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國文抄錄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 연구의 배경 12

2. 연구의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범위 14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이론고찰 17

제1절 이론고찰 17

1. 도시성장 모형 17

2. 도시공간구조 20

3. 도시공간분석 25

제2절 선행연구 고찰 30

1.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와 특성 30

2. 도시공간구조 변화측정 및 공간구조진단 34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9

제3장 분석의 틀 41

제1절 분석체계의 설정 41

1. 도시공간구조 변화 측정을 위한 지표선정 42

2. 도시공간구조 변화 측정 분석체계 44

제2절 분석모형의 검토 48

1. 점 패턴분석(Point Pattern Analysis) 49

2. 격자형 분석(Grid Analysis) 51

3. 표준편차거리(Mean of Deviation Distance) 측정 54

4. 공간적 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 분석 56

5. 3차원 TIN모델 59

제3절 분석대상도시 특성 61

1. 경기도 토지이용 특성 분석 61

2. 평택시 현황분석 66

3. 평택시의 공간구조 특성과 문제점 74

제4장 평택시 도시공간구조의 시계열적 변화 분석 78

제1절 시가화 확산 패턴 변화 분석 78

제2절 격자형분석을 통한 공간구조 변화 분석 80

1. 인구 및 건축밀도의 공간적 변화 80

2. 고용밀도 및 평균지가의 공간적 변화 81

제3절 도시 중심성 변화측정 82

1. 인구 및 건축밀도 중심점의 변화 82

2. 고용밀도 및 평균지가 중심점의 변화 86

제4절 도시확산·압축도 측정 90

1. 인구 및 건축밀도 모란지수 분석 91

2. 고용밀도 및 평균지가 모란지수 분석 92

제5절 TIN을 이용한 단면분석 및 3차원 공간분석 93

1. 인구 및 건축밀도의 TIN 단면분석과 3차원 공간분석 93

2. 고용밀도 및 평균지가의 TIN 단면분석과 3차원 공간분석 96

제6절 분석의 종합 99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02

제1절 연구의 결론 102

제2절 연구의 시사점 105

참고문헌 108

ABSTRACT 114

표목차

표 I-1. 연구의 흐름 16

표 II-1. Klaassen & Paelinck의 도시성장 6단계 가설 18

표 II-2. Berg 등의 도시성장단계 가설 19

표 II-3. Foley의 도시구조의 요소 21

표 II-4. 관련 연구 동향 37

표 III-1. 공간구조변화 분석모형 관련 선행연구 검토 43

표 III-2. 분석지표 및 방법 44

표 III-3. 자료의 유형 및 분류 45

표 III-4. 도시공간구조변화 분석 체계 47

표 III-5. 표준편차거리(Mean of Deviation Distance) 측정예시 55

표 III-6. 인구밀도 및 1인당 도시화밀도 62

표 III-7. 고용밀도 현황 63

표 III-8. 토지이용 규제 현황 64

표 III-9. 토지이용 규제 현황 64

표 III-10. 도시적 토지이용전환비율 65

표 III-11. 평택시 행정 구역 66

표 III-12. 평택시 행정동별 인구 수 68

표 III-13. 평택시 산업 LQ분석 71

표 III-14. 도시개발 추진 개요 73

표 IV-1. 시가화확산 패턴 79

표 IV-2. 지목별 시가화확산 패턴 79

표 IV-3. 인구 및 건축밀도의 공간적 변화 80

표 IV-4. 고용밀도 및 평균지가의 공간적 변화 81

표 IV-5. 인구밀도 중심점의 변화 82

표 IV-6. 건축밀도 중심점의 변화 84

표 IV-7. 고용밀도 중심점의 변화 86

표 IV-8. 평균지가 중심점의 변화 88

표 IV-9. 평택시 모란지수 분석결과 90

표 IV-10. 인구 및 건축밀도의 모란지수 91

표 IV-11. 고용밀도 및 평균지가의 모란지수 92

그림목차

그림 I-1. 평택시 위치도 14

그림 III-1. 카테시안 좌표(Cartesian coordinate) 점 사상 49

그림 III-2. 5가지 유형의 점 패턴(Point Pattern) 특성 50

그림 III-3. 격자분석을 이용한 점밀도 분석 52

그림 III-4. 용인시의 인구밀도 패턴의 변화 예시 53

그림 III-5. Moran's I 지수 분석 예제 58

그림 III-6. 수치지형모델에 의한 지형모델링 60

그림 III-7. 읍면동별 인구 분포현황 67

그림 III-8. 인구수 변화추이 67

