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목적 9
2. 연구배경 12
3. 연구방법 25
II. 목회자 아내와 전인적 안녕 29
1. 목회자 아내의 정체성 29
1)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목회자 아내 29
2) 여성으로서의 목회자 아내 34
3) 아내로서의 목회자 아내 40
2. 전인적 안녕에 대한 접근방법 44
1) 일반적 차원의 전인적 안녕 44
2) 신학적 차원의 전인적 안녕 51
3) 목회상담적 차원의 전인적 안녕 57
3. 목회자 아내의 전인적 안녕 64
1) 목회자 아내의 전인적 안녕 저해요인 64
2) 목회자 아내의 정체성 혼란 71
3) 목회자 아내의 전인적 안녕과 자기돌봄 79
III. 전인적 안녕과 글쓰기 치료 85
1. 글쓰기 치료의 원리 86
1) 글쓰기 치료의 본질 86
2) 글쓰기 치료의 기술 89
3) 글쓰기 치료의 효과 92
2. 글쓰기 치료에 대한 접근 방법 95
1) 글쓰기 치료의 발설과정 95
2) 글쓰기 치료의 수용과정 103
3) 글쓰기 치료의 통찰과정 111
3. 전인적 안녕증진과 글쓰기 치료 117
1) 자기 돌봄(self-care)으로서의 글쓰기 치료 119
2) 자기성찰(self-reflection)로서의 글쓰기 치료 125
3) 공동체적 돌봄(communal-care)으로서의 글쓰기 치료 131
IV. 목회자 아내의 전인적 안녕 증진과 글쓰기 치료모델 137
1. 글쓰기 치료의 발설-구조적 유형 138
1) 감정적 선택경험 139
2) 구조적 글쓰기 방법 143
3) 구조적 글쓰기 기대효과 153
2. 글쓰기 치료의 수용-탈구조적 접근 157
1) 이성적 선택경험 157
2) 탈구조적 글쓰기 방법 161
3) 탈구조적 글쓰기의 기대효과 171
3. 글쓰기 치료의 통찰-재구조적 유형 174
1) 공동체적 선택경험 174
2) 재구조적 글쓰기 방법 183
3) 재구조적 글쓰기의 기대효과 203
V. 결론 207
참고자료 212
Abstract 249
〈그림 1〉 Myers와 동료들의 전인적 안녕의 수레바퀴 모델 48
〈그림 2〉 Myers와 동료들의 전인적 안녕의 수레바퀴 수정 모델 49
〈그림 3〉 Purdy와 Dupey의 영적 안녕을 위한 전인적 흐름 모델 50
〈그림 4〉 Dale의 영적 건강 모델 58
〈그림 5〉 Harbaugh의 전인적 안녕 모델 59
〈그림 6〉 Clinebell의 전인적 안녕 모델 62
〈그림 7〉 글쓰기 통찰과정 178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a therapy model of writing for enhancing well-being in a pastor's wife. Briefly, well-being signifies the good life. Much of the discussion of well-being aims to explain what kind of life is good for the people whose life it is. However, my purpose here is to consider a healing model of well-being in pastor's wife. Then, the concept of well-being is a hybrid. It is an attempt to find a concept which is half one and half the other. In other words, it contains a good life and happiness in a life of pastor's wife.
There are the principles that demand special attention of writing. First, it is for a pastor's wife to be completely honest and open with herself. When she describes the details of a trauma to someone she doesn't know or trust, she often holds back. If she can't tell her story honestly and completely, she doesn't get the full benefit of expressive writing.
Second, it is the ability to feel and label both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feelings that took place during and after the trauma. An emotional, reasonable, and communal experiences are essential parts of a trauma. So, one gold of writing is to begin to put things back together again. One way to accomplish this is to work to make a meaningful story of what happened and how it is affecting her.
Third, it is to switch perspectives and to find a voice of pastor's wif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 trauma initially see and understand it from only one perspective to their own. Indeed, when a pastor's wife begins to write about a trauma, she first describes what she saw, felt, and experienced. But it is the fact that an expressive writing has to begin to view the events of their trauma through other's eyes. And that we cannot be too careful of writing is that she must express herself openly and honestly. If she wants to benefit from writing the most, she has to be able to find a voice that reflects who they are.
This paper has made three changes in a framework toward insight in order to create writing healing model for deliberately connecting theological reflection of a pastor's wife on life to her christian heritage. First, it is an expressive-framing stage. Namely, it is an expressive writing in the emotional domain included feeling such as Free Association Method, Captured Moments Method, Morita Therapy, and Emotional Catharsis Method. The purpose of writing about feelings expression is to experience an emotional catharsis through these writing method.
Second, it is an admissive-deframing stage. It is an consolidate writing in racing thoughts such as Viewpoint Changing Writing Method, one Hundred Kinds List Writing Method, and Today's Issue Writ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arrange what to determine on what to reflect in an event selected for reflection from one of the sources.
Third, it is a reflectional-reframing stage. It is a communal writing in incorporating a pastor's wife religious and social heritage into her reflection deliberately by structuring a correlation with writing group such as Narrative Description Method, Character Sketch Method, and Dialogue Journal Method. To reframing means to change the emotional or reasonable or communal setting or viewpoint in relation to which a situation is experienced and to place it in another frame which fits the fact of the same concrete situation equally well or even better, and thereby changes its entire meaning.
Finally, with these three alterations writing therapy model through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 provides the basis for a framework in order to enhancing well-being of a pastor's wife.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주체는 죽었는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4. | 미소장 |
2 | 국어교육위원 회 . 「글쓰기와 삶」. 서울: 연세대학교출판 부 , 1993. | 미소장 |
3 | 「규방가사연구」. 서울: 이우출판사, 1980. | 미소장 |
4 | 「글쓰는 그리스도인」. 서울: 성경유니온선교회, 2009. | 미소장 |
5 | 「이야기치료와 상담」. 서울: 솔로몬, 2007. | 미소장 |
6 | “한국교회와 여성인권: 남녀평등의 실제적 구현을 위해.” 「교회와 여성의 리더십」. 침례교신학연구소 편, 213-43.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6. | 미소장 |
7 | “한국 침례교회와 여성리더십: 여성목사 안수 문제를 중심으로.” 「교회와 여성의 리더십」. 침례교신학연구소 편, 283-328. 대전: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2006. | 미소장 |
8 |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2002. | 미소장 |
9 | 니체, 생명과 치유의 철학 ![]() |
미소장 |
10 | 「교육현상학의 기초」. 서울: 태학사, 1997. | 미소장 |
11 | “초대교회의 역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역할.” 「교회와 여성의 리더십」. 침례교신학연구소 편, 75-112.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6. | 미소장 |
12 | 「여자의 모든 인생은 20대에 결정된다」. 서울: 랜덤하우스, 2006. | 미소장 |
13 | 「신세대 사모학」. 서울: 쿰란출판사, 2004. | 미소장 |
14 | 「현대 목회를 위한 사모학」. 서울: 광림, 1991. | 미소장 |
15 | 「치유하는 글쓰기」. 서울: 한겨레출판사, 2009. | 미소장 |
16 | “셀 그룹과 치유사역.” 「치유목회의 기초」. 침례교신학연구소 편, 231-54.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0. | 미소장 |
17 | 「통전적 치유 목회학」. 서울: 도서출판 치유, 1994. | 미소장 |
18 | 「여성신학의 이해」.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89. | 미소장 |
19 | 「그리스도인의 자기평가: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서」. 서울: IVP, 1994. | 미소장 |
20 | “목회상담의 역사,” 「목회상담 이론입문」. 안석모 외 7인. 서울: 학지사,2009. | 미소장 |
21 | “한국교회 여성사역자의 역할과 그 전망.” 「교회와 여성의 리더십」. 침례교신학연구소 편, 329-61.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6. | 미소장 |
22 | 「영성과 목회」. 서울: 장로회신학대학출판부, 1989. | 미소장 |
23 | “창조기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구약성경의 여성관.” 「교회와 여성의 리더십」. 침례신학연구소 편, 13-42.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6. | 미소장 |
24 | 「현대목회상담학 개론」. 대전: 침례신학대학출판부, 2005. | 미소장 |
25 | “그리스도인의 정신건강.” 「대학생을 위한 영성, 인성, 지성」. 허 긴 편, 102-19.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 미소장 |
26 | 「사모가 선 자리는 아름답다」. 서울: 신망애출판사, 1995. | 미소장 |
27 | 실천문학 ![]() |
미소장 |
28 | “독서치료 심리기법.” 「심성계발을 위한 독서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심성교육개발원, 2003. | 미소장 |
