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7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7

1.2. 선행 연구 검토 8

1.3. 연구 대상 및 방법 12

2. 이론적 배경 15

2.1. 텍스트 분류의 기준 15

2.1.1. 주제에 따른 분류 15

2.1.2. 유형에 따른 분류 20

2.2. 텍스트와 어휘의 상관관계 27

3. 고급 교재 읽기 텍스트의 주제와 유형 분석 31

3.1. 연구 방법 31

3.2. 고급 읽기 텍스트의 크기 분석 32

3.3. 주제별 읽기 텍스트 분석 34

3.4. 유형별 읽기 텍스트 분석 40

4. 고급 교재 읽기 텍스트의 주제별 어휘 분석 47

4.1. 어휘 분석 기준 47

4.2. 텍스트 주제별 어휘 분석 48

4.3. 텍스트 주제와 어휘의 상관성 63

5.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78

Abstract 82

초록 85

표목차

표 1. 분석 대상 교재 13

표 2. Finocchiaro & Brumfit(1983)의 11가지 주제 범주 15

표 3. 송수희(2009)의 텍스트 주제 범주 16

표 4. 이은숙(2009)의 텍스트 주제의 영역 17

표 5. 텍스트 주제 범주의 설정 18

표 6. Grosse(1976)의 텍스트 유형 분류 20

표 7. Brinker(1992)의 화행론적 텍스트 유형 분류 22

표 8. 이도영(2007)의 텍스트 유형 분류 24

표 9. 송금숙(2002)의 텍스트 유형 분류 25

표 10. 송수희(2009)의 텍스트 유형 분석범주 26

표 11. 텍스트 유형 범주의 설정 27

표 12. 교재별 읽기 텍스트 분석 33

표 13. 각 교재의 주제별 읽기 텍스트 수 35

표 14. 주제별 읽기 텍스트 어절 수 36

표 15. 주제별 평균 어절 수 38

표 16. 텍스트 유형별 분류 결과 40

표 17. 텍스트 유형별 분류 41

표 18. 유형별 텍스트 어절 수 43

표 19. 유형별 텍스트 평균 어절 수 44

표 20. 주제별 어휘 수 48

표 21. '건강'과 관련된 어휘 목록 49

표 22. '경제'와 관련된 어휘 목록 50

표 23. '과학'과 관련된 어휘 목록 51

표 24. '교육'과 관련된 어휘 목록 52

표 25. '국제'와 관련된 어휘 목록 54

표 26. '문화'와 관련된 어휘 목록 55

표 27. '사회'와 관련된 어휘 목록 57

표 28. '여행'과 관련된 어휘 목록 59

표 29. '역사'와 관련된 어휘 목록 60

표 30. '일상생활'과 관련된 어휘 목록 61

표 31. '환경'과 관련된 어휘 목록 62

표 32. A등급의 어휘 목록 64

표 33. B등급의 어휘 목록 65

표 34. C등급의 어휘 목록 68

표 35. 'A, B, C등급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고급 텍스트에 자주 나타나는 어휘'목록 70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고급 교재의 읽기 텍스트를 주제와 유형별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제별로 분석된 텍스트의 어휘를 분석하여 읽기 텍스트의 주제와 어휘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읽기 텍스트와 어휘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간단하게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텍스트의 분류 기준과 텍스트와 어휘의 상관관계에 대해 기존에 이루어진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고, 텍스트의 주제와 유형에 관한 여러 학자의 분석틀을 참고하여 본고에 적용할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본고에서 제시한 분석틀에 맞춰 한국어 고급 교재의 읽기 텍스트를 주제와 유형별로 분류하여 '지능형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어절 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교재의 읽기 텍스트 수와 어절 수의 비교 분석을 통해 개별 텍스트의 크기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읽기 텍스트의 주제와 어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Ultra edit' 와 'Microsoft Excel'을 통해 주제별 어휘를 분석하여 주제와 관련하여 출현 빈도가 높은 어휘를 살펴보았다. 출현 빈도가 높은 어휘를 조남호(2003)의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과 비교하여 A, B, C 등급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남호(2003)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고급 텍스트에 자주 나타나는 어휘를 확인하였다. 초, 중급 어휘에 해당하는 A와 B 등급의 어휘보다 고급 어휘에 해당하는 어휘를 중심으로 텍스트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고 텍스트의 주제별로 분석한 어휘를 통해서 나타나는 내용을 통해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주제별로 분석된 어휘를 통해서 고급 단계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의 제시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앞으로 다양한 텍스트를 통한 어휘의 연구가 주제와 유형별로 함께 진행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