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6

제1장 서론 9

1.1. 연구 목적 9

1.2. 선행 연구 검토 12

1.3. 연구 방향과 방법 18

제2장 『수호전』의 형성 과정과 계통 22

2.1. 『수호전』의 형성 과정 22

2.1.1. 소설 이전 단계 22

2.1.2. 소설 『수호전』 24

2.2. 『수호전』의 계통 27

2.2.1. 판본의 개관과 계통 27

2.2.2. 번본계통의 『수호전』 33

2.2.3. 간본계통의 『수호전』 36

제3장 『수호전』의 국내 수용 양상 40

3.1. 『수호전』의 관련 기록 40

3.1.1. 관련 기록의 개관 41

3.1.2. 관련 기록의 시기별 양상과 특징 48

3.2. 『수호전』의 중국판본 70

3.2.1. 중국판본의 개관 71

3.2.2. 중국판본의 성격과 특징 73

3.3. 『수호전』의 어록해 79

3.3.1. 어록해의 개관 79

3.3.2. 어록해의 성격과 특징 84

제4장 『수호전』의 한글 번역본 89

4.1. 『수호전』 한글 번역본의 개관 89

4.2. 『수호전』 한글 번역본의 계열과 특징 96

4.2.1. 100회본 계열의 한글 번역본 97

4.2.2. 120회본 계열의 한글 번역본 100

4.2.3. 70회본 계열의 한글 번역본 131

4.2.4. 기타 계열의 한글 번역본 140

4.3. 『수호전』 한글 번역본 간의 관계와 의미 144

4.3.1. 120회본 계열 한글 번역본의 관계와 의미 144

4.3.2. 70회본 계열 한글 번역본의 관계와 의미 150

제5장 결론 152

참고문헌 155

Abstract 168

초록보기

이 논문은 중국소설 『수호전』의 국내 수용 양상과 한글 번역본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선시대부터 식민지 시기까지의 관련 기록, 국내에 유입된 중국판본(中國版本), 어록해(語錄解), 한글 번역본(飜譯本) 등을 검토하였다.

