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5
I. 서론 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9
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10
II. 이론적 고찰 10
1. 미술 감상 교육의 이해 10
가. 미술 감상의 개념과 서사성 10
나. 미술 감상 교육의 목적 11
2. 조선 후기 풍속화의 특성과 서사적 성격 14
가. 김홍도 풍속화의 특성과 서사적 성격 22
나. 김득신 풍속화의 특성과 서사적 성격 37
다. 신윤복 풍속화의 특성과 서사적 성격 44
III. 조선 후기 풍속화의 서사성을 활용한 감상교육의 효과 60
1. 김홍도 풍속화의 서사성을 활용한 감상 교육 효과 72
가. 〈서당〉의 서사성을 활용한 감상 교육 자료 분석 72
나. 〈서당〉의 서사성을 활용한 감상 교육의 지도 효과 77
2. 김득신 풍속화의 서사성을 활용한 감상 교육 효과 78
가. 〈묘박계추〉의 서사성을 활용한 감상 교육 자료 분석 78
나. 〈묘박계추〉의 서사성을 활용한 감상 교육의 지도 효과 85
3. 신윤복 풍속화의 서사성을 활용한 감상 교육 효과 90
가. 〈청금상련〉의 서사성을 활용한 감상 교육 자료 분석 90
나. 〈청금상련〉의 서사성을 활용한 감상 교육의 지도 효과 96
IV. 결론 99
참고문헌 102
〈그림 1〉 덕흥리 고분벽화 15
〈그림 2〉 신윤복, 미인도 18
〈그림 3〉 김홍도, 서당 24
〈그림 4〉 김홍도 씨름 26
〈그림 5〉 김홍도, 무동 32
〈그림 6〉 김홍도, 타작 33
〈그림 7〉 김득신, 묘박계추 38
〈그림 8〉 김득신, 밀희투전 40
〈그림 9〉 김득신, 천렵도 43
〈그림 10〉 신윤복, 월하정인 47
〈그림 11〉 신윤복, 연소답청 51
〈그림 12〉 신윤복, 주유청강 53
〈그림 13〉 신윤복, 단오풍정 57
〈그림 14〉 김홍도 〈서당〉 관련 제시자료 1 61
〈그림 15〉 김홍도 〈서당〉 관련 제시자료 2 62
〈그림 16〉 김홍도 〈서당〉 관련 제시자료 3 64
〈그림 17〉 김득신 〈묘박계추〉 관련 제시자료 1 65
〈그림 18〉 김득신 〈묘박계추〉 관련 제시자료 2 66
〈그림 19〉 김득신 〈야묘도추〉 관련 제시자료 3 67
〈그림 20〉 신윤복 〈청금상련〉관련 제시자료 1 69
〈그림 21〉 신윤복 〈청금상련〉 관련 제시자료 2 70
〈그림 22〉 신윤복 〈청금상련〉 관련 제시자료 3 7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