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ABSTRACT
목차
제1장 서론 2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1. 연구의 배경 20
2. 연구의 목적 22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4
1. 연구의 방법 24
2. 연구의 범위 29
제3절 관련 선행연구 동향 고찰 30
1. 관련 이론 동향 30
2. 선행연구 고찰 및 차별성 39
제2장 사회·경제 패러다임 시프트(Shift)와 부동산 트랜드의 변화 44
제1절 사회·경제적 패러다임 변화 분석 44
1. 사회·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44
2. 인구 구조와 라이프스타일의 패러다임 변화 48
3. 산업 패러다임 및 국제환경 트랜드의 변화 53
4. 문화·예술 패러다임의 변화 55
제2절 부동산 패러다임 변화 및 문화·예술과의 융합 59
1. 부동산개발의 성장과 한계 60
2. 부동산개발의 분화 및 문화·예술과의 융합 63
제3장 스토리융합형 명소의 등장 및 확장 73
제1절 스토리파생 장소와 부동산개발 73
1. 스토리와 부동산의 연계 73
2. 스토리파생 부동산개발의 유형 78
3. 영상(드라마, 영화)과 부동산개발의 융복합 컨버전스 84
제2절 드라마촬영지의 스토리융합형 명소화 86
1. 드라마촬영 명소의 사례 86
2. 드라마촬영 명소의 부침(浮沈)과 시사성 88
3. 스토리융합형 명소의 장소적 확장 91
제3절 사례대상지 개관 94
1. 사례대상지 선정배경 및 개요 94
2. 사례대상지 방문객 수와 드라마의 상관성 100
3. 스토리융합형 명소의 장소·공간적 함의 103
제4장 연구 설계와 분석의 틀 104
제1절 연구 설계 및 표본 특성 104
1. 연구의 대상 및 과정 104
2. 설문지 구성 및 설문과정 104
3.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 (개입) 내용 106
4.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 108
제2절 분석의 틀과 기준 122
1. 탐색적 요인분석의 과정 122
2. 탐색적 요인분석의 틀과 기준 126
가. 요인추출의 방법 128
나. 요인 추출 수 결정방법 128
다. 요인구조 회전 방식 128
라. 요인분석 적합여부 검정 129
마. 변수의 공통성과 설명력 검정 130
바. 전체분산의 기여율 설명력 검정 130
3. 중다선형 회귀분석의 과정 및 틀과 기준 130
가. 회귀모형의 설정 131
나. 연구가설의 설정 131
다. 연구의 과정 133
제5장 연구결과 및 해석 134
제1절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및 해석 134
1. 1차 (예비)요인분석의 결과요약 134
2. 2차 (본)요인분석의 결과요약 136
3. 3차 (최종)요인분석의 결과 요약 138
가. KMO, Battlett의 검정 및 공통성 138
나. 설명된 총분산 138
다. 회전된 요인행렬 140
라. 최종 결과해석 및 핵심요인의 명명 140
제2절 신뢰도와 타당성 검증 144
제3절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 및 해석 147
제4절 중다선형 회귀분석의 결과 및 해석 149
1. 회귀분석의 결과 149
가. 제외된 변수 149
나. 회귀모형 요약과 잔차선택/ Durbin-Watson값 150
다. 분산분석(ANOVA)과 유의확률 151
라. 표준화계수(Beta)와 유의확률 152
마. 연구가설의 검증 및 회귀분석 결과 153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57
제1절 연구의 요약 157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159
제3절 연구의 향후 과제 161
참고문헌 163
부록 180
부록(1):설문지 180
부록(2):성과분석보고서 195
부록(3):방문객 현황 보고서 196
〈그림 1〉 장소의 명소화 및 명소화 과정 31
〈그림 2〉 스토리텔링의 서사적 유형분류 34
〈그림 3〉 스토리 파생 및 융합형 명소화 35
〈그림 4〉 스토리와 공간, 드라마 37
〈그림 5〉 장소의 스토리파생적 명소화 과정 39
〈그림 6〉 매슬로(Abraham Maslow)의 인간욕구 5단계 50
〈그림 7〉 「현재여가」와 「희망여가」 53
〈그림 8〉 싱가포르 문화예술단지, 에스플러네이트 58
〈그림 9〉 싱가포르 마리나 만, 멀라이언 상 58
〈그림 10〉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sands skypark 59
〈그림 11〉 싱가포르, 「풍수지리」빌딩 59
〈그림 12〉 사회적 트랜드와 부동산 트랜드 연계 예시 66
〈그림 13〉 국립극장 공연장 내외부 전경 68
〈그림 14〉 청주, 수암골 벽화마을 69
〈그림 15〉 충무, 동피랑 벽화마을 69
〈그림 16〉 파주, 헤이리아트벨리 69
〈그림 17〉 스와로브스키의 문화예술공간 '크리스털 월드' 72
〈그림 18〉 패러다임의 위계적 변화흐름도 72
〈그림 19〉 싱가포르, "Sentosa Park"에서의 '스토리텔링' 공연 73
〈그림 20〉 story와 storytelling의 연결고리 75
〈그림 21〉 전국 지자체 형태별 관광명소 유형분포도 84
〈그림 22〉 전국 주요 영상(드라마, 영화)촬영지 현황도 (2011.10.현재) 89
〈그림 23〉 드라마 주 촬영지 수암골 팔봉제빵집 접근로 (3D입체도면) 97
〈그림 24〉 충북 도내 드라마 촬영지 분포도 98
〈그림 25〉 드라마 전시체험관 (청주시 내곡동) 구조도, 위치도, 안내도 99
