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제I장 서론 15
1. 연구배경 및 목적 15
2. 연구대상과 범위 19
3. 연구방법 및 내용 21
제II장 인도 스투파의 상징과 발전 23
1. 초기 불교스투파의 어원과 상징 25
1.1. 스투파의 기원 25
1.2. 스투파의 어원 34
1.3. 스투파의 상징 42
2. 스투파의 구성요소 52
3. 스투파의 기능과 유형 71
제III장 봉헌스투파 유형과 사원의 시대구분 74
1. 봉헌스투파와 Relief stupa 유형 74
2. 일반사원의 스투파 조영과 시대구분 86
3. 석굴사원의 스투파 조영과 시대구분 93
제IV장 인도의 Relief stupa 100
1. 일반사원의 Relief stupa 100
1.1. 바르후트 탑문과 마투라지역 100
1.2. 산치스투파 탑문과 난간 113
1.3. 아마라바티 126
1.4. 나가르주나콘다 134
1.5. 간다라지방 142
1.6. 보드가야(高塔形) 155
1.7. 소결 163
2. 석굴사원의 Relief stupa 169
2.1. 초기 석굴사원 169
2.2. 후기 석굴사원 196
2.3. 소결 208
제V장 Relief stupa의 발전과 초기 Stupa 형식 213
1. Relief stupa의 발전과 의미 213
2. Relief stupa의 형식 219
제VI장 결론 234
참고문헌 240
Abstract 250
〈도판1〉 인도의 주요 불교유적과 석굴사원 20
〈도판2〉 Peter Brughel, "The Tower of Babel"(Vienna, Austria, 1563) 26
〈도판3〉 바빌론, 마르투크의 지구라트(P. 슈파머, 1880) 26
〈도판4〉 stupa의 시원적 형태 27
〈도판5〉 페니키아의 암리트 墓 27
〈도판6〉 실이 있는 성소, Madras 30
〈도판7〉 길림성 집안현의 장군총 33
〈도판8〉 제주도 삼석총 33
〈도판9〉 스투파의 우주목 표현 35
〈도판10〉 바이샬리의 Kesaria 발우탑 37
〈도판11〉 공간축(skambha)의 구성개념 44
〈도판12〉 Vidisha, Udayagiri 4굴의 linga(이미지참조) 45
〈도판13〉 중국의 오래된 만다라 드로잉(9~10C) 51
〈도판14〉 산치대탑 입면도 53
〈도판15〉 산치스투파 원도면(일본학자) 55
〈도판16〉 산치스투파 제3스투파의 복발과 난간 56
〈도판17〉 우주목사상이 적용된 세계 58
〈도판18〉 베드사석굴 하미카와 연꽃(우주목) 59
〈도판19〉 바자석굴 외부 스투파의 하미카 60
〈도판20〉 현대 의식용 일산, Domed Type, madras 61
〈도판21〉 카를라 차이티야 스투파의 나무 산개 62
〈도판22〉 바르후트스투파 기둥의 우주목 숭배 부조 63
〈도판23〉 내소사의 당산나무 63
〈도판24〉 산치1탑 탑돌이길과 난간, 계단, 탑문 65
〈도판25〉 다메크 스투파 탑돌이 66
〈도판26〉 산치 제3스투파의 난간 속석 69
〈도판27〉 산치 제1스투파 북문 69
〈도판28〉 탑문의 상징적 도상 70
〈도판29〉 마하보디 봉헌스투파 77
〈도판30〉 아잔타 26굴 차이티야 스투파 80
〈도판31〉 담나르 비하라 3굴 스투파 80
〈도판32〉 로리얀탕가이 봉헌스투파 83
〈도판33〉 중국 북량석탑 83
〈도판34〉 피프라와 스투파 출토 滑石製舍利器 84
〈도판35〉 불국사석가탑 금동제장방형사리합 85
〈도판36〉 간다라의 불좌상이 표현된 코린트식 주두, 2~3세기 89
〈도판37〉 아잔타 차이티야 26굴 중심스투파(5세기) 95
〈도판38〉 아잔타 비하라 12굴 96
〈도판39〉 차이티야 발전평면도, 로마스리시, 콘디비테, 바자 96
〈도판40〉 비하라 발전평면도, 바자, 나식 97
〈도판41〉 바르후트 스투파 전경 100
〈도판42〉 바르후트의 탑문과 난간 101
〈도판43〉 바르후트의 보리수 숭배, B.C.2세기 101
〈도판44〉 바르후트 Relief stupa 102
〈도판45〉 바르후트 벽면부조 105
〈도판46〉 바르후트 탑문부조 107
〈도판47〉 바르후트 공양부조, A.D. 2세기 후반 108
〈도판48〉 마투라, 난간 Relief stupa 110
〈도판49〉 자이나교 Relief stupa, 마투라, 1세기 111
〈도판50〉 자이나교의 스투파 공양부조 112
〈도판51〉 산치 전경 제1, 3스투파 113
〈도판52〉 산치 제1스투파 북문 114
〈도판53〉 산치 제3스투파와 탑문 116
〈도판54〉 산치 제2스투파 난간부조 116
〈도판55〉 코끼리의 스투파 예배 117
〈도판56〉 드럼의 생략, 5개의 산개 117
〈도판57〉 산치 제3스투파의 난간과 부조 119
