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9

1) 연구목적 9

2) 연구방법 10

2. 작품배경 11

II. 본론 12

1. 악곡 구조 12

2. 악곡 분석 13

〈조현법〉 13

III. 결론 54

참고문헌 56

Abstract 57

참고악보 59

표목차

〈표1〉 "찬기파랑가" 전체 악곡 구조 12

악보목차

〈악보 1〉 "찬기파랑가"의 25현 독주가야금 조현법 13

〈악보 2〉 가 (제 1마디) 14

〈악보 3〉 나-1 (제 1마디, 제 7마디 - 제 10마디) 16

〈악보 4〉 나-1 (제 11마디 - 제 14마디) 17

〈악보 5〉 나-1 (제 1마디, 제 15마디 - 제 16마디) 18

〈악보 6〉 나-2 (제 21마디 - 제 22마디) 19

〈악보 7〉 나-2 (제 27마디 - 제 30마디) 19

〈악보 8〉 나-3 (제 7마디, 제 33마디 - 제 37마디) 20

〈악보 9〉 나-3 (제 42마디 - 제 43마디) 21

〈악보 10〉 나-4 (제 1마디, 제 44마디 - 제 47마디) 22

〈악보 11〉 나-4 (제 33마디, 제 48마디 - 제 51마디) 23

〈악보 12〉 다-1 (제 1마디, 제 52마디 - 제 59마디) 25

〈악보 13〉 다-1 (제 7마디, 제 60마디 - 제 74마디) 26

〈악보 14〉 다-2 (제 75 - 제 82마디) 28

〈악보 15〉 다-2 (제 83마디 - 제 96마디) 28

〈악보 16〉 다-2 (제 1마디, 제 105마디 - 제 114마디) 30

〈악보 17〉 다-3 (제 115마디 - 제 124마디) 31

〈악보 18〉 다-3 (제 125 - 제 130마디) 32

〈악보 19〉 다-3 (제 143마디 - 제 145마디) 32

〈악보 20〉 라-1 (제 1마디, 제 146마디) 34

〈악보 21〉 라-2 (제 147마디) 36

〈악보 22〉 라-3 (제 148마디) 37

〈악보 23〉 라-4 (제 149마디) 38

〈악보 24〉 라-5 (제 1마디, 제 150마디) 40

〈악보 25〉 마-1 (제 1마디, 제 169 - 제 178마디) 42

〈악보 26〉 마-1 (제 179 - 제 194마디) 43

〈악보 27〉 마-1 (제 195 - 제 204마디) 44

〈악보 28〉 마-2 (제 205마디 - 제 222마디) 45

〈악보 29〉 마-2 (제 225마디 - 제 234마디) 46

〈악보 30〉 마-2 (제 239마디 - 제 246마디) 47

〈악보 31〉 마-2 (제 253마디 - 제 260마디) 47

〈악보 32〉 마-3 (제 277마디 - 제 297마디) 48

〈악보 33〉 마-4 (제 301마디 - 제 312마디) 49

〈악보 34〉 마-4 (제 333마디 - 제 344마디) 50

〈악보 35〉 마-4 (제 345 - 제 354마디) 51

초록보기

본 논문은 2005년 12월 7일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제3회 정기연주에서 초연된 "25현가야금 협주곡 〈찬기파랑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찬기파랑가〉를 분석한 결과,

이 곡은 총 354마디이며, 악곡구성을 보면, 조성, 박자, 빠르기, 선율, 리듬 등의 변화로 인하여 가-나-다-라-마의 다섯 개 부분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조성은 내림가단조(A♭ minor)로 곡의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게 진행되며, 이에 따라 조현법도 내림가단조(A♭ minor)의 25현가야금 조현법으로 고정된다.

둘째, 박자의 변화는 무박(정해지지 않은 박자)의 가 부분(도입부)에 이어서 나 부분의 12/8박자, 그리고 4/4의 다 부분과 다시 무박의 라 부분인 카덴자(Cadenza)로 이어지고 마지막 마 부분은 2/4박자로 마친다.

빠르기의 진행은 자유로운 빠르기(Tempo-rubato)의 가 부분(도입부)에 이어서, 나 부분의 ♩.=ca68로 이어지고, 다 부분에서♩=ca110-120으로 빨라진다. 이후 Tempo rubato(신비스럽고 조금 느리게)로 진행되는 라 부분인 카덴자(Cadenza)에 이어서 마지막 부분인 마 부분(휘모리)으로 마치게 된다. 자유로운 무박에서 중중모리, 자진모리, 자유로운 박, 휘모리의 형태로 진행되며, 비교적 전통적인 만(慢), 중(中), 삭(數)의 한배 형식을 따르고 있다.

셋째, 선율의 진행은 도입부인 한 마디의 선율을 가지고 리듬, 빠르기, 음의 길이, 음의 위치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선율을 만들어 내며, 비교적 넓은 음역대를 사용하였다.

넷째, 리듬형은 '♩♪' 또는 '♪♩'의 리듬형과 '♬' 또는 '♬'의 붓점 리듬형, 그리고 '♬♬'와 '♬♬' 또는 '♬♬♬' 등의 리듬형이 다양한 형태로 쓰였다.

정동희 작곡 "25현가야금 협주곡 〈찬기파랑가〉"는 하나의 주제 선율을 소재로 리듬, 빠르기, 음의 길이, 음의 위치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선율을 만들어 내었는데, 각 부분마다 주제 요소의 다양한 변형 선율이 가야금 주법에 맞게 녹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