〈그림 26〉 내덕동 전시체험관의 3D입체도 및 제빵체험관 99
〈그림 27〉 김탁구 드라마 방영시청률(3사 비교) 100
〈그림 28〉 설문구성 및 델파이 조사 분석과정도 105
〈그림 29〉 성별 109
〈그림 30〉 결혼여부 109
〈그림 31〉 연령대 별 110
〈그림 32〉 거주지 별 110
〈그림 33〉 직업별 112
〈그림 34〉 학력별 112
〈그림 35〉 월소득별 113
〈그림 36〉 방문사유별 113
〈그림 37〉 인지정보원 114
〈그림 38〉 사전인지 여부 115
〈그림 39〉 방문시 동반자 116
〈그림 40〉 일반드라마 시청빈도 117
〈그림 41〉 김탁구드라마 시청여부 118
〈그림 42〉 김탁구드라마 미시청자별 분류 118
〈그림 43〉 일반드라마촬영지 방문빈도 119
〈그림 44〉 방문체류기간 119
〈그림 45〉 재방문의사에 대한 부정적 의견 120
〈그림 46〉 재방문의사에 대한 긍정적 의견 120
〈그림 47〉 타지역 촬영지 방문의사 121
〈그림 48〉 수암골외 방문하고 싶은 촬영지 121
〈그림 49〉 형태별 선행연구의 예비요인 12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도쿄디즈니랜드 스토리, 초판, 서울: 한스미디어, 2009. | 미소장 |
2 | 도시이미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장소마케팅 개념을 중심으로 | 소장 |
3 | 『관광지개발의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 공공부문 관광지개발 중심으로 | 소장 |
4 |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on Transformation of Public Housing Apartment Outdoor Space | 소장 |
5 | 내러티브 디자인을 적용한 상호작용적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창덕공원 중심으로 | 소장 |
6 | Typological Approach of the Theme Park-Style Museum to the Application of Attraction Elements | 소장 |
7 |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8. pp.154 ∼201. | 미소장 |
8 | 도시이해, 서울: 박영사, 2009. | 미소장 |
9 | TV드라마가 관광목적지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드라마에 대한 감정반응 및 태도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제28권 제4호, 2001. pp. 336∼337. | 미소장 |
10 | 영화에 대한 감정반응이 방문 전 관광목적지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1 | TV 드라마 촬영지의 포스트모던한 관광체험 : 미니시리즈 '겨울연가'의 촬영지 남이섬을 사례로 | 소장 |
12 | 관광이벤트의 방문동기와 사후 이미지가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3 | 관광지 리모델링 사업의 영향요인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 적용 | 소장 |
14 | 역사·문화 테마파크 조성계획 적용에 관한 연구 : 제주 무속신화를 중심으로 | 소장 |
15 |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를 통해 본 스토리텔링 패러다임 연구 | 소장 |
16 |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Busan as Film Location City - with focus on Film Location Places | 소장 |
17 | 명소마케팅 개념을 도입한 관광개발에 관한 연구 : 칠포유원지의 공간구상을 중심으로 | 소장 |
18 | 일본여성관광객의 방문동기와 여행상품속성이 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9 | 장소성의 의미와 가치에 관한 실증 분석 : 대학로와 로데오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 소장 |
20 | Empirical Analysis of Components and Economic Values of the 'Placeness' : The Cases of Daehak and Rodeo Streets in Seoul ![]() |
미소장 |
21 | 觀光地 이미지의 形成에 관한 硏究 : 인지적·정서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 소장 |
22 | 관광지 생애주기와 부동산 평가 | 소장 |
23 | 관광지 재생 : 남이섬 사례 연구 | 소장 |
24 | 2. Theory and Analyses : Problem of "Space" in Semiotic Theory of Y. Lotman ![]() |
미소장 |
25 | A Study on the Storytelling Process of "City" as a Space Text | 소장 |
26 | 지역마케팅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실증적연구 : 드라마촬영지와 문화축제를 중심으로 | 소장 |
27 | A Study on the Relevance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nd Physical Components Which Determine Landscape Image of New Town’s Pedestrian Space | 소장 |