국문학 연구에서 중국소설 『수호전』이 주목받았던 이유는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어서 『수호전』에 비겼다"는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언급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국문학 연구 초기에는 『수호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홍길동전』의 연원(淵源)과 특성을 국내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생기면서 『수호전』에 대한 관심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최근에 이 소설의 중요성이 재고되고 있다. 그러나 『수호전』의 관련 기록, 유입된 판본(版本)의 상황, 이 소설을 읽었던 조선 독자들의 인식, 그리고 한글 번역본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진한 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중국소설 『수호전』의 형성과 계통을 살펴보았다. 국내에서 펴낸 중국문학사와 중국소설사에서는 이 내용을 흔히 다루고 있지만 개론 차원에 머물고 있어서 내용이 소략하다. 특히 이 소설의 형성 과정과 판본의 계통은 많은 이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세히 정리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중국, 일본, 서양에서 이루어진 『수호전』 연구 성과를 토대로, 『수호전』의 형성 과정과 판본의 계통과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이는 『수호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수용 양상과 한글 번역본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제3장에서는 『수호전』의 국내 수용 양상을 1) 관련 기록, 2) 현존하는 중국판본(中國版本), 3) 어록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보면 『수호전』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고, 주로 중국소설에 대한 조선유학자들의 인식이나 태도를 살펴보는 자리에서 일부 기록에만 의거하여 다루어졌다. 그러나 『수호전』 관련 기록은 시기적으로는 15세기부터 시작하여 20세기 초까지, 역사서, 문집(文集), 고소설 관련 자료와 소설 목록, 일본인들의 조사보고서 등 다양한 문헌에 산재해 있다. 이 기록들은 『수호전』의 전래 시기, 판본, 한글 번역본의 문제를 논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이 소설을 읽었던 독자가 국왕에서부터 양반, 중인, 부녀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록들을 종합해서 '시기-저자-자료명-출전' 순으로 정리하고, 『수호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2)와 3)은 선행 연구에 있어서 실본(實本)의 구체적인 조사나 검토 없이 『고서목록』에만 의거하여 이본의 서지(書誌)와 소장처만을 재정리한 수준이다. 따라서 현존하는 중국판본이 어떤 것이 있고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어록해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어떤 본을 읽기 위해 만들어진 것인지 제대로 밝히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국내에는 대략 10여 종의 판본이 존재하는데, 100회본은 없고, 120회본과 70회본만이 소장되어 있다. 국내에 현존하는 중국판본의 가장 특징적인 점은 70회본이 주를 이룬다는 것이다. 특히 청대(淸代)에 간행된 많은 방각본 중에서 『평론출상수호전』이 주로 읽혔고, 석인본은 『회도증상제오재자서수호전』이 읽혔다. 이처럼 국내에 중국판본이 많이 남아있는 이유는 광학서포(廣學書鋪)와 이엽산방(二葉山房)의 예처럼 이 책을 유통시킨 출판사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어록해의 경우에는 선본(先本)은 알 수 없지만 어록해 간에 내용의 차이가 별로 없고, 비교적 시대가 올라가 보이는 본은 자류순(字類順)이라는 점, 그리고 후대본들은 장회(章回)를 구분한 뒤에 단어와 어구를 수록해 놓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최초의 어록해가 만들어진 이후에 큰 변화가 없이 자류 순으로 내려오다가 후대에 장회를 구분하고 다시 체계적으로 재편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 어록해는 처음에는 100회본이나 120회본을 읽기 위해서 만들었다가 70회본이 유행하자 단어나 어구 등을 적절히 빼거나 편집하여 간행한 양상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수호전』의 한글 번역본을 살펴보았다. 