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7

1.1. 연구배경 및 연구의 필요성 7

1.2. 연구목적 및 연구 방법 9

2. 영화연기의 기술적 특성 및 고려사항 11

2.1. 프레임 12

2.2. 사운드 20

2.3. 편집 23

3. 『그림자 밟기』 시나리오 분석 33

3.1. 주제 분석 34

3.2. 장면 분석 40

3.3. 인물분석 및 구축 44

3.4. 대사(beats) 분석 50

4. 연기창조의 실제 60

4.1. 주의집중의 범위의 활용을 통한 쇼트 사이즈의 적응 60

4.2. 텍스트의 신체적 악보화 66

4.3. 거울 기능으로서의 신체 69

4.4. 교감을 위한 즉흥연습 74

5. 결론 84

참고문헌 86

ABSTRACT 90

부록 92

〈표 1〉 [제목없음] 28

〈표 2〉 [제목없음] 42

〈표 3〉 [제목없음] 55

〈표 4〉 [제목없음] 61

〈그림 1〉 [제목없음] 38

〈그림 2〉 [제목없음] 80

〈그림 3〉 [제목없음] 80

〈그림 4〉 [제목없음] 80

사진 1. 『Love Actually』, dir. Richard Curtis, (2003) 13

사진 2. 『Love Actually』, dir. Richard Curtis, (2003) 14

사진 3.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15

사진 4. [제목없음] 16

사진 5.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18

사진 6.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18

사진 7. 『The Hours』, dir. Stephen Daldry, (2003) 19

사진 8.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19

사진 9. 『Gladiator』, dir. Ridley Scott, (2000) 20

사진 10. 『Gladiator』, dir. Ridley Scott, (2000) 20

사진 11.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22

사진 12. 『Oktiabr』, dir. Sergei Mikhailovich Eizenshtein, (1928) 26

사진 13. 『Oktiabr』, dir. Sergei Mikhailovich Eizenshtein, (1928) 26

사진 14. 『Mother』, dir. Vsevolod I. Pudovkin, (1926) 27

사진 15. 『Mother』, dir. Vsevolod I. Pudovkin, (1926) 27

사진 16. 『Mother』, dir. Vsevolod I. Pudovkin, (1926) 27

사진 17.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28

사진 18.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28

사진 19.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29

사진 20.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30

사진 21.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31

사진 22.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32

사진 23.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32

사진 24.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46

사진 25.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47

사진 26.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65

사진 27.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65

사진 28.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68

사진 29.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69

사진 30.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71

사진 31.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71

사진 32.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72

사진 33.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79

사진 34.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81

사진 35.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81

사진 36. 『그림자 밟기』, dir. 김종규, (2011) 82

초록보기

This thesis is to study a practical acting approach to movie acting based on media characteristics of it in terms of creating a role by myself.

I attempt to analyze previous studies of media acting theses including movies, decide availabilities and limitation of them, and find new ways of acting methods which are available for theatre and movi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character, Minkyu of 'Shadow Treading'.

I realize beginning movie actors experience difficulties while acting in it including myself and the importance of media characteristics of movies for their acting. I divide them as frame, sound, and edit in terms of technical factors which involve with movie acting closely for studying how they affects its acting while participating in the above mentioned movie. I also describe analyzing a scenario, a practical process of creating a character later: when analyzing the scenario, I divided it as theme, scenes, characters, objectives of units, and building a character. I also attached interviews with the director, writer, and actors through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When creating the character, Minkyu, I apply several previous acting methods such as adaption to the size of shots using the way of a circle of attention, creating a score of physical action based on the scenario, using bodies as a mirror for inner monologue, improvisation for communion with other actors, to the process of building and creating the character.

Through the above mentioned process, I have found the availabilities and limitation of the previous methods and studies through the practical approaches to the movie acting. I believe this thesis could be helpful to beginning movie actors and experienced ones in terms of presenting practical approaches to movie acting by my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