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I. 서론 9
II. 본론 11
1. 스트라빈스키의 생애 및 음악적 시기 11
1) 생애 11
2) 음악적 시기 11
2. 스트라빈스키의 음악극 20
1) 스트라빈스키의 오페라 20
2) 오페라 〈난봉꾼의 행각〉 21
3. 주요 장면의 조성연구 32
1) 1장에서의 주요장면 조성연구 33
2) 2장에서의 주요장면 조성연구 37
3) 3장에서의 주요장면 조성연구 46
4) 중심인물 및 주변인물의 조성적 특징 49
III. 결론 53
참고문헌 55
부록 58
ABSTRACT 62
〈악보 1〉1막1장 톰의 아리아 "Since it is not by merit" 34
〈악보 2〉1막1장 쉐도우의 레치타티보 "Fair lady, gracious gentlemen" 35
〈악보 3〉1막3장 앤의 아리아 "Quietly, night" 36
〈악보 4〉2막1장 톰의 아리아 "Vary the song" 38
〈악보 5〉2막1장 쉐도우의 아리아 "In youth the panting" 39
〈악보 6〉2막1장 톰과 쉐도우의 듀엣 "My tale shall be told" 40
〈악보 7〉2막3장 쉐도우의 “PANTOMIME” 41
〈악보 8〉2막3장, 3막3장 톰과 앤의 듀엣 43
〈악보 9〉2막3장 톰과 쉐도우의 듀엣 "Thanks to this excellent device" 45
〈악보 10〉3막2장 톰과 쉐도우의 듀엣 중에서 톰 "How dark, how dark" 46
〈악보 11〉3막2장 톰과 쉐도우의 듀엣 중에서 쉐도우 "A yeard and a day" 47
〈악보 12〉3막2장 톰과 쉐도우의 듀엣 48
〈악보 13〉1막1장 트리오 중 트루러브 "We are wise" 50
〈악보 14〉2막3장 톰의 아리오조 "O, Nick, I've had the strangest dream." 51
〈악보 15〉3막3장의 톰의 아리오조 "Prepare yourself" 52
신고전주의(Neo-Classicism)는 20세기 초반에 나타난 몇 가지 중요한 음악 양식 가운데 하나이다. 그것은 19세기 낭만주의를 반대하는 움직임으로부터 출발했지만 그렇다고 예술작품의 표현 자체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은 아니었다. 낭만주의 음악이 갖는 주관적 감정의 과장된 표현과 지나친 표제성에 회의를 느낀 20세기 작곡가들 가운데 일부는 음악 이외의 다른 예술에 의하여 형상화 되는 음악을 피하고자 했다. 또한 음악이 극도의 주관성으로 치우치는 것을지 양하고, 일정한 틀 속에서 절제하는 태도를 유지하기를 원했다.
신고전주의 운동은 스트라빈스키를 중심으로 힌데미트, 프로코피에프 등 여러 작곡가들에 의해 1920년경부터 본격화되었다. 신고전주의 음악적 특징은 전통적 양식의 수용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당대 일부 작곡가들은 고전시대의 대위법과 분명한 형식에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악기 편성에 있어서도 고전시대와 비슷하게 소편성의 실내악단 편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바흐의 음악 구조를 이상적 모델로 두고 바로크 혹은 그 이전의 대위법적 수법을 사용하여 엄격하고도 선명한 객관적인 표현의 감각을 중요시 하였으며 음악적 구조를 세워가는 방법을 추구하였다.
20세기 작곡가 스트라빈스키는 1882년에 태어나 1971년에 사망하기 까지 작곡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세 가지 뚜렷한 특징들로 그의 음악적 시기를 구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의 음악적 시기를 구분하는 방법은 ~1918년 원시주의 시기, 1919~1951년을 신고전주의 시기 마지막으로 1952~1971년을 음열주의 시기로 구분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트라빈스키의 신고전주의 시대의 작품 가운데 오페라 〈난봉꾼의 행각(The Rake's Progress 1947-1951)〉을 분석하면서 1919년 〈풀치넬라(Pulcinella)〉로 시작된 그의 신고전주의 음악적 양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고찰한 오페라 〈난봉꾼의 행각〉은 스트라빈스키의 작품 가운데 처음이자 유일하게 영어 대본의 첫 그랜드 오페라 이다. 스트라빈스키는 1939년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건너오면서 영어 대본 오페라를 쓰고 싶어 하던 중에 시카고의 한 전시회에서 호카트(Hogarth, William)의 연작 동판화를 보면서 영감을 얻어, 오든(Auden, Wystan Hugh)과 칼만(Kallman, Chester)의 대본을 가지고 1947년부터 1951년에 걸쳐 음악을 완성하였다. 이 작품은 그의 음악적 시기 가운데 신고전주의 말미에 완성된 마지막 작품으로, 신고전주의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이 시기의 양식적 특성들이 잘 나타나 있으며, 이는 본 연구 대상인 주인공 톰과 주변인물인 앤과 쉐도우의 노래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오페라 〈난봉꾼의 행각〉에 나타난 톰의 인생 여정을 중심으로 가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톰의 환희와 절망을 극적 요소로 다루었고, 낙원과도 같은 시골에서의 생활과 도시에서의 추악한 삶을 대비시켜 보여주며, 선과 악의 대비 구도로 20세기의 선악구도를 이야기함으로써 현대인들의 다중적인 인격을 풍자하고 있다.
필자는 스트라빈스키가 20세기에 나타난 여러 음악양식 중에서도 신고전주의를 대표할 만한 작곡가라고 보고 그의 작품 안에서 조성의 역할이 음악 혹은 극의 내용을 표현 하는데에 어느 정도 기여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오페라 〈난봉꾼의 행각〉을 분석하였다. 이 작품의 조성연구에 앞서 이론적 배경으로 스트라빈스키의 생애 및 음악적 시기, 스트라빈스키의 음악극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 후 오페라 〈난봉꾼의 행각〉의 작품배경 및 구성에 관하여 알아보고, 극의 줄거리를 수록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