〈도판58〉 제1스투파 탑문의 만개한 꽃항아리 부조 120
〈도판59〉 산치 제1스투파 동문 부조, 5개의 3층 산개 121
〈도판60〉 준나르 시브네리 Relief stupa 121
〈도판61〉 산치 제1스투파 동문전면의 과거칠불 Relief stupa와 보리수 122
〈도판62〉 산치 제1스투파 동문배면의 과거칠불과 보리수 123
〈도판63〉 엘로라 12굴 과거칠불 123
〈도판64〉 산치 봉헌스투파 125
〈도판65〉 산치 불전부조 125
〈도판66〉 아마라바티 사원 스투파 전경 126
〈도판67〉 아마라바티 복원도 126
〈도판68〉 아마라바티 난간기둥, 무불상 표현의 깨달음, 출성, 최초 설법 장면 127
〈도판69〉 아마라바티 Relief stupa 128
〈도판70〉 아마라바티 코끼리의 스투파 예배 130
〈도판71〉 아마라바티 봉헌용 Relief stupa 131
〈도판72〉 아마라바티 Relief stupa 131
〈도판73〉 아마라바티 석판부조 132
〈도판74〉 판둘레나 10굴 불전부조 133
〈도판75〉 아마라바티 용왕호탑, 2세기 134
〈도판76〉 나가르주나콘다 쌍 차이티야 불전 135
〈도판77〉 나가르주나콘다 제9스투파 기단구조 135
〈도판78〉 나가르주나콘다 석판부조 136
〈도판79〉 나가르주나콘다 석판부조 136
〈도판80〉 산치 탑문의 하미카와 드럼이 없는 스투파 137
〈도판81〉 나가르주나콘다 Relief stupa 139
〈도판82〉 스투파 장식 부조 140
〈도판83〉 스투파 장식 부조 세부 141
〈도판84〉 나가르주나콘다의 붓다 생애 중 세 장면 상징 141
〈도판85〉 소형스투파로 둘러싸인 달마라지카 대스투파 142
〈도판86〉 원형기단의 마니키알라 대스투파 143
〈도판87〉 Ali Masjid 출토 소형 스투파 144
〈도판88〉 모라모라두(Mohra Moradu) 봉헌스투파 144
〈도판89〉 칠라스 암각 Relief stupa 147
〈도판90〉 대구 안양리 마애구층탑 148
〈도판91〉 파키스탄 카라코룸 고속도로 4기의 스투파 150
〈도판92〉 스와트 출토 탑돌이 공양도 151
〈도판93〉 니모그램 출토 방형기단사리기 153
〈도판94〉 간다라 사리기 153
〈도판95〉 금동보륜탑형사리기 153
〈도판96〉 간다라 기탑 부조 154
〈도판97〉 붓카라 제3유적지 출토 스투파 공양도 154
〈도판98〉 현 마하보디 대스투파 전경 156
〈도판99〉 19세기 마하보디 대스투파 모사도 156
〈도판100〉 비타르가온 벽돌사원, 5세기 중엽 157
〈도판101〉 데오가르의 비슈누 사원, 500년경 157
〈도판102〉 마하보디 테라코타 인장 159
〈도판103〉 쿰라하르 출토 점토제 Relief stupa 160
〈도판104〉 날란다사원 봉헌판 161
〈도판105〉 간다라 불전부조 161
〈도판106〉 스리랑카 Sat mahal pasada, 12세기(이미지참조) 162
〈도판107〉 자바의 보로부두르 대스투파 163
〈도판108〉 로마스리시 전경 169
〈도판109〉 수마다석굴 입면도와 평면도 170
〈도판110〉 로마스리시 Relief stupa 170
〈도판111〉 군투팔리석굴 평면도 172
〈도판112〉 콘디비테 차이티야 원당후실 173
〈도판113〉 콘디비테 Relief stupa 173
〈도판114〉 콘디비테 1굴의 승원굴 Relief stupa 173
〈도판115〉 바자19굴 입구 상부의 Relief stupa 175
〈도판116〉 콘다네 차이티야와 비하라굴 175
〈도판117〉 콘다네 비하라굴 광장의 열주와 승방 176
〈도판118〉 콘다네 비하라 Relief stupa 177
〈도판119〉 콘다네 비하라 Relief stupa의 상부구조 177
〈도판120〉 판둘레나 18굴 차이티야 스투파 179
〈도판121〉 판둘레나 비하라 3굴 내부 Relief stupa 179
〈도판122〉 비하라 3굴 상부 180
〈도판123〉 판둘레나 비하라 10굴 스투파 180
〈도판124〉 판둘레나 차이티야 18굴 전면 181
〈도판125〉 아우랑가바드 차이티야 182
〈도판126〉 아우랑가바드 차이티야 입구 부조 182
〈도판127〉 투르쟈 40굴 차이티야 전면 facade 183
〈도판128〉 투르쟈 비하라 45굴 상부 183
〈도판129〉 비하라 28굴, 29굴 벽면의 난간세부 184
〈도판130〉 시브네리 비하라 내부 Relief stupa 186
〈도판131〉 시브네리 비하라 외벽 Relief stupa 186
〈도판132〉 아잔타석굴 전경 187
〈도판133〉 차이티야 9굴 정면 Relief stupa 189
〈도판134〉 아잔타 차이티야 9굴 스투파 189
〈도판135〉 아잔타 9굴 입구의 Relief stupa 189