29 | 「삶을 가꾸는 글쓰기」. 서울: 보리, 2010. | 미소장 |
30 | 「신학적 인간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 미소장 |
31 |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1989. | 미소장 |
32 | “신약의 여성관.” 「교회와 여성의 리더십」. 침례교신학연구소 편, 43-74.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6. | 미소장 |
33 | 「기독교 상담학자」. 서울: 쿰란출판사, 2008. | 미소장 |
34 | 「사모의 정체성을 회복하라」. 서울: 쿰란출판사, 2005. | 미소장 |
35 | 「기독교 영성의 역사」. 서울: 은성, 1997. | 미소장 |
36 | 「사람·삶·되살림」. 서울: 한울, 1994. | 미소장 |
37 | 「글쓰기 치료」.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2010. | 미소장 |
38 | 「여성 목회론」.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6. | 미소장 |
39 | 「깊은 영성으로 나아가는 길」.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9. | 미소장 |
40 | 「최승희 자서전」. 서울: 이문당, 1937. | 미소장 |
41 | 「인본주의 심리학」. 서울: 법문사, 1992. | 미소장 |
42 | 한국출판마케팅 연구소. 「글쓰기의 힘: 디지털 시대의 생존전략」. 서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5. | 미소장 |
43 | 「21세기 영성신학」.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5. | 미소장 |
44 | Mighty Stories, Dangerous Rituals: Wearing Together the Human and the Divine. Sanfrancisco: Jossey-Bass, 1988. | 미소장 |
45 |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창우 외 2인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7. | 미소장 |
46 | Literacy for Life: The Demand for Reading and Writing. New York: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1983. | 미소장 |
47 | One to One: Self Understanding through Journal Writing. New York: M. Evans & Co., 1977. | 미소장 |
48 | 「그리스도인의 인격개발」. 이순근 역. 서울: 엠마오, 1987. | 미소장 |
49 | 「신경언어프로그래밍: NLP」. 우재현 역. 대구: 정암서원, 2009. | 미소장 |
50 | “An Examination of the Ordination of Women to the Priesthood in Terms of the Symbolism of the Eucharist." Women in Orders, ed. Robert J. Heyer, 213-40. New York: Paulist Press, 1974. | 미소장 |
51 | Church Dogmatics III-2: The Doctrine of Creation. Trans. J. W. Edwards, et al., Eds. G. W. Bromiley and T. F. Torrance. Edinburgh: T. and T. Clark, 1958. | 미소장 |
52 | Women´s Way of Knowing: The Development of Self, Voice and Mind. New York: Basic Books, 1986. | 미소장 |
53 | The Bonds of Love. New York: Pantheon Books, 1988. | 미소장 |
54 | Tales of Solution: A Collection of Hope-inspiring Storie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2001. | 미소장 |
55 | 「해결중심상담」. 유재성, 장은진 역. 서울: 학지사, 2009. | 미소장 |
56 | Missing Persons and Mistaken Identities: Women and Gender in Ancient Israel.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7. | 미소장 |
57 |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사고해야 하는가?」. 황영철 역. 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1993. | 미소장 |
58 | 「인식의 해석학」. 백승균 역. 서울: 서광사, 1993. | 미소장 |
59 | Life Together and Prayerbook of the Bible, Dietrich Bonhoeffer Works, ed. Geffrey B. Kelly, no. 5. San Francisco: Harper and Row, 1954. | 미소장 |
60 | 「창조, 타락, 유혹」. 문희석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1. | 미소장 |
61 | The Incredible Woman: Listening to Woman's Silence i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Nashville: Abingdon Press, 1996. | 미소장 |
62 | "Womanist Care: Some Reflections on the Pastoral Care and Transformation of African American Women," Embracing the Spirit: Womanist Perspectives on Hope, Salvation, and Transformation, ed. Emilie M. Towns New York: Orbis, 1997. | 미소장 |
63 | The Writing Cure: Psychoanalysis, Composition, and the Aims of Education.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99. | 미소장 |
64 | 「나를 존중하는 삶: 삶의 활력, 자기존중감」. 강승규 역. 서울: 학지사, 1994. | 미소장 |
65 | Journey by Heart: A Christology of Erotic Power. New York: Crossroad, 1995. | 미소장 |
66 | 「교차로에서의 만남; 여성심리와 여아 발달」. 김아영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7. | 미소장 |
67 | "Studies on Hysteria,"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ed. and trans. J. Strachey. New York: W. W. Norton, 2000. | 미소장 |
68 | 「누구나 글을 잘 쓸 수 있다」. 송영조 역. 서울: 예닮, 2004. | 미소장 |
69 | Pastoral Care in the Church, 3rd ed. New York: Harper Collins, 1992. | 미소장 |
70 | The Moral Context of Pastoral Care.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6. | 미소장 |
71 | Genesis: A Bible Commentary for Teaching and Preaching. Atlanta: John Knox, 1982. | 미소장 |
72 | Kujua: A Spirituality of the Hidden Way. Baltimore Md: Akosua Visions, 1993. | 미소장 |
73 | 「신약성경신학」. 허 혁 역. 서울: 성광문화사, 1991. | 미소장 |
74 | The Power of Your Other Hand. North Hollywood: Newcastle Publishing, 1988. | 미소장 |
75 | Life Cycle Theory and Pastoral Car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3. | 미소장 |
76 | Agents of Hope: A Pastoral Psych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5. | 미소장 |
77 | Reframing: A New Method in Pastoral Care.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8. | 미소장 |
78 | Living Stories: Pastoral Counseling in Congregational Context.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8. | 미소장 |
79 | Helping and Human Relations, vol. 2.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69. | 미소장 |
80 | Unclaimed Experience Trauma, Narrative and History.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 미소장 |
81 | 「영성신학」. 김병오 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2. | 미소장 |
82 | What can She Know? Feminist Theory and Construction of Knowledg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 미소장 |
83 | Feminism and Psychoanalytic Theory. New Heaven: Yale University Press, 1989. | 미소장 |
84 | Saving Work: Feminist Practices of Theological Education. Kentuc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5. | 미소장 |
85 | "The Narrative Quality of Experience" Why Narrative?, eds., Stanley Hauerwas and L. Gregory Johns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1989. | 미소장 |
86 | Coming to Writing and Other Essays. Cambri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 미소장 |
87 | Pastoral Care in Historical Perspectives. New York: Jason Aronson, 1975. | 미소장 |
88 | 「목회상담신론」. 박근원 역. 서울: 서울장로교출판사, 1987. | 미소장 |
89 | Work-related treatment for youth. ![]() |
미소장 |
90 | 「현대 성장상담요법」. 이종헌 역. 서울: 한국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1990. | 미소장 |
91 | 「전인건강」. 이종헌, 오성춘 역. 서울: 성장상담연구소, 2000. | 미소장 |
92 | Narrative Intentions, M. Hoyt Constructive Therapist. New York: Guilford, 1996. | 미소장 |
93 | 「신약성경신학」. 김철손 외 2인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1987. | 미소장 |
94 |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김명권외 4인역,서울: 시그마프레스, 2001. | 미소장 |
95 | Connecting. Nashville: Word, 1997. | 미소장 |
96 | The Safest Place on Earth. Nashville: Word, 1999 | 미소장 |
97 | 「인간이해와 상담」. 윤종석 역. 서울: 두란노, 1993. | 미소장 |
98 | The Safest Place on Earth. Nashville: Word, 1999. | 미소장 |
99 | 「이성의 수사학」. 오형엽 역. 서울: 고려대학교출판사, 1996. | 미소장 |
100 | "The Minister of Youth: Developing a System of Support." The Work of the Minister of Youth. comp. 142-78. Bob R. Taylor, Nashville: Convention Press, 1982. | 미소장 |
101 | Pastoral Leadership: A Handbook of Resources for Effective Congregational Leadership. Nashville: Abingdon Press, 1989. | 미소장 |
102 | "The Vision Face of Expression of Language: A Metalingual Excursion," David B. Yaden, & Shane Templeton (eds.),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Beginning Literacy: Conceptualizing What it Means to Read and Write 231-52. New Hampshire: Heinemann,1986. | 미소장 |
