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8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 배경 10
제2절 연구 목적 13
제3절 연구방법 및 구성 13
제2장 이론적 배경 15
제1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15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개념과 특성 15
2. 중국의 SNS 이용 현황 18
3. 한국의 SNS 이용 현황 20
제2절 페이스북(Facebook)과 런런망(RenRen) 22
제3절 기대-일치 모형 28
1. 기대-일치 모형 28
2. ECM모형의 정보시스템 지속사용에 관련연구 30
3. 정보시스템 지속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4. SNS의 지속적 사용에 관한 연구 33
제3장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36
제1절 연구모형 설계 36
(1) 지각된 즐거움 36
(2) 지각된 전환비용 37
제2절 연구변수의 정의 38
제3절 가설 설정 39
1. 기대-일치(Confirmation)와 만족(Satisfaction) 39
2.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40
3. 지각된 즐거움(Perceived Playfulness) 40
4. 지각된 전환비용(Perceived Switching Cost) 41
제4절 설문문항의 설계 42
1. 지각된 유용성 42
2. 기대-일치 42
3. 만족 43
4. 지각된 즐거움 44
5. 지각된 전환비용 44
6. 지속사용의도 45
제4장 연구방법 46
제1절 표본추출 및 자료수집 46
제2절 표본특성 46
제5장 연구결과 49
제1절 타당성 검증 49
제2절 신뢰성 검증 50
제3절 가설 검증 53
1. 한국에 대한 구조 모형 분석 53
2. 중국에 대한 구조 모형 분석 55
제6장 결론 58
제1절 요약 및 결론 58
제2절 연구의 시사점 62
제3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 63
참고문헌 64
부록 71
〈부록1〉 SNS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71
〈부록2〉 關於SNS持續使用意圖的硏究 76
〈그림 1〉 2009-2010년 중국 네티즌 총수와 SNS사용자수의 비교 18
〈그림 2〉 중국 SNS 사용자의 이용 목적 19
〈그림 3〉 한국 SNS 사용자의 이용 목적 22
〈그림 4〉 Facebook과 RenRen 화면 비교 24
〈그림 5〉 "RenRen"(런런망)의 로고 25
〈그림 6〉 "xiaonei"의 로고 25
〈그림 7〉 기대-일치 모형(ECM) 28
〈그림 8〉 연구모형 38
〈그림 9〉 연구모형의 실증분석 결과(한국) 54
〈그림 10〉 연구모형의 실증분석 결과(중국) 56
SNS is the byproduct of the Internet and Web 2.0. SNS has been widely used for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As a result, many previous studies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SNS usage. While most prior literature pays much research attention on the initial acceptance and use of SNS, the studies about the continued usage of SNS are relatively r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determinants of users' continued usage, going beyond initial adoption.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on continued usage of SNS, this study used ECM model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as a theoretical foundation. Based on ECM model, two critical variables, perceived entertainment and perceived switching costs, were examined.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a survey method for an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271 repl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While 139 out of 271 replies were collected from Korean users of Facebook, the rest 135 replies were did from Chinese users of RenRen. The collected dataset were analyzed by employing PLS (Partial Least Squares) technique. As results of PLS analysis on the subjects of Korean users, all of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On the subjects of Chinese users, we found that 1) Expectation-Confirm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easure, 2)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easur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3)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However, we found no empirical evidence that perceived pleasure and perceived switching cos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tinued usage intention.*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