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논문 개요
목차
Ⅰ. 서론 10
Ⅱ.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세계 12
Ⅲ. 첼로의 특수주법 17
1. 하모닉스 (Harmonics Playing) 17
1) 자연적 하모닉스 (Natural Harmonics) 17
2) 기교적 하모닉스 (Artificial Harmonics) 18
3) 글리산도 하모닉스 (Glissando Harmonics) 19
2. 글리산도 (Glissando) 19
3. 피치카토 (Pizzicato) 21
1) 왼손 피치카토 (Left Hand Pizzcato) 22
2) 손톱 피치카토와 스냅 피치카토 (Fingernail Pizzcato, Snap Pizzicato) 22
3) 분산화음적 피치카토 (Arpeggiated Pizzcatos) 23
4) 피치카토 글리산도 (Pizzcato Glissando) 24
4. 약음기 (mute) 25
5. 술 폰티첼로 (sul ponticello) 25
6. 술 타스토 (sul tasto) 26
7. 콜 레뇨 (col legno) 26
Ⅳ. 쇼스타코비치 〈첼로 소나타 D단조 Op. 40〉 분석 28
1. 제 1악장 28
1) 제시부 (마디 1~110) 29
2) 발전부 (마디 111~195) 32
3) 재현부 (마디 196~229) 35
2. 제 2악장 36
1) A부분 (마디 1~75) 37
2) B부분 (마디 76~122) 41
3) A'부분 (마디 123~197) 44
4) 코다 (마디 198~205) 44
3. 제 3악장 45
1) 도입부 (마디 1~20) 46
2) A부분 (마디 21~48) 47
3) B부분 (마디 49-71) 48
4) A'부분 (마디 72~87) 48
5) 코다 (마디 88~103) 49
4. 제 4악장 51
1) A부분 (마디 1~40) 51
2) B부분 (마디 41~75) 53
3) A'부분 (마디 76~103) 54
4) C부분 (마디 104-157) 54
5) A''부분 (마디 158~180) 56
6) D부분 (마디 182~241) 57
7) A'부분 (마디 242~289) 58
8) 코다 (마디 290~331) 59
Ⅴ. 쇼스타코비치 〈첼로 소나타 D단조 Op. 40〉 특수 주법 및 연주가이드 61
1. 하모닉스 61
1) 제 1악장 61
2) 제 2악장 63
3) 제 3악장 65
2. 피치카토 66
1) 제 1악장 66
2) 제 2악장 68
3) 제 4악장 71
3. 약음기 74
1) 제 1악장 74
2) 제 3악장 75
Ⅵ. 결론 77
참고 문헌 79
ABSTRACT 81
〈악보 1〉 자연적 하모닉스의 악보 예 18
〈악보 2〉 자연적 하모닉스의 악보 예 18
〈악보 3〉 기교적 하모닉스의 악보 예 19
〈악보 4〉 글리산도 하모닉스의 악보 예 19
〈악보 5〉 바르톡, 현악 4중주 제4번 2악장, 마디 230~250 글리산도의 예 20
〈악보 6〉 브람스, 교향곡 제1번 4악장, 마디 1~17 피치카토의 예 21
〈악보 7〉 왼손 피치카토 악보 예 22
〈악보 8〉 바르톡, 현악 4중주 제4번 4악장, 마디 56~64 스냅 피치카토 예 23
〈악보 9〉 분산화음적 피치카토의 악보 예 24
〈악보 10〉 피치카토 글리산도의 악보 예 24
〈악보 11〉 약음기 사용의 악보 예 25
〈악보 12〉 술 폰티첼로 악보 예 26
〈악보 13〉 술 타스토 악보 예 26
〈악보 14〉 제 1악장, 첼로 주제선율, 마디 1~16 29
〈악보 15〉 제 1악장, 마디 16~20 30
〈악보 16〉 제 1악장, 마디 28~35 30
〈악보 17〉 제 1악장, 마디 39~44 첼로선율 31
〈악보 18〉 제 1악장, 마디 71~80 첼로선율 31
〈악보 19〉 제 1악장, 마디 96~100, 마디 104~107 첼로선율 32
〈악보 20〉 제 1악장, 마디 116~120 33
〈악보 21〉 제 1악장, 마디 132~137 첼로선율 34
〈악보 22〉 제 1악장, 마디 171~180 34
〈악보 23〉 제 1악장, 마디 187~194 첼로 선율 35
〈악보 24〉 제 1악장, 마디 197~204 35
〈악보 25〉 제 2악장, 마디 1~10 38
〈악보 26〉 제 2악장, 마디 22~26 39
〈악보 27〉 제 2악장, 마디 27~33 첼로 선율 39
〈악보 28〉 제 2악장, 마디 34~43 40
〈악보 29〉 제 2악장, 마디 61~70 41