103 | 「해결을 위한 면접」. 허남순, 노혜련 역. 서울:학문사, 1998. | 미소장 |
104 | Signature Event Context in Margins of Philosophy.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 미소장 |
105 | 「글쓰기와 차이」. 남수인 역. 서울: 동문선, 1967. | 미소장 |
106 | 「단기상담」. 윤종신 역. 서울: 두란노, 1997. | 미소장 |
107 | Minister's Wives, New York: Harper, 1965. | 미소장 |
108 | 「샬롬」. 손규태, 김윤옥 역.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89. | 미소장 |
109 | 「행복한 이기주의자」. 오현정 역. 서울: 해피니언, 2006. | 미소장 |
110 |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London: SCM Press, 1967. | 미소장 |
111 | Every Minister Needs a Lover.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90. | 미소장 |
112 | Childhood & Society. New York: Norton and Company Inc.,1963. | 미소장 |
113 | “에릭슨과의 대화 1: 생애 발달의 8단계에 관하여.” 「에릭슨, 스키너,로저스의 노년기의 의미와 즐거움」. 한성열 편 역. 156-89. 서울: 학지사,2000. | 미소장 |
114 | Compassion Fatigue: The Stress of Caring too Much.Panama City: Visionary Production, 1994. | 미소장 |
115 | Philosophy in France ![]() |
미소장 |
116 | 「영적진단을 위한 지침」. 유영권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1993. | 미소장 |
117 | 「글쓰기의 문제 해결 전략」. 원진숙, 황정현 역. 서울: 동문선,1998. | 미소장 |
118 | 「영적훈련과 성장」.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5. | 미소장 |
119 | 「원복: 창조, 영성, 길라잡이」. 황종렬 역. 경북: 분도출판사,2001. | 미소장 |
120 | Creativity: Where the Divine and Human Meet. New York:Putnam Inc, 2002. | 미소장 |
121 | 「정신분석 강의」. 임홍빈, 홍혜경 역. 서울: 열린 책들, 1997. | 미소장 |
122 | Media, Gender and Identity: An Introduction. New York:Routledge, 2002. | 미소장 |
123 | Crisis Experience in Modern Life: Theory and Theology for Pastoral Care. Nashville: Abingdon Press, 1979. | 미소장 |
124 | Living Human Document: Re-Visioning Pastoral Counseling in a Hermeneutical Mode. Nashville: Abingdon Press, 1984. | 미소장 |
125 | An Introduction to Pastoral Care. Nashville: Abingdon Press,1997. | 미소장 |
126 |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권기돈 역. 서울: 새물결, 1997. | 미소장 |
127 | 「모성의 재생산」. 김민예숙, 강민순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2008. | 미소장 |
128 | 「자연적 영성」. 유상훈 역. 서울: 도서출판 NCD, 2002. | 미소장 |
129 | Reality Therapy: A New Approach to Psychiatry. New York: Harper & Row, 1990. | 미소장 |
130 | Writing down the Bones. Boston: Shambala, 1986. | 미소장 |
131 | Journalution. California: New World Library, 2005. | 미소장 |
132 | Created Communutity. Grand Rapids: Baker Books, 1988. | 미소장 |
133 | Theology for the Community of God. Grand Rapids: Eerdmans,2000. | 미소장 |
134 | Feminism and the Self: The Web of Identity.London: Routledge, 1995. | 미소장 |
135 | 「심리학과 영성」. 김동철 역. 서울: 성바오로, 1999. | 미소장 |
136 | Pastor as Person: Maintaining Personal Integrity in the Choices and Changes of Ministry. Minneapolis: Augsburg Publishing House, 1984. | 미소장 |
137 | I'm Ok You're Ok: A Practical Guide to Transactional Analysis. New York: Harper & Row, 1969. | 미소장 |
138 | 「목회자 가정, 그들만의 스트레스」. 김재덕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4. | 미소장 |
139 | The Peaceable Kingdom: A Primer in Christian Ethics. Notre Dame: Notre Dame Press, 1983. | 미소장 |
140 | Suffering Presence: Theological Reflections on Medicine; The Mentaly Handicapped and the Church. Notra Dam: Notra Dam Press, 1986. | 미소장 |
141 | Christian Existence Today: Essays on the Church, World and Living in the Between. Labyrinth Press, 1988. | 미소장 |
142 | God-Medicine-and Suffering.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 1990. | 미소장 |
143 | Unleashing the Scripure: Freeing the Bible from Captivity to America. Nashville: Abingdon Press, 1993. | 미소장 |
144 | Being and Time. trans, John Macquarrie and Edward Robinson (New York: Harper, 1962. | 미소장 |
145 | Trauma and Recovery: The Aftermath of Violence-from Domestic Violence to Political Terror. New York: Basic Books, 1992. | 미소장 |
146 | 「사람은 혼자가 아니다」. 이현주 역. 서울: 종로서적, 1996. | 미소장 |
147 | God in Search of Man. New York: Octagon Books, 1955. | 미소장 |
148 | Six Dimensions of Wellness. Madison: National Wellness Institute, 1979. | 미소장 |
149 | 「자아와 사회」. 윤인진 외 2인 역. 서울: 학지사, 2001. | 미소장 |
150 | Pastoral Counseling. Nashville: Abingdon Cokebury Press,1949. | 미소장 |
151 | Preface to Pastoral Theology. Nashville: Abingdon Press, 1954. | 미소장 |
152 | 「기독교 영성목회」. 엄성옥 역. 서울: 도서출판 은성, 2000. | 미소장 |
153 | 「목회 영성」. 김외식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8. | 미소장 |
154 | 「여성 이해와 상담」. 「현대 기독교 상담시리즈」. 김연 역. 서울:두란노, 1997. | 미소장 |
155 | 「페미니즘 이론사전」. 심정순, 염경숙 역. 서울: 삼신각, 1995. | 미소장 |
156 | 「신학과 목회상담」. 이재훈, 신현복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 미소장 |
157 | ed. Dictiona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Nashville: Abingdon Press, 1990. | 미소장 |
158 | New Concepts of Healing: Medical, Psychological, and Religious. New York: Association Press, 1956. | 미소장 |
159 | 「집단상담: 전략과 기술」. 제4판, 김춘경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3. | 미소장 |
160 | 「창조의 행위성」. 신진욱 역.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2. | 미소장 |
161 | 「이스라엘 역사」. 박문재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6. | 미소장 |
162 | 「목회영성」. 백상열 역. 서울: 도서출판 진흥. 1995. | 미소장 |
163 | The Transparent Self. Princeton: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971. | 미소장 |
164 | 「인격과 전이」. 「융 기본 저작집」. 3권,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서울:솔, 2007. | 미소장 |
165 |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서울: 솔, 2003. | 미소장 |
166 | Psychological Types. trans. H. G. Bayn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 미소장 |
167 | 「현대의 신화/아이덴티티」. 이부영, 조대경 역. 서울: 삼성출판사,1993. | 미소장 |
168 |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 Company,1993. | 미소장 |
169 | 「신학방법론」. 기독교통합학문연구소 역. 서울: 한들 1999. | 미소장 |
170 | Paul, Women & Wives: Marrage and Women's Ministry in the Letters of Paul. Peabody: Hendrickson Publishers, 1992. | 미소장 |
171 | "Seeking and Sucking." Horizons in Feminist Theology: Identity, Tradition, and Norms, eds. Rebecca S. Chopp and Sheila G. Davaney.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7. | 미소장 |
172 | 「치유와 기독교」. 배상길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3. | 미소장 |
173 | Narrative and the Self.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 미소장 |
174 | 「종말의식과 인간적 시간」. 조초희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1993. | 미소장 |
175 | The Art of Theological Reflection. Crossroad: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1998. | 미소장 |
176 | "Gain Without Pain? Expressive Writing and Self-Regulation," Stephen J. Lepore & Joshua M. Smyth, The Writing Cure.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 미소장 |
177 | 「나의 증인들이」. 신교선 역. 서울: 성경과 함께, 1996. | 미소장 |
178 | 「해결중심목회상담」. 유재성 역. 서울: 요단출판사, 2004. | 미소장 |
179 | Psychological and Health Effects of Expression on Traumatic Experience through Dance and Writing: An Exploratory Study. Dallas: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Press, 1996. | 미소장 |
180 | When Bad Things Happen to Good People. New York:Harper Collins Publishing, 1983. | 미소장 |
181 | 「아이들이 하나님에 관하여 물을 때」. 노은석, 정승태 역. 대전: 이화,2010. | 미소장 |
182 | 「감정 다스리기를 위한 글쓰기」. 김현희, 이영식 역. 서울: 학지사,2008. | 미소장 |
