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1. 연구목적과 연구방법론 13

1-1. 연구 목적 13

1-2. 연구 방법 14

2. 소품을 활용한 안무의 역사 15

II. 본론 27

1. 수잔 스트로만 소개 및 뮤지컬 영화 '프로듀서스'(2005) 줄거리 27

1-1. 수잔 스트로만 소개 27

1-2. 뮤지컬 영화 '프로듀서스'(2005) 줄거리 29

2. 수잔 스트로만의 소품을 활용한 안무 분석 30

2-1. 'I wanna be a producer'에서 나타난 소품을 활용한 안무 분석 30

2-2. 'Along came Bialy'에 나타난 소품을 활용한 안무 분석 59

2-3. 'That face'에서 나타난 소품을 활용한 안무 분석 81

3. 안무 효과별 카테고리 분류 및 동일한 효과를 보여주는 수잔 스트로만의 타 작품 안무 장면 110

3-1. 캐릭터 직업, 성격 및 심리상태를 보여준 소품 안무 110

3-2. 청각적인 효과를 보여준 소품 안무 112

3-3. 군무를 형성해 시각적인 감흥을 보여준 안무 115

3-4. 동선변화의 효과를 보여준 소품 안무 118

3-5. 코미디효과를 보여준 소품 안무 119

III. 결론 121

참고문헌 124

Abstract 126

표목차

〈표 1〉 'I wanna be a producer'의 넘버 및 장면소개 30

〈표 2〉 'I wanna be a producer' 소품을 활용한 안무 분석표 57

〈표 3〉 'Along came Bialy' 넘버 및 장면소개 59

〈표 4〉 'Along came Bialy' 소품을 활용한 안무 분석표 79

〈표 5〉 'That face' 넘버 및 장면 소개 81

〈표 6〉 'That face' 소품을 활용한 안무 분석표 108

〈표 7〉 캐릭터 직업, 성격 및 심리상태를 보여준 소품 안무 110

〈표 8〉 청각적인 효과를 보여준 소품 안무 112

〈표 9〉 군무를 형성해 시각적인 감흥을 보여준 소품 안무 115

〈표 10〉 동선변화의 효과를 보여준 소품 안무 118

〈표 11〉 코미디 효과를 보여준 소품 안무 119

그림목차

〈그림 1〉 프레드 아스테어의 화약춤과 드럼춤 15

〈그림 2〉 프레드 아스테어의 옷걸이춤과 피아노춤 16

〈그림 3〉 프레드 아스테어의 골프춤과 의자춤 16

〈그림 4〉 '싱잉 인 더 레인' 영화와 뮤지컬 비교사진1 17

〈그림 5〉 '싱잉 인 더 레인' 영화와 뮤지컬 비교사진2 17

〈그림 6〉 '싱잉 인 더 레인' 영화와 뮤지컬 비교사진3 17

〈그림 7〉 '싱잉 인 더 레인' 영화와 뮤지컬 비교사진4 18

〈그림 8〉 영화 '42번가' 안무 장면 18

〈그림 9〉 '골드 디거즈' 안무 장면 19

〈그림 10〉 마이클 베넷의 소품 안무 장면 20

〈그림 11〉 밥 파시의 소품안무 장면 20

〈그림 12〉 밥 파시의 소품안무 장면 21

〈그림 13〉 토미 튠의 소품안무 장면 21

〈그림 14〉 토미 튠의 소품안무 장면 22

〈그림 15〉 토미 튠의 소품안무 장면 22

〈그림 16〉 미녀와 야수 캐릭터 장면 23

〈그림 17〉 라이온 킹 캐릭터 장면 23

〈그림 18〉'크레이지 포 유'의 쟁반, 로프 안무 24

〈그림 19〉'노트르 담드 파리'의 매트, 드럼통 안무 24

〈그림 20〉'노트르 담드 파리'의 종, 바리케이트 안무 25

