).초인지전략학습훈련이 수학학습 부진아의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58 | ((2003).K-ABC를 통한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인지처리 양식과 연산오류 특성.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9 | (2008).수학 문장제의 문장 구조와 해석상의 오류분석.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60 | (1994).산수문장제에 대한 아동의 문제해결 표상능력에 관한 연구.미간행: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1 | 자기교시훈련을 적용한 문제 만들기 활동이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62 | 서울-仁川 都市回廊의 地理學的 硏究 | 소장 |
63 | (2005).메타 인지적 사고가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단국대학교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64 | 인지-초인지 전략교수가 중등도 정신지체학생의 실생활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65 | (2003).수학학습부진아에 대한 문장제 표상학습전략 훈련 효과.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66 | Comparing the Characteristic of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RTI) of Students with General, Low-Achievement, and Learning Disabilities on the Arithmetic Word Problems | 소장 |
67 | The Effect of Self-Instruction Training Based on Error Analysis on the Word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Error of Mathematics Underachiever | 소장 |
68 | (1995).학습문제아 문장제 문제해결 발달에 관한 일 연구.단국대특수교육요구 아동연구,4,161-193. | 미소장 |
69 | 數學 學習에서의 表現 및 表象에 관한 연구 : 表象 모델 開發을 중심으로 | 소장 |
70 | (2003).초등학교 수학학습장애아와 일반아동의 연사오류 유형 비교 연구.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71 | (2002).목표설정 초인지 훈련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72 | (2003).독해전략이 학습부진아의 수학과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73 | (1997).문제의 시각적 표상 학습이 수학 학습장애학생의 수학문제해결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74 |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 Processing for the Mental Retardation through K-ABC | 소장 |
75 | (2002).문장제에 대한 이해정도가 문제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3(1),189-200. | 미소장 |
76 |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Mental ability and Achieval ability by K-ABC | 소장 |
77 | (2004).역동적 평가에 기반한 문제해결전략 지도가 수학 학습부진아의 문장제 문제풀이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78 | (2006).수학 학습부진 학생의 문장제 문제 수행 오류 유형분석.단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79 | (2007).동영상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80 | (1994).초인지적 학습전략 훈련이 학습전략 사용 및 독해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81 | (1982). Psychological testing (5th ed.). New York : Macmillan. | 미소장 |
82 | Using hypermedia to improve the mathematics problem-solving skil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
미소장 |
83 | (2000). Student′s use of multiple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ntana state University. | 미소장 |
84 | (1996). Mathematics achievement in the middle school years. IE A′s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TLMS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Chestnut Hill, 1-239.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06 419 | 미소장 |
85 | Using Intriguing Problems To Improve Math Skills. ![]() |
미소장 |
86 | Anchoring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Math Concepts in Rich Problem-Solving Environments. ![]() |
미소장 |
87 | (1997). Using multiple representations for conceptual change in pre-algebra: A comparison of variable usage with graphic and text based problem.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ED), Washington, DC. | 미소장 |
88 | (1986). Teaching student to read through their individual learning styles. Prentice-Hall. | 미소장 |
89 | Improving th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kil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 |
미소장 |
90 | Learning disabilities: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 |
미소장 |
91 | Colorado Department of Education(2005). Fast Facts : Evidence-based practice. [Brochure]. CDE, Exceptional Student Service Unit. | 미소장 |
92 | (2003). Effects of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f middle school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 미소장 |
93 | (1979). Simultaneous and successive cognitive processes. NewYork: Academic Press. | 미소장 |
94 | Devising an instructional program to teach arithmetic problem-solving skills t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
미소장 |
95 | (1985). The cognitive psychology of school learning. Hillsdale, HJ: LEA | 미소장 |
96 | Solving arithmetic word problems: an analysis of classification as a function of difficulty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rithmetic LD. ![]() |
미소장 |
97 | Quality Indicators for Group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 |
미소장 |
98 | (1990). An exposition of constructivism: Why some like it radical. In Davis, R. B., Maher, C. A., & Noddings, N.(Ed.), Constructivist views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19-30. Reston,NCTM. | 미소장 |
