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제1장 서론 1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1.3. 연구의 범위 13

제2장 기존 연구문헌 고찰 14

2.1. 주차장 관련 법규 14

2.1.1. 주차장에 관한 규칙 14

2.1.2. 도로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30

2.1.3. 주차장 관련 통계자료 33

2.2. 주차장에 관한 연구 34

2.2.1. 주차장 설계에 관한 연구 34

2.2.2. 주차장 분류에 관한 연구 35

2.2.3. 주차장 경사에 관한 연구 41

2.2.4. 주차장 설치 기준에 관한 연구 52

2.2.5. 주차형식에 관한 연구 53

2.2.6. 주차장 조명에 관한 연구 65

제3장 주차장 램프 형식 및 제원 산정 68

3.1. 방법론 68

3.2. 설문조사를 통한 주차장 램프 문제점 제시 69

3.3. 조사지점 선정 및 자료수집 73

3.3.1. 조사지점 선정 73

3.3.2. 주차장 램프 자료수집 74

3.4. 주차장 곡선부 램프 형식 및 제원 산정 77

3.4.1. 곡선부 설문조사 및 주행실험 개요 77

3.4.2. 곡선부 설문조사 및 주행실험 결과 83

3.4.3. 곡선부 램프 형식 및 제원 산정 90

3.5. 주차장 직선부 램프 형식 및 제원 산정 95

3.5.1. 직선부 주행실험 및 설문조사 개요 95

3.5.2. 직선부 주행실험 후 설문조사 결과 97

3.5.3. 직선부 램프 형식 및 제원 산정 101

3.6. 소결 104

제4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105

4.1. 결론 105

4.2. 향후 연구과제 106

참고문헌 107

부록 108

Abstract 126

표목차

【표 2.1】 주차장에 관한 법률 및 주요내용 15

【표 2.2】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주차장 설치기준의 변천 16

【표 2.3】 공동주택 주차장 설치기준의 변천 17

【표 2.4】 주차형식에 따른 차로의 너비 20

【표 2.5】 평행주차형식에 따른 주차구획 23

【표 2.6】 평행주차 외의 주차형식에 따른 주차구획 24

【표 2.7】 차로너비 규격의 변천 24

【표 2.8】 설계속도와 편경사에 따른 최소 평면곡선 반경 30

【표 2.9】 평면곡선부의 최대 편경사 30

【표 2.10】 설계속도에 따른 편경사 최대 접속설치율 31

【표 2.11】 편경사 접속설치길이의 보정계수 32

【표 2.12】 설계속도에 따른 최대 종단경사 32

【표 2.13】 설계속도에 따른 소형차도로의 최대 종단경사 33

【표 2.14】 주차장 확보율 34

【표 2.15】 주차장 증감율 34

【표 2.16】 주차장의 수용방식과 건물의 관계 42

【표 2.17】 중앙 경사로의 장/단점 43

【표 2.18】 측면 경사로의 장/단점 43

【표 2.19】 경사로 마감재료 52

【표 2.20】 설계기준 자동차의 종류별 제원 59

【표 2.21】 미국 AASHITO의 설계기준 자동차 60

【표 2.22】 자동차 주차장 표준제원 64

【표 2.23】 조도기준 65

【표 3.1】 설문 대상자 분류 69

【표 3.2】 곡선부 램프 형식과 제원 자료수집 75

【표 3.3】 직선부 램프 형식과 제원 자료수집 76

【표 3.4】 곡선부 설문 대상자 분류 77

【표 3.5】 시인성 설문조사 결과 83

【표 3.6】 안전성 설문조사 결과 85

【표 3.7】 곡선부 주행실험 후 설문조사 결과(15m) 88

【표 3.8】 곡선부 주행실험 후 설문조사 결과(20m) 89

【표 3.9】 곡선부 경사지점별 주행실험 자료수 92

【표 3.10】 곡선부 경사지점별 주행실험 결과(15m) 93

【표 3.11】 곡선부 경사지점별 주행실험 결과(20m) 93

【표 3.12】 직선부 주행실험 후 설문조사 결과(20m) 98

【표 3.13】 직선부 주행실험 후 설문조사 결과(25m) 99

【표 3.14】 직선부 주행실험 후 설문조사 결과(30m) 100

【표 3.15】 직선부 경사지점별 주행실험 자료수 101

【표 3.16】 직선부 경사지점별 주행실험 결과(20m) 101

【표 3.17】 직선부 경사지점별 주행실험 결과(25m) 101

【표 3.18】 직선부 경사지점별 주행실험 결과(30m) 102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수행 흐름도 12