183 | Ecrits: A Selection. trans. Alan Sheridan. New York: W. W.Norton, 1977. | 미소장 |
184 | Life in a Glass House.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9. | 미소장 |
185 | 「영성과 목회」. 최승기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 미소장 |
186 | Poetry Therapy. Philadelphia: Lippincott, 1969. | 미소장 |
187 | eds.. How Expressive Writing Promotes Health and Emotional Well-be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2002. | 미소장 |
188 | 「바다의 선물」. 조찬빈 역. 서울: 문장출판사, 1983. | 미소장 |
189 | 「의학과 치유」. 정득실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 미소장 |
190 | Heart to Heart with Paster's Wives. California: A Division of Gospel Light Publication, 1994. | 미소장 |
191 | What´s Happening to Clergy Marriage?. Nashiville:Abingdon Press, 1980. | 미소장 |
192 | 「울타리와 공간」. 이재훈 역. 서울:한국심리치료연구소. | 미소장 |
193 | 「체험연구」. 신경림, 안규남 역. 서울: 동녘, 1994. | 미소장 |
194 | 「존재의 심리학」. 이혜성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1982. | 미소장 |
195 | 「성경 그리고 현대가정」. 이석철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1. | 미소장 |
196 | Genesis 1-4:26, The New American Commentary, vol. 1A.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 미소장 |
197 | On Caring. New York: Harper & Row, 1971. | 미소장 |
198 | 「덕의 상실」. 이진우 역. 서울: 문예출판사, 1997. | 미소장 |
199 | 「복음주의와 기독교적 지성」. 김선일 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1. | 미소장 |
200 | eds. 「영혼 돌봄의 상담학: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을 위한 탐구」. 전요섭 외 10명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 미소장 |
201 | Clergy Families: Is Normal Life Possible?.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1. | 미소장 |
202 | 「창조 안에 계신 하느님」. 김균진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1994. | 미소장 |
203 | Morita Therapy and the True Nature of Anxiety-based Disorder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8. | 미소장 |
204 | 「상담심리학」. 양승달 역. 부산: 성암사, 1976. | 미소장 |
205 | Why Christian Crack Up. Chicago: Moody Press, 1980. | 미소장 |
206 | 「그리스도와 문화」. 김재준 역. 서울: 기독교서회, 2000. | 미소장 |
207 | 「이 사람을 보라」. 백승영 역. 서울: 책세상, 2002. | 미소장 |
208 |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김정현 역. 서울: 책세상, 2002. | 미소장 |
209 | 「아침놀」. 박찬국 역. 서울: 책세상, 2004. | 미소장 |
210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II」. 김미기 역. 서울: 책세상, 2002. | 미소장 |
211 |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정동호 역. 서울: 책세상, 2000. | 미소장 |
212 | 「데리다」. 이종인 역. 서울: 시공사, 1999. | 미소장 |
213 | 「영성에의 길」. 김명희 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1988. | 미소장 |
214 | 「상처입은 치유자」. 최원준 역. 서울; 두란노, 1999. | 미소장 |
215 | Protestant Pastoral Counseling.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2. | 미소장 |
216 | The Christian Pastor.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82. | 미소장 |
217 | “The Power of Spiritual Language in Self-understang.” Spiritual Dimensions of Pastoral Care, Eds. Gerald L. Borchert & Andrew D. Lester, 56-71.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85. | 미소장 |
218 | Classical Pastoral Care: Ministry Through Word & Sacrament. vol. 2. New York: Baker Books, 1987. | 미소장 |
219 | Pastoral Theology: Essentials of Ministry.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1983. | 미소장 |
220 | Taproots: Principles of Milton Erickson's Therapy and Hyponosis. New York: Norton, 1987. | 미소장 |
221 | Clergy Self-Care: Finding a Balance for Effective Ministry. Washington D. C: The Alban Institute, 1998. | 미소장 |
222 | Anthropology in Theological Perspective. Philadelphia: Westminster, 1984. | 미소장 |
223 |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Foundation for an Eclectic Psychotherapy. Pacific Crove: Thomson Brooks/Cole, 1985. | 미소장 |
224 | Pastoral Counseling: A Ministry of the Church. Nashiville: Abingdon Press, 1983. | 미소장 |
225 | "Personal Story, Symbol, amd Myth in Pastoral Care," Encyclopedia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ed. Rodney J. Hunter Nashiville: Abingdon, 1990. | 미소장 |
226 | Pastoral Care in Context: An Introduction to Pastoral Care. Louisvill: Westminster Knox Press, 1993. | 미소장 |
227 | 「목회적 돌봄과 상황」. 장성식 역. 서울: 은성, 2000. | 미소장 |
228 | Transforming the Rough Places: The Ministry of Supervision. Franklin: Providence House Publishers, 2001. | 미소장 |
229 | At a Journal Workshop. New York: Dialogue House Library, 1975. | 미소장 |
230 | The Minister as Diagnostician: Personal Problems in Pastoral Perspective.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76. | 미소장 |
231 | 「창세기」. 「국제성경주석」 1권. 한국신학연구소번역실 역. 서 울: 한국신학연구소, 1996. | 미소장 |
232 | 「신약신학」. 신성종, 이한수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3. | 미소장 |
233 | Pedagogies for Personal Change in the 'Self-Help' Literature: Helping Oneself. New York: Routledge Falmer, 2003. | 미소장 |
234 | 「해석학과 인문사회과학」. 윤철호 역. 서울: 서광사, 1981. | 미소장 |
235 | Oneself as Another. Trans. Kathleen Blamey. Chicago: The University Press, 1992. | 미소장 |
236 | 「창조적인 삶을 위한 명상의 언어일기」. 장호정 역. 서울: 고려미디어, 1991. | 미소장 |
237 | 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s View of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61. | 미소장 |
238 | 「내 삶의 글쓰기」. 홍선영 역. 서울: 한스미디어, 2008. | 미소장 |
239 | 「성차별과 신학」. 안상님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1985. | 미소장 |
240 | Writing as a Way of Healing: How Telling Our Stories Transforms Our Lives. Boston: Beacon, 2000. | 미소장 |
241 | Spirit Body Healing: Using Your Mind's Eye to Unlock the Medicine Withi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orporated, 2001. | 미소장 |
242 | 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 미소장 |
243 | Body, Soul and Wholeness. New York: Paulist Press, 1977. | 미소장 |
244 | 「만남, 대화 그리고 치유」. 김중원 역 서울: 하나의학사, 1994. | 미소장 |
245 | 「기독교 영성과 지성 사이의 대화」. 정혜숙 역. 서울: 솔로몬, 1994. | 미소장 |
246 | 「탈근대적 자아를 넘어서」. 문정복, 김영필 역. 서울: 울산대학교출판부, 1999. | 미소장 |
247 | 「초현실주의」. 최정아 역. 서울: 동문선, 2005. | 미소장 |
248 | 「가정사역」. 정동섭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3. | 미소장 |
249 | 「하나님을 만나는 글쓰기」. 장택수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7. | 미소장 |
250 | "Doing Ministrial Theology." D. Tracy, ed., Toward Vatican III.New York: Seabury, 1978. | 미소장 |
251 | Passage: Predictable Crises of Adults.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972. | 미소장 |
252 | Education is Politics: Paulo Freire: A Critical Encounter. ed.Peter Leonard. London: Routledge, 1993. | 미소장 |
253 | ed. Caring from the Heart. New York: Paulist Press, 1997. | 미소장 |
254 |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 유성경 외 2인 역. 서울: 학지사, 2003. | 미소장 |
255 | 「환상과 복종」. 오청자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0. | 미소장 |
256 | 「현대신학의 패러다임」 서광선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0. | 미소장 |
257 | 「소설형식의 기본 유형」. 안삼환 역. 서울: 탐구당, 1982. | 미소장 |
258 | How to Think Theologically. Minneapolis: Fortress, Press,1996. | 미소장 |
259 | Theological Context for Pastoral Caregiving. New York: The Haworth Press, 1996. | 미소장 |
260 | 「참으로 해방된 교회」. 권영석 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5. | 미소장 |
261 | The Eternal Covenant: Schliermacher's Experiment in Cultural Theology. New York: Harper & Row, 1967. | 미소장 |
262 | Pastoral Care Emergencies: Ministering to People in Crisis. New York: Paulist, 1989. | 미소장 |