현재 남아있는 『수호전』의 한글 번역본은 시기적으로 조선시대부터 식민지 시기까지, 형태적으로는 필사본, 세책본, 방각본, 활판본 등이 있다. 이들 한글 번역본은 100회본을 번역한 것, 120회본을 번역한 것, 70회본을 번역한 것, 기타 번역본으로 나뉜다. 선행연구에서는 한글 번역본은 모두 70회본의 번역본이라고 했지만, 실상은 70회본보다는 120회본이 더 많다. 중요한 사실은 현재 남은 대다수의 번역본은 120회본의 번역본이며, 주로 세책본·방각본·활판본과 같은 상업출판물이란 점이다. 이는 최초 120회본이 완역(完譯)된 이후에, 유통 과정에서 조금씩 차이를 두면서 상품화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활판본인 신문관본은 120회본을 번역한 세책본을 택하여 70회까지를 적절히 수정·개작한 본이다. 이후 간행된 조선서관본은 이와는 달리 120회본 전체를 간행했고, 세책본을 그대로 실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활판본 업자들이 120회본을 택한 이유는 세책본을 원고(原稿)로 사용하기가 쉬웠고 70회본과 달리 긴 내용을 담고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70회본 계열의 번역본들은 일본어 번역본이 유입되면서 새로운 양상을 띠게 된다. 이전까지의 70회본은 120회본의 뒷부분을 없애고 김성탄본의 결말만 수용한 것이었다. 그러나 양백화와 윤백남은 일본어 번역본을 참조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수호전』을 만들었다. 이처럼 『수호전』의 신구(新舊) 번역본들이 있던 상황에서 박태원은 또 다른 형태의 번역본을 간행한다. 그는 선행했던 『수호전』을 저본으로 하면서, 일본어 번역본을 활용하여 번역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수호전』의 국내 수용 문제를 구체화하며, 중국소설이 국내로 유입되면서 어떻게 한글 번역본이 향유되고 유통되었는가를 밝히는데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35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古本小說集成編輯委員會編, 李卓吾批評忠義水滸傳, 上海古籍出版社,1992. 미소장
2 古本小說集成編輯委員會編, 鐘伯敬評水滸傳, 上海古籍出版社,1992. 미소장
3 古本小說集成編輯委員會編, 第五才子書水滸傳, 上海古籍出版社,1992. 미소장
4 古本小說集成編輯委員會編, 宣和遺事․插增田虎王慶忠義水滸傳, 上海古籍出版社,2001. 미소장
5 水滸博覽大典, 濟南出版社, 2006. 미소장
6 水滸全傳校注, 里仁書局, 2001. 미소장
7 容與堂本水滸傳, 上海古籍出版社, 1988. 미소장
8 王利器校訂, 插圖本水滸全傳校訂本, 貫雅文化公司, 1991. 미소장
9 水滸傳 上下, 三民書局, 2005. 미소장
10 水滸全傳校註, 里仁書局, 1994. 미소장
11 연변대학수호전번역조역, 신역수호지, 청년사, 1990. 미소장
12 (대중화문고 중한대역) 수호전, 연변인민출판사, 2009. 미소장
13 영인 고소설 판각본 전집,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1976. 미소장
14 단국대 율곡도서관 소장본. 미소장
15 동경대 언어학 연구실 소장본. 미소장
16 러시아 동방학연구소 소장본. 미소장
17 서강대 로욜라도서관 소장본. 미소장
18 프랑스 국립동양어대학 소장본. 미소장
19 단국대 율곡도서관 소장본. 미소장
20 동경대 소장본. 미소장
21 박순호 소장본. 미소장
22 서울대 중앙도서관 소장본. 미소장
23 영남대 도남문고본. 미소장
24 광동서국․태학서관본, 打虎武松. 미소장
25 경성서적조합본, 鮮漢文 忠義水滸誌. 미소장
26 박문서관본, 新譯水滸傳. 미소장
27 박문서관본, 鮮漢文 忠義水滸誌. 미소장
28 신문관본, 신교슈호지. 미소장
29 영창서관본, 鮮漢文 忠義水滸誌. 미소장
30 조선도서주식회사본, 鮮漢文 忠義水滸誌. 미소장
31 조선서관본, 鮮漢文 忠義水滸誌 미소장
32 조선서관본, (續水滸誌) 一百單八歸化記. 미소장
33 東亞日報. 미소장
34 每日申報. 미소장
35 新民. 미소장
36 水滸傳. 미소장
37 新釋水滸傳. 미소장
38 朝光. 미소장
39 古鮮冊譜. 미소장
40 수호지, 이회, 2001. 미소장
41 韓國所見中國小說戱曲書目資料集, 선문대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02. 미소장
42 완역수호지, 깊은샘, 1990. 미소장
