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초록 7

Ⅰ.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이론적 배경 12

1) 사회불안 12

2) 평가에 대한 두려움 14

3) 재확인 추구 18

4) 관계의 질 20

3. 연구 문제 22

Ⅱ. 방법 24

1. 연구대상 24

2. 측정 도구 24

1)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 SIAS) 24

2)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Brief -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 BFNE) 25

3)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 K-FPES) 25

4) 재확인 추구 척도(The Reassurance Seeking Scale: RSS) 26

5) 관계의 질 (Quality of Relationship: QR) 27

3. 연구 절차 27

4. 분석방법 28

Ⅲ. 결과 29

1.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치 29

2. 주요 변인들의 상관 29

3.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31

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32

2)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34

4. 관계의 질의 중재효과 37

1) 재확인 추구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관계의 질의 중재효과 37

Ⅳ. 논의 40

참고문헌 47

부록 57

부록 1.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58

부록 2.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Brief - Fear of Evaluation Scale: BFNE) 60

부록 3.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질문지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K-FPES) 61

부록 4. 재확인 추구 척도 (The Reassurance Seeking Scale: RSS) 62

부록 5. 관계의 질 척도 (Quality of Relationship Inventory: QRI) 65

ABSTRACT 70

표목차

표 1. 주요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 29

표 2.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30

표 3.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 33

표 4.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 35

표 5. 재확인 추구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관계의 질의 중재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38

그림목차

그림 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모형 33

그림 2.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모형 36

그림 3. 사회불안에 대한 관계의 질과 재확인 추구의 상호작용 39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재확인 추구가 매개효과를 갖는지와 재확인 추구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관계의 질이 중재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과도한 재확인 추구는 위협적인 대상, 상황 혹은 대인 관계적 특징과 관련하여 다른 사람들에게서 괜찮다는 안전 관련 정보를 이미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걱정 혹은 불안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자신감을 회복할 목적으로 안전 관련 정보를 계속 요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 두 변인이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매개, 조절하는지 밝히기 위해, 대학생 4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SIAS),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BFNE),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K-FPES), 재확인 추구 척도(RSS), 관계의 질(QI)을 사용하였으며,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와 중재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재확인 추구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의 질이 재확인 추구와 사회불안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인지적 · 행동적인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