263 | 「영성과 목회」. 백상열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 미소장 |
264 | Systematic Theology I.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1. | 미소장 |
265 | Clinical Education for the Pastoral Ministry. Proceeding of the 5th National Conference on Clinical Pastoral Education, Advisory Committee on Clinical Pastoral Education, 1958. | 미소장 |
266 | "The Meaning of Health." The Meaning of Health, Ed. Perry LeFevre, Chicago: Exploration Press, 1984. | 미소장 |
267 | 「조직신학 III」. 유장환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5. | 미소장 |
268 | 「조직신학 IV」. 유장환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5. | 미소장 |
269 | 「내러티브론: 비평언어학적 서설」. 김병욱, 오연희 역. 서울: 형설출판사, 1993. | 미소장 |
270 | Philosophy in the new century ![]() |
미소장 |
271 | 「인간치유의 길」. 황찬규 역. 서울: 보이스사, 1997. | 미소장 |
272 | 「성경과 의학」. 마경일 역. 서울: 전망사, 1978. | 미소장 |
273 | Blessed Rage for Order. New York: Seabury, 1975. | 미소장 |
274 | Life Mapping. Colorado: Focus on the Family, 1994. | 미소장 |
275 | God and the Rhetoric of Sexuality.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8. | 미소장 |
276 | Genesis.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2000. | 미소장 |
277 | The Way of the Spirit. New York: Crossroad, 1994. | 미소장 |
278 |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Women and Gender.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1. | 미소장 |
279 | 「초대교회와 목회」. 박일영 역. 서울: 컨콜디아사, 1997. | 미소장 |
280 | Mind and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Eds. M. Cole, V. John Steiner, & E. Souberma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 미소장 |
281 | 「셀프카운셀링: 교사가 변하면 아이들도 변화한다」. 황임란 역. 서울: 민지사, 2002. | 미소장 |
282 | Change: Principle of Preoblem Formation and Problem Resolution. New York: Norton, 1974. | 미소장 |
283 | 「교양인이 되기 위한 즐거운 글쓰기」, 김동희 역. 서울: 들녘, 2004. | 미소장 |
284 | 「살아있는 신앙공동체」. 김일환 역. 서울: 보이스사, 1992. | 미소장 |
285 | Genesis 1-11, A Continental Commentary. Trans. John J. Scullion and S. J.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4. | 미소장 |
286 | 「사모가 사모에게」. 신영란 역. 서울: 나침반, 1991. | 미소장 |
287 | Narrative Means to Therapeutic Ends.New York: W. W. Norton & Company, 1990. | 미소장 |
288 | 「목회방법론」. 허일찬, 오성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 미소장 |
289 | 「성경과 치유」. 김태수 역. 서울: 기독교연합신문사, 2005. | 미소장 |
290 | 「영성훈련」. 엄성옥 역.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3. | 미소장 |
291 | The Minister and the Care of Souls. New York: Harper & Brothers, 1961. | 미소장 |
292 | Recalling Our Own Stories: Spiritual Renewal for Religious Caregivers.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1997. | 미소장 |
293 | 「성숙과정과 촉진적 환경」.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4. | 미소장 |
294 | 「목회학 개론」. 이기춘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4. | 미소장 |
295 | "Lecture and Conversation on Aesthetics." Psychology and Religious Belief (ed.) Cyril Barrentt.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 미소장 |
296 | 「구약성경의 인간학」. 문희석 역. 왜관: 분도출판사, 1976. | 미소장 |
297 | 「여성주의 상담의 이론과 실제」. 김민예숙, 강김문순 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4. | 미소장 |
298 | 「자기만의 방」. 이미애 역. 서울: 예문출판사, 1990. | 미소장 |
299 | Ideal of Community. ed. Penny A. Weiss and Marilyn Friedman.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1995. | 미소장 |
300 | 전인건강과 영성 상담 | 소장 |
301 | 영적 안녕과 전인건강 증진을 위한 기독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소장 |
302 | 기독인의 성화의 삶을 위한 내적 치유 도구로서의 글쓰기 치료 | 소장 |
303 | “목회자, 사모, 자녀들의 우울증.” 「실천신학논총」, 2권 (2001): 34-42. | 미소장 |
304 | “한국인을 위한 웰빙과 영성: 문화와 주관적 안녕감 연구를 중심으로.”「신학논단」, 37권 (2004): 385-412. | 미소장 |
305 | Understanding Spirituality in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Toward an Integration of Its Function and Content | 소장 |
306 |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the Korean Churches: retrospect and prospect ![]() |
미소장 |
307 | 자기노출 : 연구경향과 과제 | 소장 |
308 | 대학생에 있어서 자기노출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 소장 |
309 | 자기노출과 건강 | 소장 |
310 | “전인적 건강과 시스템 이론.” 「사회과학논집」, 10권 (1999): 55-68. | 미소장 |
311 | Yul-gok and Schwartz & Russek's views on Organismic Health | 소장 |
312 |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mptoms and Spiritual Well-being | 소장 |
313 | “스탠리 하우어워즈의 신학관(1).” 「현대신학」, 3권 (2002년): 45-52. | 미소장 |
314 | “자기노출에 관한 일 고찰.” 「충북대논문집」 24집 (1984): 125-39. | 미소장 |
315 | 니체의 건강철학 : 병과 건강, 치료의 개념을 중심으로 | 소장 |
316 | Der mensch als ein Teil der Natur | 소장 |
317 | 목회자 아내들의 심리적 안녕과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소장 |
318 | “전인건강과 복음.”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권 (2003): 145-50. | 미소장 |
319 | “베티 뉴만 체계 모델의 간호실무에의 적용.” 「김천과학대학 논문집」, 19권(1993): 5-26. | 미소장 |
320 | “치유”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실제 | 소장 |
321 |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청소년학 연구」, 15권 2호 (2008): 159-63. | 미소장 |
322 | “기독교 상담에 있어서 영성의 의미.” 「기독교상담 연구회 자료집(Ⅱ)」,(2003): 77-92. | 미소장 |
323 | 전인건강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소장 |
324 | 구속사와 창조사 | 소장 |
325 | Practice of the Elderly Educational Program for Health Improvement of the Elderly | 소장 |
326 | “사모와 자기훈련.” 「상담과 선교」, l3권 1호 (1995): 43-9. | 미소장 |
327 | “에릭슨의 사회심리발달 8단계 이론의 분석.”「신학과 현장」, 8집(1998): 187-226. | 미소장 |
328 | 현대목회상담의 당면과제 : 전인건강을 위한 윤리의 회복 ![]() |
미소장 |
329 |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Christian Spirituality | 소장 |
330 | “귀신들림에 대한 상담학적 접근,” 「신학과 현장」, 12집 (2002): 164-71. | 미소장 |
331 | Effects of the Elderly Health Promotion Behavior Program on Motivation, Health Behaviors, and Depression | 소장 |
332 | “Dewey성장이론에 나타난 심신 일원론적 체육철학.” 「경남체육연구」, 5권 2호(2000): 20-39. | 미소장 |
333 | 쓰기 치료의 국어 교육적 활용과 기대 효과 | 소장 |
334 | “여성의 관점에서 본 여성의 자아형성에 관한 연구에 대한 일고찰.” 「사회과학논업」, 23권 1호 (2004): 411-26. | 미소장 |
335 | “참된 돌봄(caring)의 재발견.” 「신학과 현장」, 10권 (2000): 9-27. | 미소장 |
336 | A Study on Stanley Hauerwas' Ethical Methodology ![]() |
미소장 |
337 | “구약신앙과 영성.” 「한국교회와 영성」, 5집 (1998): 44-86. | 미소장 |
338 | “여성의 자기내러티브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 「여성문학연구」, 8호(2002): 7-30. | 미소장 |
339 | “한국여성의 자기내러티브(1).” 「여성문학연구」 7호 (2002):323-49. | 미소장 |
340 | “한국여성의 자기내러티브(2),” 「여성문학연구」 8호 (2002): 313-34. | 미소장 |
341 | “한국여성의 자기내러티브(3),” 「여성문학연구」 9호 (2002): 310-31. | 미소장 |
342 | 기독교 영성의 관점으로 살펴보는 기독교상담의 정체성 : 방법론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 |
미소장 |
343 | Pastoral Counseling of Pastor's Wife : A Fernale - Friendly Approach ![]() |
미소장 |
344 | 목회자와 사모의 문화적 성향과 상담 | 소장 |
345 | “사모의 대처양식의 분석: 측정척도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3호 (2003): 1-12. | 미소장 |
346 | 목회자부인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스트레스원, 자기의식, 그리고 대처양식 | 소장 |
347 | 개신교 목회자부인에 대한 역할기대의 구조적 갈등 | 소장 |
348 | 개신교 목회자부인의 대처양식 : 분석과 평가 | 소장 |
349 | 교회갈등의 주요 원인과 특성 | 소장 |
350 | 교역자 부인의 歷史와 役割 | 소장 |
351 | The Issue of " ( W ) holeness " in the Formation of Christian Religious Life : with the Perspectives of Interreligious Educational Dialogues ![]() |
미소장 |
352 | 신학적 인간학 : 기독교 생명 의료 윤리의 출발점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적용 | 소장 |
353 | 인간의 자기 이해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 소장 |
354 | “Henri J. Nouwen의 저술에 나타난 목회자 정체성과 목회적 적용.” 「복음과 실천」, 35집 (2005): 13-52. | 미소장 |