〈도판136〉 칸헤리 차이티야 3굴 전면 190
〈도판137〉 칸헤리 차이티야 3굴 스투파 191
〈도판138〉 칸헤리 3굴 Relief stupa 191
〈도판139〉 칸헤리 3굴 열주 주두부분 보리수 예배 192
〈도판140〉 쿠다 6굴 부조 불전과 스투파 193
〈도판141〉 카를라 차이티야 3굴 열주 194
〈도판142〉 카를라 차이티야 스투파 194
〈도판143〉 아잔타 비하라 1굴 회랑열주 상부의 Relief stupa 198
〈도판144〉 아잔타 차이티야 19굴 중심 스투파 198
〈도판145〉 아잔타 차이티야 19굴 정면 Relief stupa 199
〈도판146〉 아잔타 19굴 Relief stupa 199
〈도판147〉 피탈코라 차이티야 스투파 벽화 200
〈도판148〉 로리얀 탕가이 청동스투파 200
〈도판149〉 아잔타 26굴 정면 Relief stupa 201
〈도판150〉 칸헤리 90굴 불설법도 203
〈도판151〉 담나르 차이티야 12굴 중심스투파 204
〈도판152〉 바그 1굴 스투파 204
〈도판153〉 담나르 12굴 비하라 스투파 206
〈도판154〉 담나르 5굴 굴감 206
〈도판155〉 담나르 11굴, 12굴 전경 206
〈도판156〉 담나르 12굴 전면 입구 207
〈도판157〉 담나르 12굴 투조형 부조 207
〈도판158〉 산치 제1스투파 탑문의 약시상 215
〈도판159〉 부다가야 마하보디 사원의 불족적 217
〈도판160〉 산치 북문 기둥, 죽림정사의 설법 217
인도 스투파는 B.C 5세기 붓다입멸 이후 불교에서 본격적으로 상징적 조형물의 하나로 조영되기 시작했다. 스투파는 본질적인 성격에서 붓다의 신골을 매장한 불교 조형물로 인식되며, 교리와 사상의 중심이 된다. 불교 스투파는 최초 8분된 근본 스투파 조영을 시작으로, 교세의 확장에 따라 인도 전역을 비롯해 주변국과 극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치면서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한다. 그러나 인도의 초기 스투파는 대부분 파괴되고 마멸되어 남아있는 유구가 적어 그 형식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존하는 대표적인 스투파는 산치를 들 수 있다. 산치스투파는 B.C 3세기부터 조영되었으나 지속적인 개보수와 확장으로 인해 최초 형식을 보기 어렵다. 또한 이는 인도에 남아있는 사원과 석굴사원, 그리고 다수의 스투파에서도 유사한 실정으로 대부분 파괴되어 완전한 형식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인도 시원 스투파와 초기 형식은 불교 자체적으로 발전된 조형물이 아니었다. 즉 스투파는 불교에서 교리와 교단을 형성하면서 재래의 브라만교와 전통사상, 민간신앙을 자체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이러한 전통신앙과 건축형식은 불교 스투파 조영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면서 불교화되어 표현된다. 그러므로 불교 스투파는 본질적으로 고대 사상과 신앙, 그리고 건축형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인도 스투파의 상징요소와 발전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인도 스투파는 고대 사상의 함축적 의미가 반영되어 조영된 것으로, 이를 통해 각각의 스투파와 구성요소에서 상징하는 의미와 변화·적용되는 계통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불교에서의 최초 스투파 조영과 유사한 시기에 조영된 Relief stupa를 통해 초기 스투파 유형과 형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인도 전역에 산재하고 있는 폐사지와 단편적으로 발굴된 Relief stupa가 된다. Relief stupa는 초기의 스투파 조영과 동시에 조영되었으며, 그 형식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방대한 지역에 남아있는 각 사원의 Relief stupa는 인도 스투파의 초기 형식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그간의 인도 Relief stupa는 스투파 연구자들에 의해 단편적으로 언급되고 있어, 초기 형식 이해를 위한 통합적인 분석이 필요했다.