〈악보 30〉 제 2악장, 마디 80~87 42
〈악보 31〉 제 2악장, 마디 96~103 43
〈악보 32〉 제 3악장, 마디 1~11 46
〈악보 33〉 제 3악장, 마디 21~43, 마디 29~36, 마디 37~43의 첼로 선율 47
〈악보 34〉 제 3악장, 마디 49~68 의 첼로 선율 48
〈악보 35〉 제 3악장, 마디 72~79 49
〈악보 36〉 제 3악장, 마디 88~103 의 첼로 선율, 마디 98~103 50
〈악보 37〉 제 4악장, 마디 17~39 52
〈악보 38〉 제 4악장, 마디 41~46 53
〈악보 39〉 제 4악장, 마디 68~74 54
〈악보 40〉 제 4악장, 마디 103~110, 마디 117~124의 첼로 선율 55
〈악보 41〉 제 4악장, 마디 146~154 56
〈악보 42〉 제 4악장, 마디 173~180 56
〈악보 43〉 제 4악장, 마디 193~200 57
〈악보 44〉 제 4악장, 마디 242~249 58
〈악보 45〉 제 4악장, 마디 258~289 첼로 선율 59
〈악보 46〉 제 4악장, 마디 324~331 60
〈악보 47〉 제 1악장, 마디 26~30 자연적 하모닉스 61
〈악보 48〉 제 1악장, 마디 104~107 자연적 하모닉스 62
〈악보 49〉 제 1악장, 마디 192~195 글리산도 하모닉스 62
〈악보 50〉 제 2악장, 마디 53~57 글리산도 하모닉스 63
〈악보 51〉 제 2악장, 마디 76~87, 마디 111~119 글리산도 하모닉스 64
〈악보 52〉 제 3악장, 마디 5~7 자연적 하모닉스 65
〈악보 53〉 제 3악장, 마디 88~95 자연적 하모닉스 65
〈악보 54〉 제 1악장, 마디 111~125 피치카토 67
〈악보 55〉 제 1악장, 마디 155~158 포르테 피치카토 68
〈악보 56〉 제 1악장, 마디 226~229 피치카토 68
〈악보 57〉 제 2악장, 마디 27~30 피치카토 69
〈악보 58〉 제 2악장, 마디 50~53 피치카토 69
〈악보 59〉 제 2악장, 마디 58~63 옥타브 피치카토 70
〈악보 60〉 제 2악장, 마디 201~205 피치카토 70
〈악보 61〉 제 4악장, 마디 150~154 피치카토 71
〈악보 62〉 제 4악장, 마디 173~180 피치카토 71
〈악보 63〉 제 4악장, 마디 290~327 피치카토 73
〈악보 64〉 제 4악장, 마디 331 피치카토 73
〈악보 65〉 제 1악장, 마디 197~229 약음기 사용 74
〈악보 66〉 제 3악장, 마디 1~17 약음기 사용 75
〈악보 67〉 제 3악장, 마디 88~103 약음기 사용 76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Dmitri Shostakovich, 1906~1975)는 20세기 음악을 대표하는 러시아의 작곡가이다. 그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아래에서 정치적 압박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하였다. 그러므로 그의 작품은 시대의 흐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사회의 부조리에 대한 저항을 음악적으로 표현하였다. 그의 작품들은 주로 교향곡, 소나타, 현악사중주, 협주곡 등의 전통적인 유형을 취하고 있으나 음악의 내면에는 러시아의 민속적 요소, 사회주의 리얼리즘, 20세기 음악양식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논문은 현대 첼로 음악 가운데서도 매우 특징적인 작품이자 중요한 전환기의 출발점이 되고 있는 쇼스타코비치의 〈첼로 소나타 D단조 Op. 40〉을 연구한다. 20세기 러시아 첼로 곡의 대표적 작품 중 하나로 꼽히는 〈첼로 소나타 D단조 Op. 40〉은 쇼스타코비치의 유일한 첼로 소나타로 세련된 기법, 밝은 음색, 탄탄한 구성, 첼로의 다양한 음색과 기교, 또한 피아노와 첼로 이 두 악기의 음악적 조화를 잘 이룬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악곡의 전체를 분석하고 첼로 특수주법을 조사하였다. 특히 각 악장에서 사용되는 특수주법에 관한 연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악곡 전체의 연주해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