99 | (1993). Question and answers about radical constructivism. In Tobin, K.(Ed.), The practice of constructivism in science education, 23-38.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미소장 |
100 | (1996). Aspects of radial constructivism and its educational recommendation. In L. Steffe et al.(Eds.), Theories of mathematical learning, 307-314, New Jersey: LEA | 미소장 |
101 | (1990). Epistemology, constructivism, and discovery learning mathematics. In Davis, R. B., Maher C. A., & Nodding, N.(Ed), Constructivist views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31-47. Reston, NCTM. | 미소장 |
102 | (1996). Active learning problem sheet : Mechanics. Hayden-McNeil Publishing, Inc., Plymouth, Michigan. | 미소장 |
103 | The effects of schema-based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word-problem-solv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
미소장 |
104 | Mathematical Word-Problem-Solv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and Students at Risk for Math Failure: A Research Synthesis ![]() |
미소장 |
105 |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 |
미소장 |
106 | (2002). Learning to solve problem. In C. Vrasidas, & G. Glass.(Ed.), Current perspectives on applied information technologies: distance education and distributed learning.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http://tiger.coe.missouri.edu/jonassen/online.pdf. | 미소장 |
107 | (1983).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Circle Pines, NY: American Guidence Service. | 미소장 |
108 | (1985). Undersyanding and solving word arithmetic problems Psychological Review, 92, 109-129. | 미소장 |
109 | Multi-Task Study of the Effects of Task Load and Gender on the Development of Visual Field Asymmetries ![]() |
미소장 |
110 | (1983). Thinking, Problem solving, cognitive, N.Y.:W. H. Freeman and Company. | 미소장 |
111 |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in Math to Acquire, Understand, and Apply Basic Math Facts. ![]() |
미소장 |
112 | (2001). Teaching student with learning problem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 미소장 |
113 | Mnemonics: Enhancing the Math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 |
미소장 |
114 |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
미소장 |
115 |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in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
미소장 |
116 | Mathematical Problem-Solving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
미소장 |
117 | The effect of cognitive strategy training on verbal math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f learning disabled adolescents. ![]() |
미소장 |
118 | (2000). S. ve It! Strategy instruction to impr 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15, 110-116. | 미소장 |
119 | NCTM.(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Author. | 미소장 |
120 | NCTM.(1998)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disscussion draft standards 2000. [On-line Document] Available: http://www.nctm.org/standards2000/download.html. | 미소장 |
121 | (1982). The develpoment of semantic categories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Experimental Studies in Mathematics, 13, 373-394. | 미소장 |
122 | (1990). Constructivism in mathematics education. In Davis, R. B., Maher C. A., & Noddings, N.(Ed.), Constructivist views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7-18. Reston, NCTM. | 미소장 |
123 | Role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Belief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Path Analysis ![]() |
미소장 |
124 | Structuring Word Problems for Diagnostic Teaching: Helping Teachers Meet the Needs of Children with Mild Disabilities. ![]() |
미소장 |
125 | (1957). How to solve it(2nd ed.)Carden City, NY: Doubleday. | 미소장 |
126 | (1995).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that really improves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2nd ed.). Cambridge, MA: Brookline Books. | 미소장 |
127 | Towards an Understanding of Evidence-Based Practice ![]() |
미소장 |
128 | (1983). Development of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in arithmetic. In Ginsburg, Herbert.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153-195. | 미소장 |
129 | (1984). Helping Children Learning Mathematic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미소장 |
130 |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London: Academic Press. | 미소장 |
131 | Teaching children to use schematic drawings to solve addition and subtraction word problems. ![]() |
미소장 |
132 | Direct instruction in math word problems: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
미소장 |
133 | Are mathematics disabilities due to a domain-general or a domain-specific working memory deficit? ![]() |
미소장 |
134 |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 |
미소장 |
135 | (2000). The use of multiple representation and visualizations in student learning of introductory physics : an example for work and ener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