Relief stupa는 형식적 분류에서 스투파가 조영되는 지역, 시대, 양식, 조성위치에 따라 크게 일반사원형과 석굴사원형으로 대분된다. 먼저 일반사원형은 석굴사원을 제외한 모든 사원으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형식적인 차이가 있고 발전양상이 뚜렷하게 보이는 특징이다. 바르후트와 산치를 대표하는 최초기 스투파 형식에서는 복발형 스투파가 중심이 되며, 점차 장식적인 경향이 커지고 기단과 상부구조가 발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형식은 Relief stupa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어 나타난다. Relief stupa의 형식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되는데 하나는 일반사원형이며, 다른 하나는 순수 봉헌용이다. 이 두 유형은 조영자와 봉헌 의도에 의한 차이이다. 즉 일반사원형은 사원에 조영된 스투파 전경을 묘사한 것이며, 순수 봉헌용은 재가신자와 승단에서 공양의 하나로 부가된 것이다. 이들은 표현방법에서 서로 구분이 되는데, 드럼의 유무, 하미카 형식에 따라 조형방식이 달라진다. 그리고 이러한 Relief stupa 형식은 남인도의 아마라바티, 나가르주나콘다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남인도 지역의 스투파는 최초 조영보다 시기적으로 후대에 조영된 것으로, 초기 형식을 유지하면서 점차 새로운 형식인 간다라 양식이 적용된다. 특징적인 표현으로는 번다해진 장식과 함께 아야카와 불감이 조성되면서 불상이 본격적으로 묘사되는 특징이다. 반면 간다라 형식에서는 조금 다른 면모를 보인다. 간다라 Relief stupa는 초기 스투파 형식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발전하나 점차 외부 문화요소가 가미되면서 고층화, 세장화를 보이는 특징이다. 후기 스투파 형식인 고탑형 스투파가 발달하는 북인도에서는 일반건축과 힌두사원 건축형식이 반영되면서 하부에 건축형식의 구조가 적용된다. 그리고 스투파 구성요소는 점차 상부의 상징적 구조물이 되고 하부구조에서 불상이 안치된 불전이 표현된다. 이는 극동아시아 고층형 불탑형식과 유사함을 보이는 것이다.
석굴사원의 Relief stupa는 일반사원 형식과 어느 정도 유사한 전개를 보이나, 사원의 조성배경과 성격에 의해 표현에서 차이를 보인다. 석굴사원에 부가된 Relief stupa 유형은 전반적으로 순수 봉헌용이라 할 수 있다. 다수의 차이티야 스투파는 일반적으로 기념비이자 봉헌스투파로 분류되므로 본질적으로 사리를 내포하지 않은 특징이다. 그리고 석굴사원의 Relief stupa는 차이티야 스투파 형식과 유사한 형식으로 조각되었다. 즉 차이티야 스투파의 형태적인 특징은 복발과 낮은 드럼, 층단 내민 하미카라 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부조에서 이 형식을 따르고 있다. 그러면서 간다라의 형식이 반영되면서 스투파는 점차 여러 개의 단과 방형기단, 그리고 감실과 불상이 부가된다. 이 형식적 경향은 2~3세기의 침체기를 거쳐 후기 석굴사원으로 이어진다. 후기 석굴사원은 초기의 스투파형식이 지속적으로 발전되었으나, Relief stupa의 조영위치와 의미하는 바에서 차이를 보인다. 즉 전기 석굴사원 Relief stupa 유형이 스투파 전경묘사와 순수 봉헌된 것이었다면, 후기 석굴사원에서는 단순 장식적인 요소가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대승불교와 밀교가 유행하면서 교리적인 변화와 함께 스투파의 중요도가 점차 약화된 것이다.