355 | 교회갈등의 주요 원인과 특성 | 소장 |
356 | 목회상담자의 자기 이해에서의 인간됨 | 소장 |
357 | 니체의 몸 철학 : 오해된 몸의 복권 | 소장 |
358 | “전인치유의 총체적 모델.” 「신학논단」, 28권 (2000): 323-46. | 미소장 |
359 | “교회상담의 패러다임 변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4호 (2002):209-31. | 미소장 |
360 | 장기상담에서 단기상담으로 : 해결중심의 전략적 단기 공동체상담 | 소장 |
361 | “인간내면의 이해와 관계성장.”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9호 (2005):85-112. | 미소장 |
362 | 갈등해소를 위한 새생활 관계 과정 모델 | 소장 |
363 | 인생주기에 따른 목회적 돌봄과 상담 | 소장 |
364 | “한국인의 공동체적 의식과 목회 상담적 자기성찰.” 「성경과 상담」, 3호(2006): 93-136. | 미소장 |
365 | 영성목회에 대한 진단과 제안 | 소장 |
366 | 자서전의 논리와 문학적 의미 : 루소에서 뻬렉까지 | 소장 |
367 | “성경해석과 여성신학: 신약성경의 이미지들.” 「교수논집」, 15권 (2004):130-41. | 미소장 |
368 | 라깡적 관점에서 여성(남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성과 남녀관계를 중심으로 | 소장 |
369 | 저널치료 : 새로운 일기쓰기 | 소장 |
370 | “내면의 세미한 소리를 듣는 저널쓰기.” 「나세렛논총」, 13호 (2008): 1-10. | 미소장 |
371 | 중년 성인들을 위한 교회의 사역 | 소장 |
372 | 성인기의 성숙을 위한 교육 | 소장 |
373 | 안녕(Well-Being)의 개념분석 :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 소장 |
374 | A Significance of the Spiritual Education in Human Education | 소장 |
375 | `表現'이라는 用語에 대하여 | 소장 |
376 | “목회자 사모의 탈진 분석과 대안.” 「복음과 실천신학」, 3권 (2002):23-34. | 미소장 |
377 | 목회자 사모의 정신건강과 상담에 대한 요구도 연구 | 소장 |
378 | “심신구조와 잠재능력: 몸, 마음, 영혼이 하나 된 건강.” 「한국정신과학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7권 (2002): 141-8. | 미소장 |
379 | “행복의 심리학.”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4호 (2002): 232-65. | 미소장 |
380 | “교회내에서의 여성의 역할.” 「복음과 실천」, 13호 (1991): 256-92. | 미소장 |
381 | A Study on Care-Oriented Morality and Justice-Oriented Morality in Middle-Aged Adults | 소장 |
382 | “아동의 전인건강 증진을 위한 상담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호 (2000): 1-14. | 미소장 |
383 | “아동의 전인건강 증진을 위한 상담연구.” 「대구산업정보대학 논문집」,14호 (2006): 10-25. | 미소장 |
384 | 師母의 使役과 訓鍊에 관한 硏究 | 소장 |
385 | An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on Health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 소장 |
386 | “상담자로서의 사모.” 「상담과 선교」, 13권 1호 (1995): 6-26. | 미소장 |
387 | “교회성장과 여성주의 목회상담.” 「목회와 상담」, 6권 (2005): 193-224. | 미소장 |
388 | “의료 전문화와 전인건강 문화: 성경적 세계관의 적용.” 「신앙과 학문」,2권 4호(1997): 49-81. | 미소장 |
389 | Study on the View of a Human Body in Christian Philoophy ![]() |
미소장 |
390 | Research into the Meaning of Paul 's Thought as to Physical Education ![]() |
미소장 |
391 | philosophy of Toe-gye(退溪) and the meaning of health in Hoal-In-Sim-Bang(活人心方) ![]() |
미소장 |
392 | 자기노출과 정신건강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소장 |
393 | 개신교 전통의 영성에 관하여 | 소장 |
394 | “기독교 상담의 대상으로서의 인간 이해.” 「칼빈논단」, 3권 (2000):3-21. | 미소장 |
395 | 상담에서 영성의 문제 | 소장 |
396 | 상담자의 자기 돌봄 | 소장 |
397 | 전인적 목회돌봄을 위한 인간이해와 목회상담 ![]() |
미소장 |
398 | 교회내에서의 여성교육사역에 대한 고찰 | 소장 |
399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hole Man Education Program for Juveniles on the Activity -Focused on Ego-Identity Formation Program- ![]() |
미소장 |
400 | Development of Korean Wellness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소장 |
401 | 사회적 유능에 따른 아동 자아개념 및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 소장 |
402 | 기독교의 전인치유사역 | 소장 |
403 | “사모의 은사가 발휘되는 교회는 건강합니다.” 「목회와 신학」, 2005년 5월, 23-6. | 미소장 |
404 | 하나님 의 形象 에 대한 현대신학적 해설 | 소장 |
405 | “생태계의 위기 앞에 서 있는 창조신학”, 「기독교 사상」, 1991, 9월호,23-9. | 미소장 |
406 | “하나님이 쓰시는 여성.” 「월간목회」, 1994년 5월, 292-7. | 미소장 |
407 | “사모의 역할은 어디까지.” 「목회와 신학」, 2005년 4월, 136-8. | 미소장 |
408 | “소명의식을 잠식시키는 사모의 우울증.” 「목회와 신학」, 2005년 2월,154-6. | 미소장 |
409 | “목회자 아내의 갈등과 그 해결의 실마리.” 「목회와 신학」, 2002년 5월,23-34. | 미소장 |
410 | “목사와 전인건강.” 「기독교 사상」, 1992년 9월, 190-8. | 미소장 |
411 | 하나님의 형상(Image Dei)에 관한 성서적 이해 | 소장 |
412 | “사모의 정체성 문제에 대한 허와 실.” 「목회와 신학」, 2005년 9월,134-5. | 미소장 |
413 | “기독교 영성이란 무엇인가?.” 「목회와 신학」, 1993년 10월, 38-47. | 미소장 |
414 | “21세기 한국사회와 목회상담의 과제.” 「목회와 신학」, 1999년 4월,496-523. | 미소장 |
415 | “영성훈련의 성경적 이해 및 훈련.” 「월간 목회」, 1986년 3월, 72-86. | 미소장 |
416 | “인간의 특성으로 본 갈등 원인의 상담학적 이해.” 「목회와 신학」, 2004년 4월, 82-9. | 미소장 |
417 | “성차별주의 사회에서 전인건강에 관한 연구.” 「기독교 사상」, 1994년10월, 195-217. | 미소장 |
418 | 기독교의 靈性과 상담 | 소장 |
419 | “사모가 쓰는 사모론.” 「목회와 신학」, 1993년 6월, 32-6. | 미소장 |
420 | “한국적 상황에서의 목사 아내들의 이야기.” 「목회와 신학」, 2002년 5월,72-9. | 미소장 |
421 | “바울과 여성이해.” 「목회와 신학」, 1993년 3월, 43-8. | 미소장 |
422 | “여성신학의 본질과 주제.” 「기독교 사상」, 1996년 5월, 10-22. | 미소장 |
423 | “성적 부조화로 인한 목회자 가정의 위기와 극복.” 「목회와 신학」, 1993년 6월, 46-9. | 미소장 |
424 | “사모의 리더십 역할과 이미지 변화.” 「목회와 신학」, 2007년 5월,45-9. | 미소장 |
425 | “사모를 슬프게 하는 스트레스.” 「목회와 신학」, 1999년 5월, 12-6. | 미소장 |
426 | “사모는 전문직을 가지면 안되나요?.” 「목회와 신학」, 1997년 3월,101-4. | 미소장 |
427 | “사모의 역할, 어디까지인가.” 「목회와 신학」, 1995년 3월, 62-6. | 미소장 |
428 | “사모의 심리적 상처, 어떻게 돌볼 것인가.” 「목회와 신학」, 2002년 5월,93-107. | 미소장 |
429 | “목회자의 아내, 그녀는 도대체 누구인가?.” 「목회와 신학」, 2002년5월, 58-64. | 미소장 |
430 | “사모는 성도와 친구가 될 수 있는가?.” 「목회와 신학」, 2004년6월, 23-32. | 미소장 |
431 | Emotional disclosure through writing or speaking modulates latent Epstein-Barr virus antibody titers. ![]() |
미소장 |
432 | Health psychology in the 21st century: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s a harbinger of things to come. ![]() |
미소장 |
433 | "A God for Both Sexes." Economist, vol. 341, no.7997 (1996): 65-70. | 미소장 |
434 | Predictors of Well-Being among Pastors' Wives: A Comparison with Nonclergy Wives ![]() |
미소장 |
435 | Peer Support: An Intervention Program for Ministers' Wives ![]() |
미소장 |
436 | "In Pursuit of Wellness: the Self-Care Imperative."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Practices, vol. 38,no. 6 (2007): 412-45. | 미소장 |
437 | Gender-Bender God: Masculine or Feminine? ![]() |
미소장 |
438 | "Stress in Clergy Families: Managing Worrk and Family Demands." Family Perspective, vol. 26 (1992): 315-30. | 미소장 |
439 | Work-Related Predictors of Physical Symptomatology and Emotional Well-Being among Clergy and Spouses ![]() |
미소장 |
440 | "The Problem of a Transcendant God for the Well-being of Continuous Creation." Dialogue: A Journal of Theology, vol 46, no.2 (2007): 120-7. | 미소장 |
441 | "Marital Intimacy and Spirituality Well-being." The Journal Pastoral Care, vol. 52, no. 2 (1998): 133-45. | 미소장 |
442 | Defining the Nature of Spirituality in the Context of Maslow's and Rogers's Theories ![]() |
미소장 |
443 | 존 칼빈의 영성 ![]() |
미소장 |
444 | Internat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 ![]() |
미소장 |
445 | "The Invisible Women: Workers and Wives." Theological Education, vol. 8, no. 4 (Summer 1972): 253-69. | 미소장 |
446 | Spiritual Wellness and Depression: Testing a Theoretical Model with Older Adolescents and Midlife Adults ![]() |
미소장 |
447 | Caregiving Around the Clock: How Women in Nursing Manage Career and Family Demands ![]() |
미소장 |
448 |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ies." Macmillan Education, vol. 141(1975): 213-45. | 미소장 |
449 | Theology and Experience in the Thought of Karl Rahner ![]() |
미소장 |
450 | The Only Way out Is through: The Peril of Spiritual Bypass ![]() |
미소장 |
451 | Empty Wells: How well are we doing at spiritual well-being? ![]() |
미소장 |
452 | "Enforcing Family Values?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on Clergy Earning." Sociology of Religion, vol. 60,no. 4 (1990): 403-17. | 미소장 |