그림 III-9. 세대수 변화추이 67

그림 III-10. 평택시 도시개발 추진현황 72

그림 IV-1. 시가화 확산현상의 시계열적 변화 78

그림 IV-2. 인구밀도의 표준편차거리 변화 83

그림 IV-3. 건축밀도의 표준편차거리 변화 85

그림 IV-4. 고용밀도의 표준편차거리 변화 87

그림 IV-5. 평균지가의 표준편차거리 변화 89

그림 IV-6. Moran's I 군집수준 측정 90

그림 IV-7. 인구밀도 단면변화 및 3차원 공간분석 94

그림 IV-8. 건축물 밀도변화 단면 및 3차원 공간분석 95

그림 IV-9. 고용밀도 단면변화 및 3차원 공간분석 97

그림 IV-10. 평균지가 단면변화 및 3차원 공간분석 98

그림 IV-11. 평택시 중심지체계 및 공간구조변화 진단 100

초록보기

 도시공간구조는 도시공간의 성장축과 방향을 설정하고 장기계획의 방향성과 장래의 토지이용의 방향 및 관리방침을 제시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서울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수도권 남부 광역거점으로의 도시성장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평택시에 대한 공간구조변화와 특성을 진단하고 도시의 기능 및 변화의 추세를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택시의 각종 개발에 따른 토지이용변화 속에서 나타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양상 및 특성을 밝혀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의 시계열적 공간자료를 토대로 도시공간구조 변화특성을 파악해 보고 도시공간정책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평택시의 도시화 지역의 집적정도는 1990년대 초반까지는 미미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집중도(concentration)가 점차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평택시 내에서는 급속한 도시화와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영향으로 많은 인구증가와 개발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평택시의 도시형태는 기성시가지를 중심으로 하여 서부, 남부, 북부생활권의 공간구조축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성시가지의 인구가 주변 대규모 개발 사업지로 빠져나감으로써 발생되는 공동화로 인해 쇠퇴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고 남부생활권과 북부생활권에 인구, 건축, 고용밀도가 편중되고 있으나 향후 발전 잠재력이 높은 서부생활권으로 개발이 편중되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도시기본계획 재정비시 평택시의 생활권별 특색 및 여건, 사회적 변화여건을 고려한 후, 평택시의 주요기능 및 기반시설을 입지시키고 유기적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구조를 개편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포승국가산업단지(황해경제자유구역)와 고덕신도시 등의 개발로 서부생활권의 부도심화로 기반시설 계획 등이 좀 더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공간구조에서 벗어난 분산형 집중개발(decentralized concentration development)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중심지간 연결체계를 강화하여 지역간 균형발전을 도모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계열적으로 평택시의 도시성장과정을 추적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추세를 통하여 중심지체계와 공간구조 장래의 성장방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도시성장관리(Urban Growth Management)와 도시계획의 실현성(feasibility)을 제고 할 수 있었다. 도시구성요소의 분포특성과 변화추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중심지체계의 설정, 생활권계획, 장기적인 토지이용방향 등 평택시의 장래 도시공간구조 설정을 위한 사전적인 연구로 매우 유용하다 할 수 있다.