28 | 테마파크 홍보에 관한 연구 : 외국의 선진 사례를 중심으로 | 소장 |
29 | 스토리텔링 구성 전략 연구 : 영상콘텐츠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 소장 |
30 | 글로벌시대의 문화마케팅, 경기: 법문사, 2008. | 미소장 |
31 | 영상물 배경지의 관광지화에 대한 연구 | 소장 |
32 | 도시공간의 이해, 서울: 기문당, 2008. | 미소장 |
33 | 원 소스 멀티 유즈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 구조 비교분석 : 스타워즈와 반지의 제왕을 중심으로 | 소장 |
34 | Storytelling에 의한 공간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 소장 |
35 | 국내 영상오픈세트와 교육콘텐츠의 결합을 통한 테마파크 활용 방안 연구 | 소장 |
36 | 어린이과학관의 테마파크적 기획설계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 기법과 테마파크 개념을 적용한 어린이과학관 기획을 중심으로 | 소장 |
37 | 일본테마파크의 사례와 전략, 초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미소장 |
38 | 명소의 형성 : 관광학관점에서의 명소에 대한 철학적 재고 | 소장 |
39 | 포스트테마파크, 초판, 서울: 일신사, 2000. | 미소장 |
40 | 공간에서 장소로, 다시 반대로(포스트모더니즘의 조건에 대한 성찰), 공간과 사회, 5, 1995. pp.32∼71. | 미소장 |
41 | 드림 소사이어티, 2판, 서울: 리드리드출판, 2002. | 미소장 |
42 | 미디어는 마사지다, 초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6. | 미소장 |
43 | 스토리텔링의 비밀, 초판, 서울: 아우라, 2008. | 미소장 |
44 | 도시설계(장소만들기의 여섯 차원), 초판, 서울:도서출판 대가, 2009. | 미소장 |
45 | A Study on the Valuation of Palaces as Urban Leisure Space | 소장 |
46 | 지역축제 이벤트평가를 위한 축제속성과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모형연구 | 소장 |
47 | 한국사회의 여가생활에 대한 사회구조적 고찰(발달배경, 현황 및 대응 방안), 사회연구, 4, 2002. pp.43∼65. | 미소장 |
48 | 홍대앞에서 런던까지 장소의 재탄생, 서울: 디자인하우스, 2010. | 미소장 |
49 | 觀光 후 이미지와 滿足度 간의 關聯性 | 소장 |
50 | 현대건축의 담론에 나타난 공간개념의 비판적 검토,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8. pp.32∼55. | 미소장 |
51 | 우리나라 주요 영화·드라마 촬영지의 한류(韓流) 시장별 관광자원 이미지 분석 및 관광자원화 전략 연구 | 소장 |
52 | 지구단위 도시개발방식 선정모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04. | 미소장 |
53 | 한국 부동산개발의 현황과 전망, 2010. | 미소장 |
54 | Factors of the Revisitable Place of Drama Location - Focused on Drama Location of『The King of Baker, Kim Tak-Ku』 | 소장 |
55 | 스토리파생형 명소의 집객요인이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제빵왕 김탁구 드라마 촬영지를 중심으로 | 소장 |
56 |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57 | The Introduction of Art Festivals in Small Cities and the Creation of Placeness | 소장 |
58 | 풍수지리를 활용한 전원마을 입지평가에 관한 연구 | 소장 |
59 | 위기 이후 세계 경제질서의 변화와 대응 ![]() |
미소장 |
60 | 한류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객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61 | 테마파크 탑승시설 이용자의 만족도 분석 : 에버랜드·서울랜드 중심으로 | 소장 |
62 | Research Papers : A Study of the Destination Image Placed in Visual Media | 소장 |
63 | 서울도시계획이야기(➀∼➄), 서울: 한울, 2003. | 미소장 |
64 | 도시재생사업과 명소화전략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소장 |
65 | 여행목적지 이미지형성과 선택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테러, 사스, 드라마 | 소장 |
66 | Impacts of Human Factors on the Placeness in the Hongik University Area | 소장 |
67 | 복합테마형상업시설 집객요인이 이용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주)경방 타임스퀘어와 신세계 센텀시티점을 중심으로 | 소장 |
68 | 시학, 초판, 서울: 문예출판사, 2004. | 미소장 |
69 | A study on the Function of Community Facilities for Culture and Spare time | 소장 |