이상의 스투파와 Relief stupa유형 분석은 자체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상징과 의미와 함께 형식적 변화과정에 대해 세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인도 스투파는 본질적으로 고대 사상과 전통이 불교의 조형물로 반영된 것으로 시대별, 양식별 전개에 따라 그 변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은 스투파의 구성요소에 대한 원리와 적용과정을 이해하는 중요 자료가 된다. 나아가 한국 불탑 연구에 있어 인도 스투파와 직·간접적인 영향과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三國史記 | 미소장 |
2 | 三國遺事 | 미소장 |
3 | 妙法蓮華經 | 미소장 |
4 | 法苑珠林 | 미소장 |
5 | 大唐西域記 | 미소장 |
6 | 高麗史節要 | 미소장 |
7 | 伽山 佛敎大辭林,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 미소장 |
8 | 한국 불교의 舍利莊嚴, 열화당, 1993 | 미소장 |
9 | 法空과 莊嚴, 열화당, 2000 | 미소장 |
10 | 圓融과 造化, 열화당, 2004 | 미소장 |
11 | 불교조각Ⅰ, Ⅱ, 솔, 2005 | 미소장 |
12 | 탑, 솔, 2007 | 미소장 |
13 | 동아시아 불교미술 연구의 새로운 모색-불교미술 속의 여성과 내세, 학연문화사, 2011 | 미소장 |
14 | 관음과 미륵의 도상학, 학연문화사, 2006 | 미소장 |
15 | 경전연구모임 편, 조탑공덕경 외, 불교시대사, 1995 | 미소장 |
16 | 한국건축미술사 초고, 대원사, 1999 | 미소장 |
17 | 朝鮮塔婆의 硏究, 上下, 열화당, 2010 | 미소장 |
18 | 교양교재 편찬위원회, 불교문화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3 | 미소장 |
19 | 중국의 불교미술-후한시대에서 원시대까지,SigongArt, 2009 | 미소장 |
20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南山, 2000 | 미소장 |
21 | 국립문화재연구소, 오구라 컬렉션 한국문화재, 미술문화, 2005 | 미소장 |
22 | 국립문화재연구소, 법주사 팔상전(수리공사보고서), 서울인쇄공업협동조합, 1998 | 미소장 |
23 | 국립중앙박물관, 북녘의 문화유산, (주)도서출판 삼인, 2006 | 미소장 |
24 | 국립중앙박물관,불사리장엄, 김문사, 1991 | 미소장 |
25 | 국립중앙박물관, 실크로드와 둔황-혜초와 함께하는 서역기행, 넥스트프레스, 2010 | 미소장 |
26 |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中國의 石窟- 雲岡, 龍門, 天龍山石窟, 삼우아트, 2003 | 미소장 |
27 | 국사편찬위원회, 불교미술, 상징과 염원의 세계, 두산동아, 2007 | 미소장 |
28 | 佛敎大辭典, 弘法院, 2011 | 미소장 |
29 | 한국불교미술사, 미진사, 2011 | 미소장 |
30 | 불교건축, 솔, 2008 | 미소장 |
31 | 중국불교의 여로 上下, 민족문화,1990 | 미소장 |
32 | 한글대장경-法苑珠林 2, 3券, 동국역경원, 2003 | 미소장 |
33 | 탑과 사방불, 화인재, 1995 | 미소장 |
34 | 한국미술의 역사, SigongArt, 2008 | 미소장 |
35 |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불화, 돌베개, 2009 | 미소장 |
36 | 중국 한국미술사, 학고재, 2009 | 미소장 |
37 | 한국석탑 장엄조식, 한국학술정보(주), 2008 | 미소장 |
38 | 한국의 미술 2-탑, (주)바른손, 1982 | 미소장 |
39 | 한국의 미를 다시 읽는다, 돌베개, 2008 | 미소장 |
40 | 실크로드 미술-중앙아시아에서 한국까지, 열화당, 2004 | 미소장 |
41 | 한국 고대 목탑의 구조와 의장-黃龍寺 九層塔, 미술문화, 2006 | 미소장 |
42 | 불교입문, 우리출판사, 2000 | 미소장 |
43 | 티베트 밀교 개론, 불광출판사, 2010 | 미소장 |
44 | 부처님의 향훈을 따라가는 불교성지순례-인도, 네팔, Eastward, 2010 | 미소장 |
45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불교문화, 조계종출판사, 2008 | 미소장 |
46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불교입문, 조계종출판사, 2011 | 미소장 |
47 | 동국대학교, 中國大陸의 文化5-雲岡石窟,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991 | 미소장 |
48 | 동국대학교,실크로드의 문화 3, 4,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993 | 미소장 |
49 | 동국불교미술인회, 알기 쉬운 불교미술, 도서출판 반, 1998 | 미소장 |
50 | 불교미술, 예경, 2007 | 미소장 |
51 | India, 고대 문명의 역사와 보물, 생각의 나무, 2007 | 미소장 |
52 | 중국미술사, 예경, 2009 | 미소장 |
53 | 중국 불교석굴, 다할미디어, 2006 | 미소장 |
54 | 東洋美術史, 예경, 2009 | 미소장 |
55 | 사찰 어느 것도 그냥 있는 것이 아니다, 조계종출판사, 2009 | 미소장 |