43 水滸誌, 학고방, 2007. 미소장
44 국역 하재일기, 서울시사편찬위원회, 2005. 미소장
45 튱의슈호뎐, 선문대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07. 미소장
46 한국소장 중국한적총목, 학고방, 2005. 미소장
47 朝鮮書籍目錄. 미소장
48 朝鮮古書目錄. 미소장
49 한국고서종합목록. 미소장
50 한국문집총간. 미소장
51 한국전적종합조사목록, 문화재관리국, 1989. 미소장
52 한국 고소설 비평연구, 경인문화사, 2002. 미소장
53 강소성 사회과학원 편, 오순방 외 역, 중국고전소설총목제요 제1~5권, 울산대출판부, 1993. 미소장
54 공안파와 조선후기 한문학, 소명출판, 2007. 미소장
55 구보학회 편, 박태원과 역사소설, 깊은샘, 2008. 미소장
56 활자본 고소설의 편폭과 지향, 보고사, 2000. 미소장
57 소설의 매혹, 월인, 2003. 미소장
58 춘향전 연구, 연세대출판부, 1976. 미소장
59 국문학참고도감, 新學社, 1949. 미소장
60 근대의 세 번역가: 서재필 최남선 김억, 소명, 2010. 미소장
61 교주 증보 조선소설사, 한길사, 1990. 미소장
62 중국문학사, 신아사, 2009. 미소장
63 한중소설설화비교연구, 일지사, 1976. 미소장
64 중국소설사략, 살림, 1998. 미소장
65 중국 고대소설과 소설 평점, 소명출판, 2008. 미소장
66 朝鮮朝의 小說讀者 硏究 소장
67 한국 고소설 연구, 경인문화사, 2010. 미소장
68 번역의 윤리, 열린책들, 2006. 미소장
69 완판 방각소설의 문헌학적 연구, 학문사, 1981. 미소장
70 한국서지, 일조각, 1994. 미소장
71 무악고소설자료연구회편, 한국 고소설 관련 자료집Ⅰ, 태학사, 2001. 미소장
72 무악고소설자료연구회편, 한국 고소설 관련 자료집Ⅱ, 이회, 2005. 미소장
73 중국 고전소설 비평자료총고, 학고방, 2003. 미소장
74 중국 고전소설의 전파와 수용, 아세아문화사, 2007. 미소장
75 , 중국 고전소설의 출판과 연구자료 집성, 아세아문화사, 2008. 미소장
76 송대의 신유학자들은 문학을 어떻게 보았는가, 역락, 2005. 미소장
77 명청대 출판문화, 이담, 2009. 미소장
78 양백화 문집: 소설 번역소설, 지양사, 1988. 미소장
79 신문관, 소명출판, 2010. 미소장
80 동아시아 출판문화사 연구Ⅰ, 오름, 2010. 미소장
81 중국소설사, 서울대 출판부, 2004. 미소장
82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대출판부, 1984. 미소장
83 신소설에 미친 만청소설의 영향, 정음사, 1985. 미소장
84 국문학 연구와 문헌학, 태학사, 2002. 미소장
85 한학서 연구, 박문사, 2010. 미소장
86 중국 근대의 소설번역과 중한소설의 쌍방향 번역 연구, 숭실대 출판부,2008. 미소장
87 고소설 연구사, 월인, 2002. 미소장
88 한국문학에 끼친 중국문학의 영향, 아세아문화사, 1993. 미소장
89 이야기, 小說, Novel, 예문서원, 2001. 미소장
90 유교반도 허균, 연세대 출판부, 1999. 미소장
91 고소설 연구, 선명문화사, 1973. 미소장
92 고전소설 비평사론, 새문사, 2002. 미소장
93 한중소설의 비교문학적 연구, 삼영사, 1983. 미소장
94 한국 고전소설 연구, 새문사, 1983. 미소장
95 홍길동전 연구, 계명대 출판부, 1998. 미소장
96 남원고사 원전비평, 보고사, 2009. 미소장
97 향목동 세책 춘향전 연구, 경인문화사, 2011. 미소장
98 한국소설연구, 선명문화사, 1969. 미소장
99 구활자본 고전소설 연구, 월인, 1998. 미소장
100 경판 방각소설 판본 연구, 태학사, 2000. 미소장
101 수호전 연구, 정음사, 1985. 미소장
102 조선후기의 대중소설, 보고사, 2009. 미소장
103 동아시아 서사학의 전통과 근대, 성대 출판부, 2005. 미소장
104 한국 고전소설사 연구, 고려대 출판부, 2002. 미소장
105 한중소설 대비의 지평, 보고사, 2005. 미소장
106 한중문학비교의 연구, 고려대 출판부, 1987. 미소장
107 한국 고소설사의 연구, 보고사, 2010. 미소장
108 한국문학과 중국문학, 보고사, 2010. 미소장
109 홍길동전 연구, 문호사, 1961. 미소장
110 한국문학사, 탐구당, 1963. 미소장
111 고전소설 이본목록, 집문당, 1999. 미소장
112 고전소설 연구보정, 박이정, 2006. 미소장
113 이야기문학 가을갈이, 글누림, 2010. 미소장
114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8. 미소장
115 수호전 평설, 명문당, 2010. 미소장
116 한국서지학, 민음사, 1994. 미소장
117 17세기 장편소설 연구, 월인, 1999. 미소장
118 중국역대소설서발역주, 을유문화사, 1998. 미소장
