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I. 서론 12

1.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12

2. 연구 문제와 연구방법 14

II. 캐릭터 산업의 현황 16

1. 캐릭터 산업의 정의 및 특성 16

2. 중국 캐릭터 산업의 현황 23

가. 중국 캐릭터 시장 규모 23

나. 중국 캐릭터 시장의 현황 및 이슈 24

3. 해외 캐릭터산업 현황 43

III. 한·중 캐릭터 산업의 사례 비교분석 51

1. 한국 캐릭터 사례 분석 52

가. 뽀로로(PORORO) 52

나. 뿌까(PUCCA) 59

2. 중국 캐릭터 사례 분석 65

가. 란마오(藍猫, BlueCat) 65

나. 푸와(福娃, Fuwa)(이미지참조) 74

3. 캐릭터 성공요인 비교분석 80

가. 한·중 캐릭터 성공요인 비교분석 80

나. 글로벌 캐릭터 성공요인 분석 82

IV. 중국 캐릭터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 85

1. 내수시장 기반 확보 88

가. 전문 인력 양성 88

나. 투자유치 환경 조성 91

다. 뉴미디어 시장 유통 강화 92

2.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과 적극적인 해외 홍보 93

가. 유통 매커니즘 개선 93

나. 신규 시장 개척 94

다. 적극적인 해외 홍보 96

3. 수출지원 인프라 강화 97

4. 국제 공동제작 지원 98

V. 결론 101

참고문헌 105

Abstract 108

표목차

〈표 1〉 캐릭터산업의 ValueChain유형 21

〈표 2〉 캐릭터산업의 특징 22

〈표 3〉 중국 캐릭터 시장규모 추이(2005~2015) 23

〈표 4〉 중국 0~14세 인구규모 및 인구 비중 27

〈표 5〉 중국 캐릭터 산업의 SWOT 분석 41

〈표 6〉 세계 캐릭터 시장규모 추이(2005~2015) 43

〈표 7〉 전 세계 0~14세, 5~14세 인구 규모 및 비중 45

〈표 8〉 뽀로로 캐릭터 분석 54

〈표 9〉 뿌까와 가루 캐릭터 분석 61

〈표 10〉 란마오의 캐릭터 분석 66

〈표 11〉 푸와 캐릭터 분석 77

〈표 12〉 중국 문화부 만화·애니메이션·게임 산업 진흥을 위한 신정책 주요 내용 87

그림목차

〈그림 1〉 캐릭터산업의 ValueChain 20

〈그림 2〉 중국 라이선싱 유형별 비중 24

〈그림 3〉 중국 라이선싱 상품 유형별 비중 25

〈그림 4〉 모조품(산짜이, 山寨)상품들 37

〈그림 5〉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 39

〈그림 6〉 다양한 캐릭터 애플리케이션 40

〈그림 7〉 중국 캐릭터산업 발전단계의 현 위치 42

〈그림 8〉 뽀로로과 친구들 52

〈그림 9〉 뿌까과 가루 59

〈그림 10〉전 세계 150여 개 국에 진출해 있는 뿌까 지도 64

〈그럼 11〉 뿌까 캐릭터 상품들 64

〈그림 12〉 란마오와 친구들 65

〈그림 13〉 2008년 중국베이징 29회 올림픽 대회마스코트 74

〈그림 14〉 푸와 캐릭터 상품 79

〈그림 15〉 애니메이션, 캐릭터 전문 인력 양성 89

〈그림 16〉 앵그리버드 라이선스 상품 92

〈그림 17〉 캐릭터 산업의 국제화 전략 전개도 102

초록보기

캐릭터 산업은 콘텐츠 산업 중에서도 높은 부가가치 창출과 전 방위 사회문화적 파급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시장이다. 중국에서 캐릭터 산업의 가치를 인정하기 시작한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또한 많은 기대를 모았던 중국내 애니메이션 캐릭터 작품들이 잇따라 흥행에 성공 하지 못하면서 캐릭터 산업에 대한 투자가 위축되고 자본 유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작품 제작이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중국정부에서도 캐릭터 산업을 국가경쟁력 분야로 표명하고 본격적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 지원정책을 추진하고는 있지만, 중국 캐릭터의 열악한 시장 구조로 인해 산업을 활성화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외진출 경험이 부족하고 영세한 규모의 캐릭터 제작업체들이 해외진출을 시도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현지에 판매거점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해외의 네트워크에 진입하기는 매우 어렵고 해외 시장 진입에 필요한 정보도 확충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 정부의 단편적인 지원정책은 해외진출 및 수출확대를 이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런 중국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캐릭터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여 해외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 캐릭터가 성공적으로 해외진출을 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는 활성화 정책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고 적극적으로 세계 시장을 목표로 이에 적합한 창작 캐릭터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또한 성공적인 해외진출전략 중의 하나로 꼽을 수 있는 국제 공동제작에 관심을 갖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 기관의 지원정책은 변화하는 중국 국내외 시장상황에 맞추어 실행되어야 하며 수시로 정책의 효율성을 검토하고 산업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기관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종 관련 저서 및 간행물 등의 선행연구들과 관련 통계자로 및 정부자료를 활용해 국내외 캐릭터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의 해외 마케팅에 성공한 사례로 〈뽀롱뽀롱 뽀로로〉, 인기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제작 성공사례로 〈짜장소녀 뿌까〉와 중국의 인기 있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란마우〉 및 지적재산권 보호에 대해 제일 성공한 작품 〈푸와〉를 선정하여 각각의 성공사례들이 어떠한 성공 요인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분석한다. 해외 시장에서 활로를 개척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 그 간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성공 여부를 좌우하는 조건들을 검토하고 분석한다. 한국 애니메이션 제작업체 중 해외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사례에 대한 연구는 향후 중국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해외시장 활로를 개척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지침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중국 캐릭터의 해외진출을 활성화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중국 캐릭터 산업의 해외진출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내수시장 기반이 확보되어야 한다. 캐릭터를 기획·창작하는 전문 인력뿐만 아니라 캐릭터 마케팅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기술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하며 자금조달 방식의 다양화 및 국산캐릭터의 유통창구 확보 등을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갖춘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해외 시장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체계적인 유통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수출판로 개척을 위한 컨설팅 지원 시스템을 강화함과 아울러 중국 캐릭터의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해외 유수의 콘텐츠 마켓이나 페스티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중국 캐릭터를 홍보하고 중국 작품들에 대한 해외 관련업체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연결고리를 마련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확충하고 수출지원 인프라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 제작업체들의 부족한 기획력과 기술력을 보강하고 투자유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국제 공동제작방식에 관심을 갖고 국제 공동제작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정책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중국의 캐릭터 산업이 실질적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지원시스템이 마련되어 캐릭터 강국 실현에 탄력이 붙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