〈그림 21〉 수잔 스트로만의 워커 안무 25

〈그림 I-1〉 계산 기계 31

〈그림 I-2〉 회계사 직원들 32

〈그림 I-2-1〉 브로드웨이 공연 사진(2001) 33

〈그림 I-3〉 전표종이 34

〈그림 I-4〉 메모 종이 35

〈그림 I-5〉 종이 구기기 35

〈그림 I-5-1〉 브로드웨이 공연사진, 리오역의 매튜 브로데릭(2001) 36

〈그림 I-6〉 연필 37

〈그림 I-7〉 연필 37

〈그림 I-8〉 회계 원장 38

〈그림 I-9〉 파일 39

〈그림 I-10〉 파일 39

〈그림 I-11〉 캐비넷 40

〈그림 I-12〉 코러스 41

〈그림 I-12-1〉 진주만 걸친 여인들 포스터 42

〈그림 I-12-2〉 코믹한 코러스 42

〈그림 I-12-3〉 브로드웨이 공연 사진-코러스 등장 43

〈그림 I-13〉 모자, 목도리, 지팡이 44

〈그림 I-14〉 캐비넷 계단 44

〈그림 I-14-1〉 브로드웨이 공연사진 코러스와 환상으로 45

〈그림 I-14-2〉 계단2 45

〈그림 I-14-3〉 브로드웨이 공연 사진 46

〈그림 I-15〉 코러스와 탭댄스 46

〈그림 I-16〉 현금 48

〈그림 I-17〉 샴페인과 잔 49

〈그림 I-18〉 레오의 시가담배 49

〈그림 I-19〉 무대에서 떨어지는 레오 50

〈그림 I-20〉 현실로 돌아온 레오 51

〈그림 I-21〉 책상 위 레오와 코러스 51

〈그림 I-22〉 코러스와 전표 종이 52

〈그림 I-23〉 코러스와 전표 종이 52

〈그림 I-23-1〉 책상 위 맥스 53

〈그림 I-23-2〉 책상 위 울라 53

〈그림 I-24〉 가방, 옷 54

〈그림 I-25〉 시가담배 55

〈그림 A-1〉 사진 장 60

〈그림 A-1-1〉 브로드웨이 공연사진 60

〈그림 A-2〉 문 61

〈그림 A-3〉 머리빗과 거울 62

〈그림 A-4〉 가글 63

〈그림 A-5〉 쇼파 64

〈그림 A-6〉 마네킹 65

〈그림 A-7〉 피아노 66

〈그림 A-8〉 꽃 67

〈그림 A-9〉 모자 68

〈그림 A-10〉 모자 68

〈그림 A-11〉 문 69

〈그림 A-12〉 꽃 지휘봉 70

〈그림 A-13〉 워커 71

〈그림 A-13-1〉 브로드웨이 공연 사진 71

〈그림 A-13-2〉 브로드웨이 공연 사진 72

〈그림 A-14〉 워커와 할머니들 72

〈그림 A-14-1〉 브로드웨이 공연사진 73

〈그림 A-15〉 워커와 할머니들 73

〈그림 A-16〉 돈 74

〈그림 A-16-1〉 브로드웨이 공연 사진 75

〈그림 A-17〉 동전 75

〈그림 A-18〉 도미노 워커 76

〈그림 A-18-1〉 브로드웨이 공연 사진 77

〈그림 A-19〉 극장 앞 77

〈그림 T-1〉 파란 담요 82

〈그림 T-2〉 큰 쇼파 83

〈그림 T-3〉 사다리, 계약서, 책상 84

〈그림 T-4〉 붓,전화기 85

〈그림 T-5〉 사다리, 손수건, 책상 86

〈그림 T-6〉 책상 넘어가는 레오 86

〈그림 T-7〉 손수건을 주는 레오 87

〈그림 T-8〉 화난 울라 87

〈그림 T-9〉 책상위 울라 88

〈그림 T-10〉 울라를 내려주는 레오 89

〈그림 T-11〉 책상에서 내려온 울라 90

〈그림 T-12〉 적극적으로 다가서는 울라 90

〈그림 T-13〉 뒷걸음질 하는 레오 91

〈그림 T-14〉 계약서를 만지는 울라 91