119 「홍루몽의 전파와 번역, 신서원, 2007. 미소장
120 붉은 누각의 꿈: <홍루몽> 바로보기, 나남, 2009. 미소장
121 중국백화소설, 차이나하우스, 2007. 미소장
1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장서각의 역사와 자료적 특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미소장
123 한국중국소설학회 편, 중국소설사의 이해, 학고방, 1994. 미소장
124 한중일 소설의 비교연구, 정음사, 1985. 미소장
125 임꺽정의 서사와 패로디, 국학자료원, 1997. 미소장
126 허균평전, 돌베개, 2002. 미소장
127 중국소설비평사략, 을유문화사, 1993. 미소장
128 이탁오평전, 돌베개, 2005. 미소장
129 元雜劇水湖戱硏究綜述 소장
130 韓日間「水滸傳」の受容をめぐつて 소장
131 <수호전> 인물 연구 소장
132 <洪將軍傳>의 형성과정과 작자의식 소장
133 A Study on acceptant Shape of in classical novels with printed book and it's novel-historical Significance 소장
134 조선후기 소설론 연구 소장
135 《수호전》에 반영된 <의> 사상 고찰 네이버 미소장
136 『열하일기』의 인물 형상화 기법 : 김성탄의 『수호전』의 인물 비평과 비교하며 소장
137 「한글소설 방각본의 성립에 대하여」, 향토서울 8집, 1960. 미소장
138 「홍길동전의 국내적 소원」, 심악이숭녕박사 송수기념논총, 을유문화사, 1968. 미소장
139 「이조소설의 작자와 독자에 대하여」, 장암지헌영선생화갑기념논총, 호서문화사, 1973. 미소장
140 元·明 시기 '水滸雜劇'의 변천의 양상과 그 동인 소장
141 比較學的으로 본 洪吉童傳과 水滸傳의 考察 소장
142 조선후기의 명청소품 수용과 소품문의 전개 양상 소장
143 《수호전》과 《임꺽정》의 서사구조 비교 연구 소장
144 『水滸傳』詞性修辭 소장
145 『水滸傳』詞性修辭之二 소장
146 『水滸傳』人物之形象硏究 소장
147 『수호전』 언어예술연구 소장
148 허균이 본『水滸傳』판본 고찰 소장
149 「중국 민간 고전문학의 기록 전통과 공연 전통: 水滸 이야기의 생성, 전래, 정착, 공연화 과정을 중심으로」, 미소장
150 《수호전》의 송강 연구 : 송강의 지도력과 양산박 운명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151 「비교문학 연구사」, 국어국문학 40년, 집문당, 1992. 미소장
152 박사학위 논문 : 兪晩柱(유만주)의『欽英(흠영)』 연구 네이버 미소장
153 「4대기서(四大奇書)가 한국에 미친 영향」, 청대학술논집 3, 2004. 미소장
154 《水滸傳》 構造의 特徵에 대한 考察 소장
155 《수호전》의 송강 연구 : 송강의 지도력과 양산박 운명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156 金聖嘆《水滸傳》人物批評小考 네이버 미소장
157 錢允治<宣和遺事序>與『水滸傳』首次著錄的問題 네이버 미소장
158 『水滸傳』의 國內 受容에 관한 硏究 네이버 미소장
159 <<水滸誌語錄>>과 <<西遊記語錄>>研究 소장
160 양백화의 비평담론 연구 : 중국신문화운동론의 수용과 관련하여 소장
161 金聖嘆硏究 네이버 미소장
162 17세기 중국소설비평(中國小說批評)의 전개(1) -김성탄(金聖嘆) 모종강(毛宗崗) 장죽파(張竹坡)의 소설본질론(小說本質論)을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163 17세기 중국소설비평의 전개 (2) - 김성탄ㆍ모종강ㆍ장죽파의 소설구성론을 중심으로 - 네이버 미소장
164 《수호전》의 주제의식 연구 소장
165 협객의 충의와 유가적 충의의 충돌에서 바라본 『수호전』의 비극성 소장
166 梁白華의 중국문학 번역작품에 대한 재평가 : 현대 희곡과 소설을 중심으로 소장
167 낙선재본 『후슈호뎐』 연구 네이버 미소장
168 일제시대 민간 서적발행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소장
169 《水滸傳》의 구조연구 : 梁山泊으로의 집결과정을 중심으로 소장
170 元雜劇 水滸戱와 小說 <<水滸傳>> 비교 연구 소장
171 元雜劇 水滸戱 硏究 소장
172 A Brief Study on Drama of " The Margin Story " 소장
173 산토 교덴(山東京傳)의 『충신수호전(忠臣水滸傳)』 연구 : 『가나데혼 주신구라(가명수본충신장)』와의 비교를 통해 소장
174 <廣寒樓記>의 金聖嘆 極微論 수용 양상 : 비평 및 개작의식의 반영과 관련하여 소장
175 <홍장군전>의 창작경위와 인물형상화의 방향 소장
176 韓國 古小說 批評史 연구 소장
177 「영정대 문단에서의 대소설적 태도」, 연세대학교 80주년 기념 논문집, 연세대, 1965. 미소장
178 元末 <水滸傳>의 성립과 宋元社會 소장
179 홍장군전 연구 소장
