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Abstract
목차
Ⅰ. 서론 10
1. 연구 배경 10
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2
1.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12
2. 연구도구 12
3. 분석방법 12
Ⅲ. 연구결과 13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3
2. 민간의료보험 가입 현황 15
3. 민간의료보험 가입자 일반현황 18
가. 민간의료보험 가입자 일반현황 18
나. 가구원수별 민간의료보험 가입 개수 및 월보험료 현황 20
다. 가구소득별 민간의료보험 가입 개수 및 월보험료 현황 21
4. 민간의료보험 가입 사유 22
5. 민간의료보험 가입자의 인식도 및 만족도 현황 23
가. 민간의료보험 가입자의 인식도 현황 23
나. 민간의료보험 가입자의 만족도 현황 24
6. 민간의료보험 미가입자의 인식 현황 26
가. 민간의료보험 미가입 사유 26
나. 민간의료보험 향후 가입 의사 27
7. 보험가입여부에 따른 의료이용 및 건강검진 성향 28
8. 민간의료보험 활성화에 대한 인식 32
Ⅳ. 고찰 36
1. 연구 방법 및 제한점에 대한 고찰 36
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37
3.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고찰 39
Ⅴ. 결론 41
참고문헌 43
부록 46
국문요약 5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하는 전문가(이하 "병원종사자"라고 함)와 의료기관에 방문한 일반인(이하 "비종사자"라고 함)의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가입자와 미가입자간의 건강검진, 의료이용 양상 등을 비교하여 민간의료보험의 올바른 정착과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한 대상자의 권익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단수 응답식 및 Likert 척도 5단계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병원종사 300부, 비종사자 100부, 총 4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AS(Version 9.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전산통계 처리를 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이용하였고, 둘째, 병원종사자와 비종사간에 응답내용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Chi-square test 및 Fisher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 민간의료보험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민간의료보험 가입 상황 비교 분석에 있어, 본 연구결과 병원종사자와 비종사자의 민간의료보험에 가입률은 병원종사자는 78.7%를 차지하고 비종사자의 경우 72.3%로 나타났으며, 전체 민간의료보험 가입률은 77.0%로 선행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병원종사자와 비종사자간의 민간의료보험 미가입자와 민간의료보험 가입자의 비율에 유의한(P=0.1701) 차이가 없었다. 가입자 중 병원종사자의 경우 남자보다 여자가 많고, 비종사자의 경우 남성의 가입률이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험가입 여부가 성별에 유의(P=0.0323)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정도는 병원종사자와 비종사자에서 학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보험가입 여부가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P=0.0001)한 차이를 보였으며, 민간의료보험 가입자 중 기혼의 가입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P=0.3651)한 차이가 없었다.
병원종사자와 비종사자간 민간의료보험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비교 분석 있어 본 연구결과에서는 병원종사자와 비종사자 모두 상대적으로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가입자 중 보상서비스 지급받은 후 불만족한 사유로는 '보장되지 않는 부분'과 '청구절차 및 서류가 복잡하다' 답변이 많았다. 또한 민간보험을 가입하지 않는 사유로는 본인의 '의료이용이 많지 않아서', '보험료가 가계에 부담이 되어서'로 응답했다. 미가입자 중 향후 민간의료보험 가입 의사를 묻는 설문에는 병원종사자의 경우 가입의사가 많았지만, 비종사자의 경우 가입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병원종사자와 비종사자간 민간의료보험 가입 여부에 따른 의료이용 양상 및 건강검진 행위 등을 비교 분석 있어 본 연구결과 비종사자의 이용률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P=0.2128) 차이는 없었다. 가입자 중 입원진료경험 여부에 병원 종사자와 비종사간에 유의(P=0.5769)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가입자 중 병원종사자와 비종사자의 건강검진 여부에 유의(P=0.0001)한 차이가 나타났다.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병원종사자와 비종사자의 인식파악 있어 본 연구결과 병원종사자와 비종사의 활성화 방안으로 '민간의료보험이 필요하다' 239명(54.3%) 조사되었고, '비급여 부분은 민간의료보험에서 보장 해야 한다' 233명(58.3%) 조사되었다.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이 필요하다' 239명(59.8%)로 조사되었고, 병원종사자와 비종사자의 두집단에 높게 조사 되었다. 반면 '국민건강보험 실효급여율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 방안에 대한 질문에는 병원종사자의 경우 134명(44.7%) '그렇다' 나타났고 , 비종사자 32명(32.0%)으로 보통이라고 조사 되었다. 또한 '보충형 민간의료보험의 적합하다' 방안에 대한 질문에는 병원종사자 125명(41.7%) 그렇다, 비종사자 39명(39.0%)로 조사되었다.
결론 : 병원종사자 및 비종사자의 민간의료보험 가입률이 70% 이상의 상당한 높은 가입률을 보이고 있어 민간의료보험의 필요성이 도출되었고, 민간의료보험의 보장성 및 청구절차 및 서류 등의 표준화가 필요하며, 민간의료보험의 비급여 및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