〈그림 T-15〉 신경전 92

〈그림 T-16〉 긴 의자로 올라간 레오 93

〈그림 T-17〉 긴 의자에 앉은 울라 93

〈그림 T-18〉 파란 원피스 94

〈그림 T-19〉 작은 쇼파 95

〈그림 T-20〉 큰 쇼파 95

〈그림 T-19-1〉 '스윙 타임' 96

〈그림 T-19-2〉 울라와 레오 96

〈그림 T-19-3〉 '스윙 타임'에서의 진저 로저스와 프레드 아스테어 97

〈그림 T-20〉 책상 98

〈그림 T-21〉 작은 쇼파 98

〈그림 T-22〉 큰 쇼파 99

〈그림 T-23〉 큰 쇼파에 걸려 엎어지는 레오 99

〈그림 T-24〉 파란 담요 101

〈그림 T-25〉 큰 쇼파 뒤 101

〈그림 T-26〉 공중에 뜬 파란 담요 102

〈그림 T-27〉 큰 쇼파 위의 울라 102

〈그림 T-28〉 레오 승리의 브이 103

〈그림 T-29〉 후원가 할머니 103

〈그림 T-30〉 서로 마주보는 울라, 레오 104

〈그림 T-31〉 흔들리는 큰 쇼파 104

〈그림 T-32〉 큰 쇼파로 올라오는 울라, 레오 105

〈그림 T-33〉'Thatface'를 노래하는 울라 105

〈그림 T-34〉 키스 106

〈그림 T-35〉 파란 담요를 버리는 레오 106

〈그림 캐릭터1〉 '오클라호마'의 로프 111

〈그림 캐릭터2〉 '뮤직 맨'의 북채 111

〈그림 캐릭터3〉 '컨택트'의 노란 드레스, 쟁반 112

〈그림 청각1〉 '크레이지 포 유'의 쟁반 탭 댄스 113

〈그림 청각2〉 '크레이지 포 유'의 생활도구들, 타이어 공기주입기 113

〈그림 청각3〉 '스캇보로 보이즈'의 탬버린 114

〈그림 청각4〉 '스캇보로 보이즈'의 의자 114

〈그림 군무1〉 '크레이지 포 유'의 로프, 곡갱이 안무 115

〈그림 군무2〉 '크레이지 포 유'의 로프 안무 115

〈그림 탭 군무1〉'오클라호마' 116

〈그림 탭 군무2〉'크레이지 포 유' 116

〈그림 탭 군무3〉 '쇼 보트' 116

〈그림 탭 군무4〉 '프로듀서스' 117

〈그림 탭 군무5〉 '프로듀서스2' 117

〈그림 탭 군무6〉 '영 프랑켄슈타인' 117

〈그림 동선1〉 '컨택트'의 그네타기 118

〈그림 코미디1〉 '컨택트'의 그네타기 119

〈그림 코미디2〉 '크레이지 포 유'의 베이스, 술병, 잔, 의자 120

〈그림 코미디3〉 '영 프랑켄슈타인'의 건초 마차 120

초록보기

 이 논문은 수잔 스트로만(Susan Stroman)의 뮤지컬 영화 '프로듀서스(The Producers)'(2005)에서 발견되는 소품을 활용한 안무에 대한 연구이다. 수잔 스트로만은 '크레이지 포유(Crazy for you)', '컨택트(Contact)', '프로듀서스'(2001) 등의 뮤지컬에서 소품을 활용한 안무로 창의적인 연출력을 보여준 대표적 인물이다. 특히 그녀의 대표작 뮤지컬 '프로듀서스'에서는 소품을 활용한 안무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이 작품은 1968년 멜 브룩스(Mel Brooks)의 영화 '프로듀서스'(1968)를 뮤지컬로 재탄생시킨 작품으로 2001년 안무를 비롯한 12개 부문의 토니상을 석권하였으며 이 후 2005년 브로드웨이 오리지널 캐스트, 연출, 안무와 우마 서먼(Uma Thurman), 윌 페럴(John William Ferrell) 등이 합류해 영화화 된다.