【그림 1.2】 조사지점 13

【그림 2.1】 주차형식별 차로너비 25

【그림 2.2】 차량치수 54

【그림 2.3】 폭 방향 주차단위구획 산정 55

【그림 2.4】 승용차 제원 59

【그림 2.5】 미국의 승용차 및 SUV 차량 제원 59

【그림 2.6】 영국의 승용차 제원 61

【그림 2.7】 계획주차 깊이 63

【그림 3.1】 연구의 세부적인 방법론 68

【그림 3.2】 설문 대상자 특성 분포 70

【그림 3.3】 주차장 램프 설문지 71

【그림 3.4】 주차장 램프 문제점 설문조사 결과 72

【그림 3.5】 현장조사 지점 73

【그림 3.6】 주차장 램프 종류 74

【그림 3.7】 주차장 램프 현장조사 장비 74

【그림 3.8】 곡선부 설문 대상자 특성 분포 78

【그림 3.9】 시인성에 대한 곡선부 램프 쌍대비교 설문지 79

【그림 3.10】 안전성에 대한 곡선부 램프 쌍대비교 설문지 80

【그림 3.11】 곡선부 주행실험 시나리오 81

【그림 3.12】 곡선부 램프 주행실험 후 설문지 82

【그림 3.13】 일방향+시계반향 vs 일방향+반시계방향 시인성 비교 84

【그림 3.14】 양방향+시계반향 vs 양방향+반시계방향 시인성 비교 84

【그림 3.15】 일방향+시계반향 vs 양방향+시계방향 시인성 비교 84

【그림 3.16】 일방향+반시계반향 vs 양방향+반시계방향 시인성 비교 84

【그림 3.17】 일방향+시계반향 vs 일방향+반시계방향 안전성 비교 86

【그림 3.18】 양방향+시계반향 vs 일방향+반시계방향 안전성 비교 86

【그림 3.19】 일방향+시계반향 vs 양방향+시계방향 안전성 비교 86

【그림 3.20】 일방향+반시계반향 vs 양방향+반시계방향 안전성 비교 86

【그림 3.21】 곡선부 주행실험 설문 대상자 특성 분포 87

【그림 3.22】 곡선부 램프 시인성 설문조사 비교·분석 결과 90

【그림 3.23】 곡선부 램프 안전성 설문조사 비교·분석 결과 91

【그림 3.24】 곡선부 램프 주행실험 후 설문결과 93

【그림 3.25】 직선부 주행실험 시나리오 95

【그림 3.26】 직선부 램프 주행실험 후 설문지 96

【그림 3.27】 직선부 주행실험 설문 대상자 특성 분포 97

【그림 3.28】 곡선부 램프 주행실험 후 설문결과 102

초록보기

 국내의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생활 활동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자동차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2011년 6월말을 기준으로 1,826만대를 넘어섰다.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수가 5,062만명과 비교하면, 자동차 1대당 주민등록인구수는 약 2.77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 수요가 많아 주택단지, 산업 및 상업단지 등 주차장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지만, 지상의 한정된 공간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주차장을 지하로 확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주차장법'에 의하면 주차장의 경사는 직선부 17%, 곡선부 14%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시행하고 있지만, 운전자가 주차장 램프 주행 중 멈춰선 경우에는 운전자 안전에 대해 위험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주차장 램프에 대해 운전자 안전성측면에서 적합한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주차장 램프 형식을 곡선부와 직선부로 분류하고, 경사별, 경사거리별, 방향별, 경사거리에 따른 지점별 등을 고려하여 주행실험 후 설문조사를 통해 주차장 램프 형식 및 제원을 산정하고자 한다. 산정한 결과, 곡선부는 반시계방향, 최대 경사 12%권유하며, 직선부의 경우 최대 경사는 13 ~ 14%로 분석되어 15% 이상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차장 램프 형식 및 제원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주차장관련 기준 정립은 물론, 주차장관련 사업 추진 시 비용·효율적인 교통안전 개선대안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내자동차회사 홈페이지 참조, 2007. 미소장
2 국토해양부, “도로의 구조 •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2009. 미소장
3 국토해양부, “주차장법 시행규칙”, 2010. 미소장
4 국토해양부 통계자료, 2011. 미소장
5 “주차장 계획과 설계”, 산업도서출판공사, 2004. 미소장
6 “건물부설 주차장 설치기준의 개선방향에 대한 고찰”, 연구논집, Vol.13 No.- 1995. 미소장
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brasion Resistance of Surface Finishing Material for Parking Slab 소장
8 Estimation of Parking Requirements of an Apartment 소장
9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2007년 9월호 목차 네이버 미소장
10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상부구조 형식 분석연구”한국건축시공학회지 , Vol.3 No.2, 2003. 미소장
11 A Study on the Selection Method of Foundation Type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Apartments 소장
12 Improvement of Underground Parking Garages Lighting in Residential Areas 네이버 미소장
13 “주차장의 계획과 설계”, 도서출판건설도서, 2004. 미소장
14 Withford Parking lot design standards, Traffic Quarterly, July. ENO Foundation for Transportation, 197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