180 「수호전 연구」, 중국어문학 10, 1985. 미소장
181 「이야기책 판본지략」, 논문집 4집, 숙명여대, 1964. 미소장
182 이언진 문학 연구 소장
183 宕翁의 '稗說論'考 소장
184 金聖嘆의 《水滸傳》 批評과 小說論 소장
185 「조선어문학명저해제」, 문장 19호, 1940. 미소장
186 水滸傳이 洪吉童傳에 미친 影響 소장
187 “替天行道”的思想與俠義小說 소장
188 洪吉童傳과 水滸傳과의 比較硏究 : 作品을 中心으로 소장
189 「중국문학 전신자로서의 양백화」, 연세논총 13, 1976. 미소장
190 Study on the Anti-Confucian Tradition in East Asia`s History of Literature -With Emphasis on the Song, Jiang Part of Jin, Shengtan`s 《The Water Margin》 소장
191 『水滸傳』 林沖 서사의 金聖嘆 讀法 소장
192 Jin Shengtan`s Consciousness of Criticism Revealed in His Critique on Wu Song of "Heroes of the Marshes" 소장
193 Reality of the Method for Reading the Novels of Jin Shengtan(金聖嘆) - Focused on the Review of the Narration by Lu Da(魯達) at the Opening Part of the Water Margin 소장
194 Features and Descriptive Function of Character "Li Kui(李逵)" nicknamed Hei Xuan Feng(黑旋風) 소장
195 「<수호전>에 표현된 성별 의식에 대하여: 인물형상부각에서의 여성비하 성향을 주로 논함」, 인문과학논집 10, 강남대, 2001. 미소장
196 「水滸傳」과 「洪吉童傳」의 비교연구 소장
197 이탁오와 조선유학 소장
198 韓國小說 發達段階에 있어서 中國小說의 影響 소장
199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eosanggi into Joseon 소장
200 水滸傳版本考 소장
201 이덕무의 문학 비평에 관한 연구 소장
202 「양백화 번역 문학 연구: 중국 현대문학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미소장
203 「비교문학을 위한 시도: 홍길동전과 수호전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연구 3집, 1959. 미소장
204 Study on the status of the Rental Library Manuscript of 『KeumRyeongJeon』 소장
205 「책열명록」에 대하여 소장
206 20세기 초 구활자본 고소설의 세책 유통에 대한 연구 : 장서각 소장본을 중심으로 소장
207 坊刻本『水滸誌』的板本和性格 硏究 소장
208 자료 : 한일병합(韓日倂合) 즈음에 유통되었던 고소설의 목록 네이버 미소장
209 부산광역시립 시민도서관 소장 『삼국지연의』의 연구 소장
210 「일본 토야마 대학 소장, <조선 개화기 대중소설 원본 컬렉션>의 서지적 연구」, 겨레어문학 46, 2011. 미소장
211 경판본소설 『월왕전』의 책판(冊版) 네이버 미소장
212 ≪수호전≫의 국내 현존 중국판본과 어록해에 대한 연구 소장
213 『수호전水滸傳』 관련 기록에 대한 연구 소장
214 유학자의 소설 배격 소장
215 水滸傳과 洪吉童傳의 比較 소장
216 水滸傳 人物 硏究 : 주요 등장 인물의 행동 양식을 중심으로 소장
217 「홍길동전에 미친 수호전의 영향」, 문예사상연구 2집, 한국고전연구회, 1981. 미소장
218 《삼국연의》와 《수호전》에 나타난 싸움의 양상 비교연구 소장
219 朝鮮後期 文人들의 金聖嘆 評批本에 대한 讀書 談論 硏究 소장
220 朝鮮後期 小說批評論과 文藝美學의 發展 : 金聖歎의 小說批評本 讀書와 관련하여 소장
221 《水滸傳》在古代朝鮮的傳播和影響 소장
222 朝鮮時代 中國 通俗小說의 傳播範圍와 方式 소장
223 朝鮮時代 中國 明淸小說 「五大奇書」의 傳播와 影響 소장
224 중국 통속소설의 조선시대 전입 경로와 시간 소장
225 「1949년 이후부터 문화대혁명 전까지의 水滸傳에 관한 비평」, 문화콘텐츠연구 10, 2005. 미소장
226 「金聖嘆의 수호전 비평 연구」, 한국외국어대 석사학위 논문, 1995. 미소장
227 「수호전에 나타난 義와 忠의 갈등구조에 대한 연구」, 연세대 중문과 석사학위 논문, 1987. 미소장
228 「수호전 引論」, 중어중문학 9, 1987. 미소장
229 金聖嘆의 小說 評點 硏究,1 :창작 과정 중의 주체의 주관능동성 소장
230 ≪고본수호전(古本水滸傳)≫의 진위(眞僞) 논란에 대한 일고(一考) 소장
231 한국 고전소설 비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 네이버 미소장
232 「수호전의 수용」, 師大論叢 2, 1979. 미소장