뮤지컬 영화 '프로듀서스'(2005)에는 20개 넘버 중 약 3개의 넘버에서 적극적으로 소품을 사용한 안무가 등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3개의 넘버를 중심으로 안무에 사용되는 소품의 종류, 활용 방법, 의도, 결합된 무용장르 및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수잔 스트로만의 안무세계에 대해 고찰해 본다. 수잔 스트로만이 제시하는 '소품을 활용한 안무'라는 개념은 소품을 사용하는 캐릭터와 음악의 가사와 리듬, 멜로디와의 결합을 말한다. 사용된 소품들은 캐릭터의 일상적인 공간의 상주하는 소품들로써 캐릭터와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결합된 무용장르는 각 캐릭터의 성격, 심리가 들어나는 일상적 동작에서부터 탭댄스, 리릭컬 재즈댄스, 씨어터 재즈댄스, 사교춤 등이 다양하게 점목되어 안무가 소품에 의해 새롭게 창작되고 창의적인 표현으로서의 폭 넓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분석된 '소품을 활용한 안무의 효과'는 크게 5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극 중 캐릭터의 직업, 성격 및 심리상태를 안무를 통해 더욱 구체화시키고 표현을 확장시켰다. 둘째, 소품을 두들기는 등 소리를 유발시키는 안무로 넘버이외에 리듬, 소리를 만들어 청각적인 효과를 유도했다. 셋째, 다수의 복제된 캐릭터들의 소품을 동반한 군무로 소품과 캐릭터들이 무대를 채우고 소품으로 인해 새롭게 창작되는 안무는 시각적인 감흥을 주는 효과를 얻어내었다. 넷째, 무대 디자인과 그 안에 편재하는 다양한 소품을 사용하는 안무일 경우는 월드와 캐릭터의 상호관계를 강조하는 무대 활용(동선변화)의 포인트를 창출하였다. 다섯째, 캐릭터에 따라서 과장된 연기, 몸짓에 의해 코미디 스타일을 강조한 안무가 구사되어 코미디 뮤지컬 장르의 특징을 살려냈다. 마지막으로 소품을 활용하는데 있어 그 목적은 스토리의 전개에 필연적으로 적용되도록 세심한 배려를 하고 있다. 이것은 극을 이해하지 않고 단순히 소품만을 이용한다고 해서 수잔 스트로만의 소품을 활용한 안무 효과와 같은 결과는 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듀서스'에서 나타난 소품 안무의 효과는 수잔 스트로만의 타 작품의 안무에서도 동일한 효과들이 나타났으며 그 효과들은 또 중복되어 나타났다. 이것은 안무가 단순히 춤으로서의 기능만이 아니라 작품전체의 완성도에 포커스를 두고 극, 캐릭터, 음악, 무대 등등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의도의 결과로 여겨진다. 수잔 스트로만은 작업할 때 항상 극작가, 음악감독과 가깝게 일했다고 한다. 이런 작업들은 극과 음악의 다양한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해주며 안무를 통해 작품 전체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였다.

수잔 스트로만의 소품을 활용한 안무는 단순히 관객에게 여흥을 제공하기만을 위해 고안된 시각적 효과로서의 안무가 아닌, 스토리와 캐릭터, 음악, 무대, 소품 등등 공연예술의 다양한 요소들의 응집을 통해 스타일과 표현력 및 전달력을 최대화하는 안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