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9

제1장 서론 1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1.2. 연구의 방법 11

제2장 대학로 문화지구 지역성 14

2.1. 지역성 14

2.2. 문화지구 14

2.2.1. 대학로 문화지구 배경 15

2.2.2. 문화지구 내 건축물 용도 변화 16

2.2.3. 대학로 문화지구의 문제점 18

2.3. 낙산공원 19

2.3.1. 문화지구와 낙산공원 관계 20

2.3.2. 서울 성곽 길과 낙산공원 관계 21

2.4. 소결 21

제3장 구릉지 문화시설 23

3.1. 문화시설 23

3.1.1. 대학로 문화 프로그램 24

3.2. 구릉지 26

3.3. 구릉지 문화시설 해외사례 27

3.3.1. Abteiberg museum - Hans Hollein 27

3.3.2. Stuttgart museum - James sterling 28

제4장 Master Plan 30

4.1. 지역성 회복을 위한 Urban Plan 30

4.2. 대지선정 및 개요 31

4.2.1. 대지 문제점 분석 32

4.3. 디자인 전략 34

4.4. Site Design Plan 36

제5장 Design Process 39

5.1. Mass Study 39

5.1.1. 초기 계획안 39

5.1.2. 중간 계획안 41

5.1.3. 최종 계획안 44

5.2. 프로그램 계획 45

5.3. 동선 계획 46

5.4. 최종 계획안 검토 47

제6장 디자인 결과물 49

6.1. 조감도 49

6.2. 배치도 50

6.3. 평면도 51

6.4. 입면도 53

6.5. 단면도 53

6.6. 동선 Sequence 54

6.7. 저층부 투시도 58

6.8. 모형사진 59

6.9. 전시패널 61

참고문헌 62

Abstract 63

표목차

표1. 연도별 문화시설의 변화 17

표2. 연도별 상업시설의 변화 17

표3. 연도별 소공연장의 변화과정 24

표4. 연도별 전시시설 수의 변화과정 24

표5. 대학로 문화지구 방문객 시설 이용 빈도 25

그림목차

그림1. 시대별 토지 이용 변화 과정 17

그림2. 대학로 문화지구의 프로그램 분포 18

그림3. 주거와 혼재된 문화시설 18

그림4. 낙산공원의 과거와 현재모습 19

그림5. 건물로 인한 낙산공원 인지의 어려움 20

그림6. 마로니에 공원과 낙산공원의 단절 20

그림7. 서울 성곽 길 복원으로 인한 새로운 접근방식 21

그림8. 서울 옛 지도 26

그림9. Abteiberg Museum - Hans Hollein 모형사진 27

그림10. 슈투트가르트 1층 평면도 - 슈투트가르트 외부동선 표시 28

그림11. 슈트트가르트 미술관 중앙램프 28

그림12. 슈트트가르트 미술관 중정 28

그림13. 새로운 문화지구 도시 계획안 30

그림14. 대상지 위치 31

그림15. 문화지구와 낙산공원과의 도시단면 31

그림16. 대지와 낙산공원 32

그림17. 대상지에서 바라본 대학로 32

그림18. 대지에 인접한 낙산공원 32

그림19. 대상지 주변 낙산공원 진입로 33

그림20. 대지의 경사 Study Diagram 33

그림21. 현재의 경사지의 건축물 개념 34

그림22. 경사에 순응한 건축물 디자인 개념 34

그림23. 경사에 순응한 건축물 개념매스 스케치 34

그림24. 비워진 대지의 스케치 35

그림25. 기존 낙산공원과 단절된 대지 35

그림26. 낙산공원과의 자연스러운 흐름 35

그림27. 대지내부 계획 37

그림28. 초기계획안 개념 스케치 39

그림29. 초기 계획안 배치 모델 및 형태 40

그림30. 중간 계획안 배치계획 41

그림31. 중간 계획안 매스 모델 42

그림32. 중간 계획안 - 두 번째 Mass Model 42

그림33. 공간 다이어그램 43

그림34. 중간 계획안 - 세 번째 Mass Model 43

그림35. 최종계획안 매스모형과 배치 스케치 44

그림36. 저층부 프로그램 45

그림37. 상층부 프로그램 45

그림38 내,외부 동선 다이어그램 46

그림39. 조감도 49

그림40. 배치도 50

그림41. Basement Floor Plan 51

그림42. 1st Floor Plan 51

그림43. 2nd Floor Plan 51

그림44. 3rd Floor Plan 52

그림45. 4th Floor Plan 52

그림46. Roof Plan 52

그림47. 정면도 53

그림48. 횡단면도(위) 53

그림49. 종단면도(좌) 53

그림50. 내부동선과 외부동선의 관계를 나타나는 다이어그램 54

그림51. 진입부 외부 투시도 54

그림52. 홀 내부 투시도 54

그림53. 아트리움 외부 투시도 54

그림54. 제1전시 내부 투시도 55

그림55. 제2전시 내부 투시도 55

그림56. 제3전시 내부 투시도 55

그림57. 제3전시 외부 투시도 및 공연장 진입부 55

그림58. 제4전시 연결부 55

그림59. 옥외정원 진입 - 외부동선 55

그림60. 제4전시 내부 투시도 56

그림61. 옥외정원 진입 - 내부동선 56

그림62. 제4전시 연결부 56

그림63. 옥외정원 진입 56

그림64. 옥외정원 - 내부동선 56

그림65. 옥외정원 - 외부동선 56

그림66. 전망대 진입 57

그림67. 전망대 입구 57

그림68. 전망대 57

그림69. 주차장 58

그림70. 저층부 로비 58

그림71. 기획전시 진입 58

그림72. 기획전시실 58

그림73. 모형사진 - 조감뷰 59

그림74. 모형사진 - 정면뷰 59

그림75. 모형사진 - 낙산공원 진입부 60

그림76. 모형사진 - 제3전시실 외부 60

그림77. 모형사진 - 공연장 60

그림78. 전시패널 61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고밀도인 도심의 밀도를 낮추고 주변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과 구릉지에서 볼 수 있는 단계적인 공간을 각 레벨에서의 다양한 연결을 통한 문화시설 계획안이다.

대상부지는 대학로 문화지구와 근접한 낙산공원 일대를 선정하고 문화지구라는 도시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밀도를 낮추는 방안을 모색한다.

낙산공원은 녹지와 문화시설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써의 역할을 한다. 또한 서울시 성곽 길 복원에 따른 대학로의 새로운 접근로가 계획되면서 낙산공원은 도심의 녹지축(Green Axis)의 역할과 혜화동의 새로운 입구로써의 역할을 도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낙산공원은 대학로 문화지구와는 시각적, 물리적으로 단절되어 있다.

낙산공원 주변으로 문화시설을 계획함으로써 문화시설 이전과 새로운 증설을 통해 대학로 문화지구의 지역성의 회복한다. 지역주민과 관광객들 간의 갈등을 지역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서로 상호간의 소통을 유도한다. 따라서 현재 상업시설로 인하여 사라지는 문화시설과 무 작위적으로 퍼져 나가는 작은 문화공간들을 낙산주변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문화벨트를 계획할 수 있다. 그 문화벨트는 낙산공원에서부터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까지의 연결할 수 있다.

낙산공원과 마로니에 공원의 연결을 통하여 기존 도로에 따른 남, 북으로 분포된 문화시설을 동, 서쪽으로 계획함으로써 대학로의 문화시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문화지구 지역성 회복은 낙산공원 주변의 문화시설을 통하여 새롭게 대학로의 문화지구의 성격을 회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