56 | 한국불교미술의 형식, 한·언, 2009 | 미소장 |
57 | 인도미술사, 다할미디어, 2006 | 미소장 |
58 | 한국의 석탑, 학연문화사, 2008 | 미소장 |
59 | 당대 불교조각 | 소장 |
60 | 부처님의 발자취를 따라, 정토출판, 2010 | 미소장 |
61 | 동서미술론, 열화당, 2008 | 미소장 |
62 | 인도미술사, 예경, 2004 | 미소장 |
63 | 불교신문사, 세계의 불교미술, 1988 | 미소장 |
64 | 인도미술, 한길아트, 2001 | 미소장 |
65 | 朝鮮美術史, 열화당, 2003 | 미소장 |
66 | 洛陽伽藍記, 눌와, 2001 | 미소장 |
67 | 中國石窟과 文化藝術 上下, 景仁文化社, 1996 | 미소장 |
68 | 中國古代建築史, 世進社, 1995 | 미소장 |
69 | 印度의 建築,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미소장 |
70 | 서양건축사, 동명사, 1993 | 미소장 |
71 | 韓國建築史, 東明社, 1973 | 미소장 |
72 | 文化財解說, 塔婆, 백산출판사, 1991 | 미소장 |
73 | 동양미술사, 하권(인도, 서역, 동남아시아), 미진사, 2009 | 미소장 |
74 | 예술과 환영, 열화당, 2008 | 미소장 |
75 | 인도의 불교미술, 한국국제교류재단, 2006 | 미소장 |
76 | 한국의 마애불, 다른세상, 2001 | 미소장 |
77 | 中國建築槪說, 泰林文化史, 1990 | 미소장 |
78 | 나무의 신화, 이학사, 1998 | 미소장 |
79 | 한국건축대계 Ⅶ, 石造, 보성각, 2010 | 미소장 |
80 | 한국 불교미술 연구, SigongArt, 2009 | 미소장 |
81 | 新羅 石塔硏究 | 소장 |
82 | 중국과 한국의 불교건축, 빛과글, 2005 | 미소장 |
83 | 한국의 미-石塔, 중앙일보, 동양방송, 1980 | 미소장 |
84 | 한국의 석조미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 미소장 |
85 |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 미소장 |
86 | 國寶 9(工藝Ⅰ), 國寶 12(塔婆Ⅱ), 藝耕産業社, 1983 | 미소장 |
87 | 전탑, 대원사, 2002 | 미소장 |
88 | 백제계석탑 연구, 전남대학교출판부, 2000 | 미소장 |
89 | 돈황석굴, 개마고원, 2000 | 미소장 |
90 | 동양미학, 열화당, 2002 | 미소장 |
91 | 동양미술사, 상권(중국), 미진사, 2009 | 미소장 |
92 | 사찰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돌베개, 2010 | 미소장 |
93 | 대당서역기, 서해문집, 2006 | 미소장 |
94 | 妙法蓮華經, 「見寶塔品 第11」, 민족사, 2006 | 미소장 |
95 | 불탑과 불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 미소장 |
96 | 石窟庵, 藝耕産業社, 1989 | 미소장 |
97 | Bhilsa Topes, London, 1854 ; Indological Book House, Nepali khapra, Varanasi, 1966 | 미소장 |
98 | Mahabodhi or The Great Buddhist Temple under the Bodhi tree at Buddha-Gaya, London, W.H. Allen & Cl., Limited, 13, Waterloo Place, S.W., 1892 | 미소장 |
99 | The Stupa of Bharhut, London: W.H.Allen, 1879 | 미소장 |
100 | The Symbolism of the Stupa, Delhi, Motilal Ban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 미소장 |
101 | the Stupa, Aravali Books International, New Delhi, 1997 | 미소장 |
102 | The Stupa its religious,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Significance, Franz Steiner Verlag, Wiesbaden, 1980 | 미소장 |
103 | The History of Architecture in India, Phaidon Press Limited, London, 2002 | 미소장 |
104 | Monuments of India, Viking-Published By the PenguinGroup, London, 1989 | 미소장 |
105 | Vedic Chandra Culture and Stupa, Handbook of Indian Art, 1920 | 미소장 |
106 | History of Indian and Eastern Architecture, John Murray, Albemarle Street, 1891 | 미소장 |
107 | A Guide to Sāňchi, Delhi, Manager of Publications, 1936 | 미소장 |
108 | The Buddhist Art of Gandhara, University Press, Cambridge, Great Britain, 1960 | 미소장 |
109 | Psycho-cosmic Symbolism of the Buddhist Stupa, USA, Dharma Publishing, 1976 | 미소장 |
