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0

제1장 序論 12

제1절 問題의 提起 12

제2절 硏究目的 13

제3절 硏究方法 14

제4절 先行硏究 15

1. 십간십이지의 명리적 이해 15

2. 명리학의 연원과 이론체계에 관한 연구 15

3. 사주학의 역사와 격국용신론의 변천과정 연구 16

4. 명리학의 십간해석에 관한 연구 17

5. 명리학의 자연관 연구 - 천간지지의 음양오행을 중심으로 17

6. 오행과 십간십이지 이론 성립에 관한 연구 18

제2장 命理學의 理論的 背景 20

제1절 命理學의 起源 20

제2절 陰陽五行理論 22

제3절 十干十二支 30

제4절 古法사주학과 新法사주학 34

제3장 十干十二支의 由來 37

제1절 十干十二支의 起源 37

제2절 古典에 나타난 十天干의 의미 39

제1항 『說文解字』에서 十干의 해석 40

제2항 『史記』와 『漢書』에서 십간의 해석 42

제3절 古典에 나타난 십이지지의 의미 45

제1항 『說文解字』에서 十二支의 해석 46

제2항 『史記』와 『漢書』에서 십이지의 해석 47

제3항 十二支와 동물과의 관계 50

제4장 十干十二支의 發達 52

제1절 十干十二支와 고대 중국 天文學의 영향 52

1. 東方蒼龍 七宿(동방창룡 7수) 53

2. 北方玄武 七宿(북방현무 7수) 54

3. 西方白虎 七宿(서방백호 7수) 54

4. 南方朱雀 七宿(남방주작 7수) 54

제2절 陰陽五行과 十干十二支의 關聯性 56

제1항 陰陽과의 關聯性 56

제2항 五行과의 關聯性 57

제3항 十干十二支와 陰陽五行 59

제3절 干支配合의 重要性과 의미 60

제4절 十干十二支에 대한 占星學의 영향 61

제5절 十二支地와 西洋占星學 황도궁과의 비교 67

제1항 西洋占星學에서의 황도궁의 의미 67

제2항 西洋占星學의 關聯性 68

제5장 十干十二支의 變化原理 71

제1절 천간의 변화원리 71

제1항 천간의 합 72

제2항 천간의 沖 74

제2절 지지의 변화원리 74

제1항 지지의 육합 75

제2항 지지의 三合 79

제3항 지지의 方合 81

제4항 지지의 沖 83

제5항 지지의 刑破害 85

제6장 結論 90

참고문헌 93

Abstract 97

〈표 1〉 주요 선행연구 19

〈표 2〉 오행귀속도 29

〈표 3〉 十天干의 陰陽五行배속표 32

〈표 4〉 十二地支의 음양오행 배속표 33

〈표 5〉 60갑자 納音五行배속표 33

〈표 6〉 『爾雅』와『史記』의 십간의 옛이름 39

〈표 7〉 『爾雅』와 『史記』에서 십이지에 대한 옛 이름 49

〈표 8〉 행성과 십간십이지 배속표 64

〈표 9〉 성요희기표 64

〈표 10〉 십간변요표 66

〈표 11〉 12황도와12지지 비교표 70

〈표 12〉 河圖와 天干의 數 72

〈표 13〉 지지합의 작용과 역할에 대한 비교 75

〈표 14〉 점성학의 4원소와 12궁위 80

〈표 15〉 4원소에 따른 12사인과 12지지 80

〈표 16〉 아스펙트의 종류 81

〈그림 1〉 태극분화도 23

〈그림 2〉 동양의 28宿 55

〈그림 3〉 황도 12궁도 68

〈그림 4〉 지지육합도 76

〈그림 5〉 궁과 행성의 지배관계 78

〈그림 6〉 하우스의 쿼터별 영역 83

〈그림 7〉 황도12궁과 12지지의 배치도 85

초록보기

 본 논문은 인간이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찾아낸 동양의 여러 가지 術數중의 한 분야인 四柱命理學의 근간 원리인 십간과 십이지의 유래와 의미를 개괄하면서 그 변화 원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명리 연구가 단지 숲만 보고, 그 숲을 구성하고 있는 본질적인 요소에 대해서는 보지 않았던 측면이 있다. 命理라는 숲의 근간을 이루는 十干과 十二支를 고찰하는 것을 주 연구방법으로 삼으며, 그 유래와 개념에 대하여 여러 문헌을 통하여 고찰한 다음에 명리학의 발전에 영향을 끼친 동양의 다른 철학사상 및 서양의 점성학 등의 연관관계에 대하여도 고전을 통하여 연구하여, 궁극적으로 十干十二支의 근본 원리를 규명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명리학의 십간십이지와 함께 기본 원리로 사용되는 음양오행이론은 주역에서 기원화었고, 독립적으로 발전해 오던 음양설과 오행설이 전국시대 중엽에 추연에 의해 하나의 사상체계로 완성되었다.

둘째, 십간십이지의 개념은 중국 은대에 비롯되었으나, 이를 방위나 시간에 대응시킨 것은 대체로 干支紀年法이 확립된 漢順帝가 재위하였던 서기 126년 이후에야 비로소 가능하였다.

셋째, 십간십이지의 유래에서는, 天干은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천기를 받아 오행(생물)이 생성되어 오행의 음양을 합으로 순환시킨 것을 十干이라 하고, 地氣라는 地支는 지구의 軸이 23.5도 기울어짐에 의해 생긴 것으로 天氣로 생성된 오행이 六氣 속에서 함께 살아가야하므로 육기의 음양을 沖으로 순환시킨 것을 十二支라 하고 있다. 원래 십간십이지는 천체의 흐름에 따라 날짜를 표기하기 위한 부호로서 사용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십간십이지를 하늘의 별자리 운행과 관련된 것이나 지상의 식물이나 동물에 비유한 것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라야 사람들에게 쉽게 인식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넷째, 명리학의 발달에는 28수로 대표되는 동양 고천문학 및 서양점성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서양점성학은 인도를 거쳐 당나라시대의 중국에 전파되어 오성학이 되었고, 오성학의 행성 상호간의 길흉작용과 각도의 원리는 명리학의 그것과 완전히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십간십이지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해야 합충에 의한 오행의 변화, 六神의 변화를 세밀하게 이해할 수 있다. 천간의 합충 변화는 중국의 주역적 수의 개념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십이지지의 변화 원리는 서양의 점성학에서 찾아야 한다. 서양점성학의 이론은 많은 부분에서 명리학 지지의 會合刑沖波害 변화 원리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십간십이지는 명리학이라는 건물의 기둥이자, 명리를 해석하기 위한 부호이다.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십간십이지에 부여되어 있는 부호들에 대한 특성과 의미들을 현대적인 환경에 맞게 검토하는 일이다.

현대적인 명리학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심리학, 사회학, 직업학, 사회복지학, 지리학, 천문학 등의 관련학문과의 통섭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래서 명리학의 이론체계를 더욱 합리적이며 과학적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며, 그에 대한 출발은 명리학의 근간인 천간지지의 과학적 원리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