233 Desires and Aspects of Those Realization in Korean and Chinese Classical Romances 소장
234 「홍길동전의 비교문학적 고찰」, 국어교육연구 1집, 대구대, 1978. 미소장
235 박태원 번역소설 연구 : 중국소설의 한국어번역을 중심으로 소장
236 유만주의 소설관 연구 소장
237 「水滸傳」의 歷史的 理解 소장
238 『水滸傳』發微 네이버 미소장
239 『水滸傳』發微 네이버 미소장
240 김성탄의 《수호전》·《서상기》 감상비평 연구 소장
241 김성탄 문학비평에 대한 조선후기 문인의 수용 양상 소장
242 조선후기 김성탄 문학비평의 수용양상 연구 소장
243 「조선후기 실학파의 김성탄 수용」, 한중인문과학연구 10, 2003. 미소장
244 『광한루기(廣寒樓記)』의 김성탄 문학비평 수용 네이버 미소장
245 《 Suhojeon 》 influence in 《 Limgeojeong 》 소장
246 A Study on the Theme of << Shui Xu Zhuan >> in Jin Sheng-tan's Ping Dian 네이버 미소장
247 金聖嘆 批注 <水滸傳> 主題 硏究 소장
248 수호전의 주제유형 연구, 논문집 33집, 1998. 미소장
249 金聖嘆在水滸傳評點中對人物寫實描寫的認識 소장
250 『수호전』과 『임꺽정』 비교연구 소장
251 梁建植의 『三國演義』 번역에 대하여 소장
252 水滸傳的演變, 作家出版社, 1957. 미소장
253 中國通俗小說書目, 北京, 1957. 미소장
254 水滸人物與水滸傳, 臺灣學生書局, 1971. 미소장
255 中國小說史, 傳記文學出版社, 1973. 미소장
256 水滸資料彙編, 中華書局, 1980. 미소장
257 河洛圖書出編輯部, 元明淸三代禁毁小說戱曲史料, 河洛圖書出版社, 1980. 미소장
258 水滸硏究, 木鐸出版社, 1983. 미소장
259 水滸硏究, 上海古籍出版社, 1985. 미소장
260 水滸傳原本和著者硏究, 江蘇古籍出版社, 1991. 미소장
261 水滸伝の世界, 筑摩書房, 2001. 미소장
262 水滸論衡, 聯經出版事業公司, 1992. 미소장
263 水滸伝: 虛構のなかの史実, 中央公論新社, 1993. 미소장
264 水滸硏究論文集, 中華書局, 1994. 미소장
265 明代小說史, 浙江古籍出版社,1997. 미소장
266 中國小說硏究史, 浙江古籍出版社, 1998. 미소장
267 水滸大觀, 上海古籍出版社, 1998. 미소장
268 施耐庵與水滸, 上海人民出版社, 2000. 미소장
269 水滸傳資料匯編, 南開大學出版社, 2002. 미소장
270 水滸源流新證, 華文出版社, 2002. 미소장
271 中國出版文化史, 名古屋大學出版社, 2002. 미소장
272 水滸二論, 聯經, 2005. 미소장
273 水滸傳原流考論, 人民文學出版社, 2006. 미소장
274 明淸小說史, 上海古籍出版社, 2006. 미소장
275 水滸傳接受史, 齊魯書社, 2006. 미소장
276 明代書坊與小說硏究, 中華書局, 2008. 미소장
277 水滸傳英譯的言語與文化, 復旦大學出版社, 2008. 미소장
278 話說水滸,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9. 미소장
279 二十世紀中國小說文獻學述略, 中華書局, 2009. 미소장
280 水滸傳詮釋史論, 世界書局, 2009. 미소장
281 三國志演義作者與版本考論, 中華書局, 2010. 미소장
282 水滸四論, 北京大學出版社, 2010. 미소장
283 「20世紀以來<水滸傳>簡本系統硏究述略」 미소장
284 「明淸文人筆記和小說序跋中的水滸傳硏究」, 明淸小說硏究, 2009. 미소장
285 「金評本<水滸傳>的效果史硏究簡述」, 湛江師範學院學報, 2009. 미소장
286 「百回本<水滸傳>的文本構成與意義詮釋」, 求是學刊, 2007. 미소장
287 建陽刻本<水滸志傳評林>硏究, 福建師範大學, 2007. 미소장
288 「20世紀<水滸傳>硏究方法的回顧與檢討」, 菏泽學院學報, 2006. 미소장
289 「新世紀<水滸傳>作者, 成書與版本硏究綜述」, 苏州大學學報 2006. 미소장
290 「金聖嘆水滸評点的理論价值」, 學述論坛, 2006. 미소장
291 「明代水滸傳传播初探」,華東師範大學, 2006. 미소장
292 「袁无涯本水滸傳辨伪」, 哈尔滨學院學報, 编辑部邮箱, 2006. 미소장
293 「金聖嘆的文法理論」, 華中師範大學, 2005. 미소장
294 金聖嘆文學批評理論硏究, 上海师范大學, 2004. 미소장
295 「百年來<水滸傳>成書及版本硏究述要」, 中華文化論坛 2004. 미소장
296 「20世紀水滸故事源流硏究述評」, 中州學刊, 2003. 미소장
297 「90年代<水滸>硏究綜述」, 湖北大學學報(哲學社会科學版), 2000. 미소장
298 「林冲與高俅<水滸傳>成書硏究」, 文學評論, 2003. 미소장
299 「金批水滸傳的批評方法硏究」, 漢學硏究, 2002. 미소장
300 「忠義水滸和聚義水滸之爭論: 兼與张国光教授商榷」, 黄山學院學報, 2002. 미소장
301 「百回本 忠義水滸傳后三十回应爲續書」, 唐山師範學院學報, 2002. 미소장
302 「水滸槪說」, 何滿子學述論文集, 福建人民出版社, 2002. 미소장
303 「20世紀<水滸>版本的硏究」, 文史知識, 2001. 미소장