110 | Ancient Pagodas in China, Foreign Languages Press, Beijing, 1994 | 미소장 |
111 | Oriental Architecture, Harry N. Abrams, Inc., Publishers, New York, 1973 | 미소장 |
112 | Traite d'Histoire des Religions, Paris, 1946 | 미소장 |
113 | Indian Architecture, Bombay, KUTUB Publishers, 1954 | 미소장 |
114 | Indian Architecture, Treasure House of Books, Bombay, D B. Taraporevala Sons & CO. Private LTD, 1956 | 미소장 |
115 | The Architecture of India, VIKAS Publishing House Pvt Ltd, New Delhi, 1980 | 미소장 |
116 | Masterpieces of Traditional Indian Architecture, Lustre Press Roli Books, India, 2004 | 미소장 |
117 | Indian Art, Prithivi Prakashan Varanasi-5, India, 1965 | 미소장 |
118 | The Buddhist Art in Xinjiang along the Silk Road, 新疆大學出版社,2006 | 미소장 |
119 | 中國古塔, 中國靑年出版社, 北京, 1985 | 미소장 |
120 | 敦煌硏究院, 中國 敦煌, 江蘇美術出版社, 2000 | 미소장 |
121 | 世界文化遺産-敦煌石窟, 中國旅遊出版社, 北京, 2004 | 미소장 |
122 | 龍門文物保管所, 中國石窟-龍門石窟 一,二, 文物出版社, 1992 | 미소장 |
123 | 龍門石窟硏究所, 龍門石窟 硏究論文選, 上海人民美術出版社, 1993 | 미소장 |
124 | 龍門石窟硏究院, 龍門石窟硏究院論文選, 中州古籍出版社, 2004 | 미소장 |
125 | 中國古代建築史 第二版, 國家建委建築科學硏究院, 1978 | 미소장 |
126 | 龍門石窟 一千五百周年 國際學術討論會論文集, 文物出版社, 1993 | 미소장 |
127 | 雲岡, 文物出版社, 2000 | 미소장 |
128 | 中國古塔精萃, 科學出版社, 北京, 1988 | 미소장 |
129 | 中國佛塔史, 科學出版社, 北京, 2005 | 미소장 |
130 | 朝鮮の石塔, 民族文化, 1987 | 미소장 |
131 | 樋口隆康, 世界の大遺跡 7, 8, 講談社, 1996 | 미소장 |
132 | 建築學大系 4, 彰國社, 1972 | 미소장 |
133 | 韓國 古代 木塔의 構造 및 意匠에 관한 硏究 ![]() |
미소장 |
134 | 불교경전과 만다라에 나타난 다보탑의 조영특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135 | 신라시대 가람의 구성원리와 밀교적 상관관계 연구 | 소장 |
136 | 「6∼9세기 신라목탑 형태의 변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미소장 |
137 | 북위불교와 석굴조영 연구 | 소장 |
138 | 경주 남산 탑곡마애조상군 연구 | 소장 |
139 | 「인도밀교에 관한 연구-Tantrism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미소장 |
140 | 「삼국시대 토착신앙이 佛敎建築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5 | 미소장 |
141 | 韓國 塔婆 相輪部에 관한 硏究 | 소장 |
142 | 한국 마애불의 조형과 신앙 : 고려·조선을 중심으로 | 소장 |
143 | 百濟系 石塔의 造形特性과 變遷에 관한 연구 | 소장 |
144 | 統一新羅 佛舍利莊嚴 硏究 ![]() |
미소장 |
145 | 후기밀교에 나타난 만뜨라의 기능과 역할 : Hevajra-tantra를 중심으로 | 소장 |
146 | 「殷光明, 北京石塔硏究(覺風佛敎藝術文化基金會, 2000) 書評」, 중국사학회 Vol.31, 2004 | 미소장 |
147 | 北凉 石塔을 통해 본 交脚彌勒 圖像의 傳來 | 소장 |
148 | '석굴' 패러다임과 석굴암 | 소장 |
149 | Sinicized Aspects of the Buddhist Art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 소장 |
150 | 新羅와 百濟의 交涉과 交流 : 6-7세기를 중심으로 | 소장 |
151 | 慶州 南山 塔谷彫像群에 대하여 | 소장 |
152 | Study on the Architectural Element of the Stupa in the Stura | 소장 |
153 | 한·중·일 다보탑의 특징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 소장 |
154 | 만다라도상체계에 의한 석굴암공간체계 분석 | 소장 |
155 | Comparative Study on the Silla and East Asian Buddhist Temple Plan based on the Concept of Defending the Nation in the 7th century. ![]() |
미소장 |
156 | 7·8세기 동아시아 2탑식가람의 생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 | 소장 |
157 | 四天王寺의 密敎的 特性에 關한 硏究 | 소장 |
158 | 「극동지역의 불탑형의 시원」,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Vol.3 No.2,1983. 10 | 미소장 |
