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ABSTRACT

목차

제1장 서론 10

1.1. 연구 배경 10

1.2. 연구 문제 및 목표 13

1.3. 관련 연구 검토 및 한계 15

1.3.1. 웹 시리즈에 관한 연구 15

1.3.2. 직접화법의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18

1.4. 논문 구성 20

제2장 이론적 배경 22

2.1. 웹 시리즈 포맷의 스토리텔링 전략 22

2.1.1.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성 22

2.1.2. 진정성(authenticity)을 유발하는 스타일 25

2.2. 직접화법의 사용양상 30

2.2.1. 연극,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감정이입의 차단 30

2.2.2. 온라인 사용자에게 익숙한 직접화법의 관습 33

2.3. 사용자의 감상에서 직접화법의 효과 36

2.3.1. 준 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 36

2.3.2. 동일시(Identification) 39

제3장 실험 방법 42

3.1. 실험 개요 42

3.1.1. 실험 목표 42

3.1.2. 실험 가설 42

3.1.3. 실험 설계 43

3.2. 실험자극 제작 44

3.2.1. 통제 사항 44

3.2.2. 스토리 디자인 46

3.2.3. 직접화법의 배치와 사용방식 48

3.2.4. 데쿠파주 및 편집 50

3.3. 실험 52

3.3.1. 실험 참가자 52

3.3.2. 실험 진행 53

3.3.3. 설문의 구성 54

3.3.4. 분석 방법 56

제4장 실험 결과 57

4.1. 신뢰도와 상관관계 57

4.2. 가설 1의 검증과 분석 59

4.3. 가설 2의 검증과 분석 60

4.4. 가설 3의 검증과 분석 62

제5장 결론 64

5.1. 결과에 대한 논의 64

5.2. 의의와 활용방안 67

5.3. 한계와 향후 과제 68

A. 참고문헌 70

B. 부록- 설문 75

C. 부록- 시나리오 80

표목차

[표 1] 동영상 공유 사이트 사용량의 증가 (좌) / 미국의 온라인 비디오 시청자의 증가 (우) 10

[표 2] 온라인 비디오 시청 시 사용자들의 주의 지속 시간 24

[표 3] 현재 웹 시리즈에서 통용되고 있는 스타일과 각각의 대표작들 27

[표 4] 실험자극 웹 시리즈의 에피소드 별 러닝타임 45

[표 5] 실험자극 웹 시리즈의 에피소드 별 줄거리 47

[표 6] 실험 참가자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 52

[표 7] 실험 참가자의 인터넷 사용량, 동영상 공유 사이트 방문횟수, 웹 시리즈 시청경험 52

[표 8] 실험자극 웹 시리즈 시청환경 54

[표 9] 측정변수들의 Cronbach α계수 58

[표 10] 상관계수 59

[표 11] 준 사회적 상호작용 평균 점수 59

[표 12] 준 사회적 상호작용 독립표본 검정 60

[표 13] 동일시 평균 점수 61

[표 14] 동일시 독립표본 검정 61

[표 15] 콘텐츠 만족도 평균 점수 62

[표 16] 콘텐츠 만족도 독립표본 검정 62

[표 17] 콘텐츠 평가에 가장 긍정적으로 작용한 상위 2가지 요인 63

그림목차

[그림 1] 직접화법의 사용: Whole Day Dawn (2011) (좌) / 할 수 있는 자가 구하라 (2010) (우) 12

[그림 2] 영화 내러티브에서 스타일의 역할 25

[그림 3] 론리걸15(Lonelygirl15, 2006) (좌) / 케이트 모던(Kate Modern, 2007) (우) 26

[그림 4] 진정성을 유발하는 기록영화 기법들이 사용된 'Where are the Joneses (2007)' 29

[그림 5] 연극, 영화, 텔레비전의 직접화법 (왼쪽부터) 연극〈우리읍내, Our Town〉의 무대감독... 32

[그림 6] 비디오 블로그에서의 직접화법 34

[그림 7] 실험 설계도 44

[그림 8] 실험자극에서 직접화법의 사용 48

[그림 9] 실험자극의 제작에서 데쿠파주의 과정 50

[그림 10] 실험 절차 53

[그림 11] 실험자극 웹 시리즈가 게재된 페이스북(facebook) 페이지(page) 53

초록보기

Web Series is a kind of emerging drama format on the Internet, propelled by the improved video streaming technology. It is a series of short episodes (ranging from 3 to 15 minutes) greatly affected by user's viewing practices on the Internet and the participatory culture of Web 2.0. This kind of Web Series has a certain tendency in terms of "Style", which is a punchy use of Direct-Address Method [DAM] with intent to arouse "intimacy", "interaction" as well as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DAM is commonly used for breaking "Fourth Wall", that is for blocking empathy with characters in Theater, Cinema, and TV Drama. In this context, there are some relevant studies from media aesthetic perspective. But these studies were done within the limit of textual analysis. Thus, this research empirically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DAM to user's appreciation in the Web Series Format with reference to whether DAM can arouse intimacy, interaction, and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To achieve this, Web Series was produced as samples which were edited differently according to existence of DAM. Since then, between-subjects experiment was conducted; each group was tested on PSI(Para-Social Interaction) and Identification. This research has the significance to be a useful reference when designing user participation-oriented Web Video projects and Branded Web Series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