453 | The Price of Partnering: The Role of Economic Well-Being in Young Adults' First Union Experiences ![]() |
미소장 |
454 | Toward envisioning the future of pastoral counseling and AAPC. ![]() |
미소장 |
455 | Married Clergy Women: How They Maintain Traditional Marriage Even as They Claim New Authority ![]() |
미소장 |
456 | RELIGIOUS EDUCATION: PROFESSION AND ACADEMIC DISCIPLINE ![]() |
미소장 |
457 | "Toward a Tripartite Factor Structure of Mental Health: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 Growth, and Religiosity." Journal of Psychololgy, vol. 135, no. 5 (2004): 486-500. | 미소장 |
458 | Theological Reflection and Christian Formation ![]() |
미소장 |
459 | Self-disclosure: a literature review. ![]() |
미소장 |
460 | The Price of Partnering: The Role of Economic Well-Being in Young Adults' First Union Experiences ![]() |
미소장 |
461 | Relationship Between Role Perception and Well-Being in Married Female Missionaries ![]() |
미소장 |
462 | "Recent Movements in Pastoral Theology." Religion & Theology, vol. 7, no. 2 (2000): 143-67. | 미소장 |
463 | Language, Gender, and Context in an Immigrant Ministry: New Spaces for the Pastor's Wife ![]() |
미소장 |
464 | "Who is Happy?."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vol. 6, no. 1 (1995): 10-9. | 미소장 |
465 | "Married and Ordained." America, vol. 201, no. 2 (2009):10-4. | 미소장 |
466 | "Finding God's Image in the Mentally Ill." America, vol. 23 (1997): 12-6. | 미소장 |
467 | "Biblical Perspectives on the Role of Women." Journal of Theology for Southern Africa, vol. 55 (1986): 58-61. | 미소장 |
468 | "Spiritual Well-being and Dimension of Religiosity." Review of Religious Research, vol. 26, no. 1 (1984): 59-72. | 미소장 |
469 | "The Wellness Gospel and the Future of Faith." Policy Review, vol. 56, no. 3 (2002): 25-40. | 미소장 |
470 | Empty Wells: How well are we doing at spiritual well-being? ![]() |
미소장 |
471 | "I Chose Honesty." Brethren Life and Thought, vol.21, no. 2 (1976): 138-47. | 미소장 |
472 | Seward Hiltner: He Changed my Life ![]() |
미소장 |
473 | Journey of a pastoral counselor. ![]() |
미소장 |
474 | "God as a Writer: Omnipresence and the Art of Dissimulation." Religion and Intellectual Life, vol. 6, no. 3-4 (1989): 31-4. | 미소장 |
475 |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Mediator-Moderator Study ![]() |
미소장 |
476 | Using Secondary Students' Views about Influences on Their Spiritual Well-Being to Inform Pastoral Care ![]() |
미소장 |
477 | Psychological processes related to recovery from a trauma and an effective treatment for PTSD. ![]() |
미소장 |
478 | Letter Therapy: A Model for Enhancing Counseling Intervention ![]() |
미소장 |
479 | Spirituality, Well-Being, and Ministry ![]() |
미소장 |
480 | Reference Groups and Role Strains Related to Spiritual Well-Being ![]() |
미소장 |
481 | Midlife Transition and Women's Spirituality Group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 |
미소장 |
482 | Religion, Ra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
미소장 |
483 | Translating research findings to PTSD prevention: Results of a randomized–controlled pilot study ![]() |
미소장 |
484 | The Human Situation: A Feminine View ![]() |
미소장 |
485 | Global Security and Economic Well-being: A Strategic Perspective ![]() |
미소장 |
486 | Living the Theology of a Bishop's Spouse: Experience, Experiment and Adventure ![]() |
미소장 |
487 | Women, Culture, and Violence: Traditional Values as a Threat to Individual Well‐Being ![]() |
미소장 |
488 | Self-disclosure and interpersonal functioning. ![]() |
미소장 |
489 | "Women Pastors: What Happens After Placement?.” Review of Religious Research, vol. 24, no. 2 (1984):116-26. | 미소장 |
490 | Marital Satisfaction among Clergy Wives ![]() |
미소장 |
491 | Religious Beliefs of Clergy Wives ![]() |
미소장 |
492 | A Factor Structure of Wellness: Theory, Assessment, Analysis, and Practice ![]() |
미소장 |
493 | The Wheel of Wellness Counseling for Wellness: A Holistic Model for Treatment Planning ![]() |
미소장 |
494 | "High-level wellness for man and society." Journal of Psychology Theology, vol. 49, no. 6 (2001): 453-78. | 미소장 |
495 | "Will the Real Sectarian Stand Up?" Theology Today,vol. 44 (1987): 120-34. | 미소장 |
496 | "A Womenist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Mental Health, Religious & Culture, vol. 9, no. 2 (2006): 155-70. | 미소장 |
497 | "Refining Dimensions of Spiritual Wellness: A Cross Traditional Approach." Counseling and Values, vol. 42, no. 3 (2007):156-64. | 미소장 |
498 | Some factors in self-disclosure. ![]() |
미소장 |
499 | "Priestesses or Priest´s Wives: Presbyera in Early Christianity." St. Vladimir´s Theological Quarterly, vol. 51, no. 2-3(2007): 321-45. | 미소장 |
500 | MARTIN BUBER AND PSYCHOTHERAPY ![]() |
미소장 |
501 | A Qualitative Study on Comprehensive Missionary Wellness ![]() |
미소장 |
502 | Forgiveness by God, Forgiveness of Oth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Late Life ![]() |
미소장 |
503 | "Church-Based Emotional Support, Negative Inter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nding from a National Sample of Presbyterians." Journal for the Scientific, vol. 37, no. 4 (1998): 725-41. | 미소장 |
504 | "God's Image as Equivalently Father and Mother: An African Perspective." African Ecclesial Review, vol. 38, no.4(1996): 203-28. | 미소장 |
505 | Self-Determination, Wellbeing, and Threats of Harm ![]() |
미소장 |
506 | The Relation Between Intrinsic Religious Fai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
미소장 |
507 | Partnerships for Ecological Wellbeing ![]() |
미소장 |
508 | "Clinical Interpretation: The Hermeneutics of Medicine." Theoretical Medicine and Bioethics, vol. 11 (1990): 223-49. | 미소장 |
509 | "Feminism and Bioethics: An Overview." Second Opinion, vol. 19, no. 2 (1991): 10-25. | 미소장 |
510 |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tress, Premenstrual Symptomatology and Spiritual Well-Being in Women ![]() |
미소장 |
511 | "Marital Enrichment for Clergy Couples." Pastoral Psychology, vol. 30 (1980): 151-9. | 미소장 |
512 | "The Earth Charter and Ecological Integrity-Some Policy Implications." Worldviews, vol. 8, no. 1 (2001): 76-92. | 미소장 |
513 | Free writing as therapy. ![]() |
미소장 |
514 |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Motives and Psychological Weil-Being ![]() |
미소장 |
515 | "Who Benefits from Expressive Writing? Moderator Variables Affecting Outcomes of Emotional Disclosure Intervention." Counseling & Clinical Psychology Journal, vol. 2, no. 1 (2005): 15-28. | 미소장 |
516 | Self-disclosure and neurosis. ![]() |
미소장 |
517 | Reframing the Fields ![]() |
미소장 |
518 | Integrating the Spiritual Dimension Into Traditional Counselor Education Programs ![]() |
미소장 |
519 | Subjective Measures of Spiritual Well-Being ![]() |
미소장 |
520 | "Denominational Perceptions of Stress and the Provision of Support Services for Clergy Families." Pastoral Psychology, vol. 43 (1994): 189-95. | 미소장 |
521 | The Influence of Work-Related Stressors on Clergy Husbands and Their Wives ![]() |
미소장 |
522 | "The Availability and Importance of Denominational Support Services as Perceived by Clergy Husbands and Their Wives." Pastoral Psychology, vol. 44, no. 1 (1995): 29-44. | 미소장 |