159 | Yung Ning Ssu of the Northern Wei and the Buddhist Templ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Korea ![]() |
미소장 |
160 | Systematic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Meaning of Oriental Stupa Architecture ![]() |
미소장 |
161 | 중층형(重層形) 탑파(塔婆)의 기원 | 소장 |
162 | 신라시대 목탑의 전래에 관한 연구 : 찰주와 심초석을 중심으로 | 소장 |
163 | A Study on the Relief-Stupa in Flatland Temple in India | 소장 |
164 | 인도 평지사원 塔形浮彫 연구 | 소장 |
165 | Circumambulatory ceremony`s types and process on the Forklore | 소장 |
166 | 고대 한·일 양국의 불탑수용 | 소장 |
167 | 「高句麗 佛塔의 考察」, 역사교육논집 Vol.5 No.1, 1983 | 미소장 |
168 | 「카니시카탑 사리기 금동삼존불상과 간다라불상의 기원문제」, 강좌미술사Vol.23, 2004 | 미소장 |
169 | 「新羅四方佛의 起源과 神印寺(南山塔谷 磨崖佛)의 四方佛」, 한국사연구Vol.18, 1977 | 미소장 |
170 | 북위시대 용문석굴 개착에 나타난 신앙적 특색 | 소장 |
171 | 운강석굴을 통해 본 북위불교의 특징 - 담요오굴을 중심으로 - ![]() |
미소장 |
172 | 간다라 방형기단 불탑의 一考察 | 소장 |
173 | A Study on the Finial of Korean Stupa ![]() |
미소장 |
174 | 인도 초기불교미술의 佛像觀 | 소장 |
175 | 佛像의 起源 : 쟁점과 과제 | 소장 |
176 | 쿠마라스와미의 佛像起源論 ![]() |
미소장 |
177 | 충주지역 중앙탑돌이의 현상과 활용방안 | 소장 |
178 | The Interpreggtation of the Indian Stupa as Origin of Korean Pagoda | 소장 |
179 |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Buddhist Rock Cave Temples of India - in Relation with Hinduism, Jainism, Ajivika - | 소장 |
180 | Fundamental Examination and Renaming of the Terminology of the Buddhist Pagoda - Based upon Conversion from Indian Stupa into Korean Pagoda - | 소장 |
181 | 韓國과 中國의 塔婆形式에 관한 硏究.1,始原塔婆의 形式을 중심으로 | 소장 |
182 | 韓國과 中國의 塔婆形式에 관한 硏究,Ⅱ :初期塔婆의 類型을 中心으로 | 소장 |
183 | 「만다라의 의미와 형성」, 밀교세계 Vol.2, 2007 | 미소장 |
184 | 「인도 후기밀교의 만다라」, 밀교세계 Vol.2, 2007 | 미소장 |
185 | 석탑 탑구(塔區)의 역할 및 변천에 관한 연구 | 소장 |
186 | 中國의 阿育王塔 전승 연구 | 소장 |
187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의 硏究 | 소장 |
188 | 「韓國 古代 佛舍利莊嚴에 미친 중국의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235호, 200 | 미소장 |
189 | 「통일신라시대의 화장과 불교와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고찰-造寺, 造塔신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문화재 Vol.41 No.1, 2008 | 미소장 |
190 | Stupa in the Gandharan Region ![]() |
미소장 |
191 | Semantic Analysis of Indian Original Stupa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Style of the Buddhist Pagoda I | 소장 |
192 | A Study on the Korean Bronze Pagoda | 소장 |
193 | A Meaning and Origin of the Stupa | 소장 |
194 | The worth of World Heritage Site"Mireuksa" from the architectural aspect ![]() |
미소장 |
195 | A Study on Relief-Stupa in Longmen Grottoes | 소장 |
196 | 雲岡石窟에 나타난 초기 중국불탑의 특징과 유형 | 소장 |
197 | 「통일신라 3층석탑의 출현과 造塔功德經의 관계 고찰」, 불교고고학No.3, 2003 | 미소장 |
198 | 龍門石窟과 中國 佛敎彫刻의 漢化過程 ![]() |
미소장 |
199 | 全南의 立石과 造塔에 관한 고찰 : 民俗學的인 側面에서 | 소장 |
200 | 「新羅 社會와 曼茶羅」, 신라문화재학술발표논문집 Vol.14 No.1, 1993 | 미소장 |
201 | http://100.naver.com/네이버 백과사전 | 미소장 |
202 | http://terms.naver.com/item 네이버 용어사전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