304 「水滸傳 祖本问题补說」, 齐鲁學刊, 1999. 미소장
305 「初論<水滸傳>簡本與繁本的關係」, 唐都學刊, 1998. 미소장
306 「水滸傳 在國外」, 古典文學知識, 1998. 미소장
307 「容與堂刻百回本<水滸傳>應爲<水滸傳>祖本」, 貴州師範大學學報, 1998. 미소장
308 「水滸傳版本淺說」, 古典文學知識, 1998. 미소장
309 「談<水滸傳>三種版本的結局」, 古典文學知識, 1998. 미소장
310 「水滸傳的演化」, 郑振铎文集5,人民文學出版社, 1998. 미소장
311 「水滸傳版本之谜」, 固原师专學報, 编辑部邮箱, 1996. 미소장
312 「宣和遺事中水滸故事校釋」, 漢學硏究, 1994. 미소장
313 「李卓吾評郭勳本 忠義水滸傳之發現」, 河北師範院學報, 1994. 미소장
314 「水滸傳成書过程再論」, 湖北大學學報, 1993. 미소장
315 「伪中之伪的120回 古本水滸傳 剖析」, 湖北大學學報, 编辑部邮箱, 1992. 미소장
316 「從水滸傳七十回及一百二十回本探討兩種悲劇類型」, 漢學硏究, 1990. 미소장
317 「当代<水滸傳>硏究综述」, 湖州师专學報 32, 1988. 미소장
318 「雄飞馆刊本英雄谱與二刻英雄谱的区别」, 阴山學刊(社会科學版), 1988. 미소장
319 「試論<水滸>王慶田虎二傳:王田二传與真人真事」, 耐雪堂集, 中国社会科學出版社, 1986. 미소장
320 「谈宣和遗事與宋江三十六人赞的时代先后问题」, 明清小說硏究, 1986. 미소장
321 「論<水滸>的簡本系統」, 水滸争鸣 第3辑, 长江文艺出版社, 1984. 미소장
322 「<水滸傳>版本源流考」, 中華文史論丛 24, 1982. 미소장
323 「伦敦所见中国小說書目提要」, 書目文献出版社, 1982. 미소장
324 「論<水滸>的簡本與繁本」, 中華文史論丛 14, 1980. 미소장
325 「論<水滸>繁本與簡本的關係」, 中華文史論丛 14, 1980. 미소장
326 「水滸全传簡論」, 中国小說丛考, 齐鲁書社, 1980. 미소장
327 「<水滸傳>考证」,1920. 미소장
328 「<水滸傳>后考」,1921. 미소장
329 「水滸伝版本考: 京本忠義傳」, 人文硏究 47, 大阪市立大學, 1995. 미소장
330 Study of the editions of the Shuihuzhuan(水滸傳) : the edition of the 鍾伯敬先生批評水滸傳 네이버 미소장
331 「水滸伝版本考: 容與堂本」, 人文硏究 45, 大阪市立大學, 1993. 미소장
332 「水滸伝」版本考--「容与堂本」について 네이버 미소장
333 「水滸伝版本考:「二刻英雄譜」について」, 天理大學學報, 天理大學人文學会, 1981. 미소장
334 「水滸伝版本考: 文杏堂批評水滸伝三十巻本について」, 天理大學學報 119, 天理大學人文學会, 1979. 미소장
335 「水滸伝」版本考--「漢宋奇書」と「英雄譜」の関係について 네이버 미소장
336 「水滸伝版本考: 「百二十四回本」について」, 天理大學學報 99, 天理大學人文學会, 1975. 미소장
337 「水滸伝版本考: 百十回本について」, 天理大學學報 22, 天理大學人文學会, 1971. 미소장
338 「水滸伝版本考: 水滸志伝評林本の成立過程を中心に」, 天理大學學報 21, 天理大學人文學会, 1969. 미소장
339 水滸伝版本考--繁本各回本の関係について 네이버 미소장
340 「水滸伝版本考: 繁本と簡本の関係を中心に」, 天理大學學報 20, 天理大學人文學会, 1968. 미소장
341 「水滸伝版本間にみられるコトバの相違--金聖嘆本を中心として, 中国語學 156, 中国語學硏究会編, 1966. 미소장
342 「鍾伯敬批判評四知館刊本の硏究: 水滸伝諸本の硏究」, 日本中国學会報 23, 日本中国學会, 1971. 미소장
343 鐘伯敬批評四知館刊本研究序説--水滸伝諸本の研究 네이버 미소장
344 水滸伝の渡来と文簡本 네이버 미소장
345 「巴黎本水滸全伝の硏究(1): 水滸伝諸本の硏究」 支那學硏究 31, 広島支那學会, 1965. 미소장
346 「挿増″ということ:水滸伝におけるk国故事の問題」, 広島大學文學部紀要 22, 広島大學文學部, 1963. 미소장
347 「所謂李玄伯(100回)本の素姓: 水滸伝諸本の硏究(3)」, 支那學硏究 21, 広島支那學会, 1958. 미소장
348 「厳敦易水滸伝的演変」, 支那學硏究 19, 広島支那學会, 1958. 미소장
349 「所謂李玄伯(100回)本の素姓(2)」, 支那學硏究 18, 広島支那學会, 1957. 미소장
350 「所謂李玄伯(100回)本の素姓(1)」, 支那學硏究 17, 広島支那學会, 1957. 미소장
351 「楊定見本水滸伝発凡の解釈」, 広島大學文學部紀要 8, 広島大學文學部, 1955. 미소장
352 「水滸伝中の「梁山泊」の空間的考察 その4」, 日本建築學会硏究報告, 九州支部. 3, 計画系 (38), 日本建築學会九州支部, 1999. 미소장
353 http://www.shui-hu.com 미소장
354 http://shanben.ioc.u-tokyo.ac.jp 미소장
355 http://www.sinology.or.kr/novel 미소장
356 http://open-lit.com/list.php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