523 | Roles of Women within the Church ![]() |
미소장 |
524 | Integrating Spirituality Into Counselor Preparation: A Developmental, Wellness Approach ![]() |
미소장 |
525 | Integrating Spirituality Into Counselor Preparation: A Developmental, Wellness Approach ![]() |
미소장 |
526 | The Wheel of Wellness Counseling for Wellness: A Holistic Model for Treatment Planning ![]() |
미소장 |
527 | A Factor Structure of Wellness: Theory, Assessment, Analysis, and Practice ![]() |
미소장 |
528 | Exploring the boundary conditions of expressive writing: In search of the right recipe ![]() |
미소장 |
529 | "Whatever Happened to Ministers´ Wives." Christian Century, vol. 96, no. 5 (1979): 7-14. | 미소장 |
530 | The Neuman systems model: reflections and projections. ![]() |
미소장 |
531 | "Theological Reflection: The Process and Movement." Diaskalia,vol. 12, no. 1 (2000): 25-31. | 미소장 |
532 | Creating in Our Own Imag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mage of God ![]() |
미소장 |
533 | "Whatever Happened to Ministers' Wife?." Christian Century, (1979): 7-14. | 미소장 |
534 | Pursuing Multiple Callings: The Implications of Balancing Career and Motherhood for Women and the Church ![]() |
미소장 |
535 | A Study of Ministerial Identity and Theological Reflection among Lay Ecclesial Ministers ![]() |
미소장 |
536 |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Spiritu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Style for People Living with Leukaemia: An Exploratory Study." Mental Health, Religion & Culture, vol. 10, no. 6 (2007): 631-47. | 미소장 |
537 | Implications of Anthropology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 |
미소장 |
538 | SACRIFICING PHYSICAL HEALTH FOR WELLBEING: A THEOLOGICAL CHALLENGE OF SEX WORK AS A LIVELIHOOD OPTION FOR POOR WOMEN IN PIETERMARITZBURG SOUTH AFRICA ![]() |
미소장 |
539 | Toward a Theology of Pastoral Event: Reflections on the Work of Seward Hiltner ![]() |
미소장 |
540 | Personality correlates of actual self-disclosure. ![]() |
미소장 |
541 | Against the Careerist Conception of Well‐Being ![]() |
미소장 |
542 | Confronting a traumatic event: toward an understanding of inhibition and disease. ![]() |
미소장 |
543 | "Autobiography and the Architecture of Self." Journal of Curriculum Theorizing, vol. 3, no. 2 (1988): 24-39. | 미소장 |
544 | In Woman's Image: An Iconography for God ![]() |
미소장 |
545 | "The Effects of Prayer on Mental Well-being." Second Opinion, vol. 18, no. 3 (1993): 269-94. | 미소장 |
546 | Spirituality, Life Stress, and Affective Well-Being ![]() |
미소장 |
547 | Holistic Flow Model of Spiritual Wellness ![]() |
미소장 |
548 | Holistic Flow Model of Spiritual Wellness ![]() |
미소장 |
549 | The Role of Well‐Being ![]() |
미소장 |
550 | GOVERNING CITIZENS THROUGH SELF-HELP LITERATURE ![]() |
미소장 |
551 | Relationships between Adult Workers'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A Preliminary Study ![]() |
미소장 |
552 | "Whistle While You Work? The Effect of Household Task Performance on Women´s and Men´s Well-being."Social Quarterly, vol. 73, no. 4 (1992): 864-61. | 미소장 |
553 | Problems with Autonomy ![]() |
미소장 |
554 | Using Bifocals to Overcome Blindspots: The Impact of Women on the Military and the Ministry ![]() |
미소장 |
555 |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 |
미소장 |
556 | "The Pastoral Office and Divorce, Remarriage, Moral Deviation." Concordia Journal, vol. 6, no. 4 (1980): 141-50. | 미소장 |
557 | "The Church as Wellness Center." Brethren Life and Thought, vol. 33, no. 1 (1988): 12-8. | 미소장 |
558 | "An Insider´s Counsel for Clergy Wives." Currents in Theology and Mission, vol. 6, no. 2 (1979): 94-8. | 미소장 |
559 | "The Challenge of One Medicine: Theories of Health and Eight World Hypotheses." Advances: The Journal of Mind-Body Health, vol 133 (1997): 7-29. | 미소장 |
560 | Being in Control: A Note on Differences Between Caregiving and Noncaregiving Spouses ![]() |
미소장 |
561 | Urbanization, Secularization, and Roles of the Professional's Wife ![]() |
미소장 |
562 | Self-Disclosure and Neuroticism ![]() |
미소장 |
563 | The congregational setting of pastoral counseling: a study of pastoral counseling theorists from 1949-1999. ![]() |
미소장 |
564 | "Scripting in Pastoral Counseling." Journal of Pastoral Counseling,vol. 4, no. 2 (2001): 31-9. | 미소장 |
565 | "Whatever Happened to His Wife?." Christianity Today,vol. 39, no. 4 (1995): 36-8. | 미소장 |
566 | "When the Pastor Becomes Ill." The Clergy Journal, vol.85, no. 7 (2009): 46-7. | 미소장 |
567 | What is Theological about Theological Reflection? ![]() |
미소장 |
568 | Aristotelian Well-Being: A Response to L. W. Sumner's Critique ![]() |
미소장 |
569 | The new quest for healing: When therapy and spirituality intermingle ![]() |
미소장 |
570 | Expressive writing and the role of alexythimia as a dispositional deficit in self-disclosure and psychological health. ![]() |
미소장 |
571 | Using the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 in Theological Reflection ![]() |
미소장 |
572 | "Wellness in the Family.” Review and Expositor, vol. 86(1989): 175-84. | 미소장 |
573 | "Well-being Syndrome in Korea: a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Evangelical Review of Theology, vol. 30, no. 2(2006): 152-61. | 미소장 |
574 | Wellbeing and Education: Issues of Culture and Authority ![]() |
미소장 |
575 | "Religion and Well-Being: Men and Women in the Middle Years." Review of Religious Research, vol. 29,no. 3 (March 1983): 281-94. | 미소장 |
576 | A Holistic Model for Wellness and Prevention over the Life Span. ![]() |
미소장 |
577 | Teaching Theological Reflection Well, Reflecting on Writing as a Theological Practice ![]() |
미소장 |
578 | Private Speech: Four Studies and a Review of Theories ![]() |
미소장 |
579 | Defining health and unhealthiness: Perceptions held by Native American Indians with persistent mental illness1 ![]() |
미소장 |
580 | (1995). "Wellness Programing: A Paradigm for a Medicaid Population." Wellness Perspecives, vol. 11, no. 3 (1995): 16-27. | 미소장 |
581 | "What Pastor´s Wives Wish Their Churches Knew." Christian Today, vol. 7 (1997): 20-6. | 미소장 |
582 | 영적 안녕과 관계 성숙을 위한 기독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 L.J.Crabb과 H.Clinebell의 기독교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 소장 |
583 | 한국교역자 사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 소장 |
584 | 중년기 교인들의 목회상담을 위한 전인적 안녕 모형 | 소장 |
585 | 자전적 글쓰기 교육과정을 통한 여성주의 기독교교육 연구 | 소장 |
586 | 한국인의 영적 건강 속성에 관한 탐색 ![]() |
미소장 |
587 | 루소의 자서전 글쓰기와 진실의 문제 | 소장 |
588 | 외상경험글쓰기의 치료적 효과와 기제 : 가정폭력피해여성을 중심으로 | 소장 |
589 | 목회자사모의 인지행동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과 그 효과성 검증 | 소장 |
590 | 한국 노인의 안녕 척도 개발 | 소장 |
591 | "Experimental Disclosure and its Moderators : A Meta-Aanalysis." Ph D. diss.,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2005. | 미소장 |
592 | 「한국말 대사전」. 2004. | 미소장 |
593 | The Anchor Bible Dictionary. | 미소장 |
594 |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 미소장 |
595 | Vine's Complete Expository Dictionary of Old and New Testament Words. | 미소장 |
596 | 강창욱. “목회자 사모에게 행복조건 물었더니,” [온라인 자료], http://missionlife.kukinews.com/article/read.asp?page. 2011년 9월 19일 접속.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