참고문헌 (8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토연구원(2004), 공간분석기법,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2 (2002), 도시의 이해, 박영사 미소장
3 도시계획의 이해 소장
4 (2000), 도시학개론, 형설출판사 미소장
5 土地利用計劃論 네이버 미소장
6 都市計劃論(改訂版) 네이버 미소장
7 (2006), 공간계량모형응용, 박영사 미소장
8 (2006), 로짓․프로빗 모형, 법문사 미소장
9 (1996), 인구지리학, 법문사 미소장
10 (2000), 통계분석론, 법문사 미소장
11 경기도(2011), 토지관련 주요법령 해설 미소장
12 국토연구원(2006),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공간구조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미소장
13 국토해양부(201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미소장
14 (2003), GIS기반 공간분석방법론 개발 연구, 국토연구원 미소장
15 (2004), GIS기반 공간분석방법론 적용 연구, 국토연구원 미소장
16 (2008), 도시성장관리모형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미소장
17 (2003), CA-GIS 통합시스템을 이용한 도시성장 예측모델의 개발, 인하대학교 미소장
18 (2008), 수도권 토지이용 효율성 증진방안, 경기개발연구원 미소장
19 (2008), 서울 도시계획 중심지에 대한 평가 및 위계 재정립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미소장
20 (2006),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공간구조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미소장
21 한국개발연구원(2002), 지역개발 정책의 방향과 과제 미소장
22 (2007), 경기도 시가지확산 지표와 도시계획 시사점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미소장
23 (2008), 경기도 시가지확산에 따른 공간적 영향 연구, 2008 미소장
24 (1999), 대도시주변지역 토지이용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5 대전시 공간구조의 변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소장
26 도시토지의 효율적 개발과 난개발 방지를 위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소장
27 우리나라의 도시성장 결정요인 연세대학교 (1997), , ∙∙ 미소장
28 都市空間構造 變化 特性에 關한 硏究 네이버 미소장
29 (1998), 도시기능에 의한 도시토지이용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0 GIS의 공간통계분석을 활용한 지가분석 소장
31 (1991), 광주시 공간구조에 미치는 지가와 지가형성의 요인, 전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2 도시의 내연적 성장과 외연적 성장에 따른 공간구조변화 측정에 관한 연구 소장
33 농지전용에 있어서 도시용지 공급증대에 관한 연구 : 인천시 서구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를 중심으로 소장
34 (1997), 서울시 지가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지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5 GIS를 활용한 도시성장예측 및 도시성장관리에 관한 연구 : 파주시를 사례로 소장
36 공간적 자기상관분석을 이용한 연담도시권의 공간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소장
37 고밀·혼합토지이용이 통행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소장
38 都市中心部의 土地利用 變化에 대한 生態學的 解析 소장
39 A Study of Distributional Pattern of Urban Facilities in Seoul 네이버 미소장
40 도시성장모형의 개발과 활용 : 통합적 접근방법 소장
41 Regional Spatial Structure Analysis in Kyongnam 네이버 미소장
42 공간적 자기상관분석을 이용한 지방 연담도시의 도시공간구조 비교분석 및 상호작용분석 소장
43 (1984), 부산시 지가의 시기별 변화정도와 공간성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 학술지 논문집 제16권 미소장
44 도시성장예측모형을 활용한 개발제한구역의 효과측정 소장
45 Centrality-Movement in seoul City Center - Functional changes and centrality shifts between major centers- 소장
46 Analytical Method and its Application of Urban Centrality in Metropolitan Area - The Case of Daejeon Metropolitan Area - 네이버 미소장
47 A Study on the Pattern of Urban Growth and Measurement of Spatial Structural Change 네이버 미소장
48 (2008),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인구, 산업, 토지이용구조에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미소장
49 서울大都市圈 雇傭密度 推定에 關한 硏究 소장
50 (1998), 도시공간구조변화와 통행형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제33권 5호 미소장
51 천안시 토지이용의 시·공간적 변화 소장
52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Automobile Dependence- The Case of Seoul - 소장
53 Analysis of Central Place Hierarchy Chang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소장
54 수원시 도시공간구조 변천에 관한 연구 소장
55 Articles : A Measurement of the Spatial Structural Change by the Urban Growth: A Case of Yongin-Si 소장
56 도시의 성장과 쇠퇴측면에서 본 서울대도시권의 지역유형특성에 관한 연구 소장
57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 of Urban Crim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소장
58 개발제한구역이 도시공간구조에 미친 영향 : 대전광역시의 지리정보자료를 중심으로 소장
59 대도시권역 난개발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소장
60 Determination of the Impact Fee Zone Based on the Grid Analysis of Population Increase 소장
61 Patterns of Urban Spatial Structural Changes 네이버 미소장
62 Establishment of Spacial Planning Region in the Aspect of Functional and Spatial Factors in Gyeongnam Province 소장
63 (2009), 울산의 도시공간구조 변화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국토계획, 제44권 2호 미소장
64 Urban Form, Energy and the Environment: A Review of Issues, Evidence and Policy 네이버 미소장
6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 1995∙ Charles C. Colby, “Centrifugal and Centripetal Forces in Urban Geography”, Readings in Urban Geography, edited by Harold M. Mayer and Clyde F. Kohn, #@ Chicago: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287∼290, 1959 미소장
66 Urban Sprawl: Diagnosis and Remedies 네이버 미소장
67 The Korean growth-management programs: issues, problems and possible reforms 네이버 미소장
68 Is Los Angeles-style sprawl desirabl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3(1), pp. 107-126, 1997 미소장
69 Are Compact Cities a Desirable Planning Goal? 네이버 미소장
70 The Future of Large Towns, Environment & Planning, A, Vol11, pp1096 미소장
71 An Empirical Note on How Regional Urban Containment Policy Infulences an Interaction between Greenbelt and Exurban Land Markets,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Spring, 1988∙ Ray M. Northan, Urban Geography, New York:John Wiley and Sons, pp.9∼19, 1975 미소장
72 Quantifying Urban Form: Compactness versus `Sprawl' 네이버 미소장
73 경기도, eAIS Data, 2009 미소장
74 경기도, KLIS Data, 2009 미소장
75 경기도, 개별공시지가 현황, 2009 미소장
76 경기도, FEMIS(공장설립관리정보시스템), 2009 미소장
77 국토해양부, 2020년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2008 미소장
78 국토해양부, 제1차, 제2차,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 1981, 1996, 2006 미소장
79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law/jsp/main.jsp, 2008 미소장
80 평택시, 2020 도시기본계획, 200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