70 | 박물관 성장기반으로서의 스토리텔링구조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 소장 |
71 | 관광스토리텔링의 중요요소에 따른 관광지 러브마크(Love Mark) 기대에 관한 연구 | 소장 |
72 | A Study on Place Value on the Notion Place | 소장 |
73 | 觀光地 이미지 測定에 關한 硏究 : 觀光地 이미지와 態度의 差異를 中心으로 | 소장 |
74 | 장소와 장소상실(Place and Placelessness), 초판, 서울: 논형, 2005. | 미소장 |
75 | 스토리텔링을 통한 영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 영화 '웰컴 투 동막골' 테마파크 기획에서의 스토리텔링 개념을 중심으로 | 소장 |
76 | 조경공간의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중심으로 | 소장 |
77 | 드라마 촬영지 관광객의 이미지에 따른 관광동기 유형별 포지셔닝 연구 | 소장 |
78 | Study on Development Solution of Theme Park | 소장 |
79 | 20세기 우리나라 도시계획 패러다임 변천과정,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 2010. pp.527∼543. | 미소장 |
80 | (A)study on the determinants of flow for Korean wave tourists : the case of TV drama location ![]() |
미소장 |
81 | 수도권 테마파크의 현재와 신규 개발을 위한 수요예측 타당성 연구, (에버랜드, 롯데월드, 서울랜드, 유니버설스튜디오를 중심으로), 고봉논집. 제43집, 2008. 12. pp.159∼184. | 미소장 |
82 | 지역 테마파크산업의 활성화 방안 | 소장 |
83 | TV 드라마와 드라마촬영지의 상호 연계성 연구 : <겨울연가>에 대한 한국과 일본 수용자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소장 |
84 | TV드라마파생형 명소의 집객요인이 방문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011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11.11. pp.323 ∼345. | 미소장 |
85 |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장소마케팅 전략, 서울: 논형, 2005. pp.167∼174. | 미소장 |
86 |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Museum전시공간분석에 관한 연구 | 소장 |
87 | 영상촬영지의 장소만들기에 관한 연구 : 남이섬과 정동진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 소장 |
88 | The Ambiguous Concepts of Place and Placeness | 소장 |
89 | 영화·드라마 로케이션촬영지 스토리텔링을 통한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연구 : 전라북도 로케이션촬영지 중심으로 | 소장 |
90 | 관광목적지의 이미지 결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영상매체에 노출된 관광목적지를 중심으로 | 소장 |
91 | 도쿄디즈니랜드와 소비사회의 도시공간 : 이미지세계의 3차원화로 등장한 도쿄디즈니랜드와 도시공간성립과의 연속성에 대하여 | 소장 |
92 | 스토리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소장 |
93 | 주중·주말 관광객의 축제참여동기에 관한 비교 연구 : 무안백련대축제와 강진청자문화제를 중심으로 | 소장 |
94 | 지역축제 성공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파주지역 축제를 중심으로 | 소장 |
95 | 한류 드라마 촬영지를 방문한 관광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일본 관광객을 중심으로 | 소장 |
96 | 체험형 농업테마파크 개발 잠재력 검토 : 농협 안성목장 개발을 중심으로 | 소장 |
97 | 장소마케팅, 서울: 대왕사, 2006. | 미소장 |
98 | 테마파크의 비밀, 초판, 서울: 일신사, 2002. | 미소장 |
99 | 공간과 장소, 서울: 대윤, 1999. | 미소장 |
100 | Storytelling 요소가 문화관광축제의 기획과 축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01 | 내국인 관광객의 드라마 촬영지 방문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 '태왕사신기' 촬영지를 중심으로 | 소장 |
102 | A Study on the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 Urban Space | 소장 |
103 | 드라마 愛着關係가 관광목적지 PPL 效果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04 | SPSS12.0 통계자료분석, 초판, 광주: 성일문화사, 2005. | 미소장 |
105 | 영상촬영관광지의 수명주기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2006. pp.9∼16. | 미소장 |
106 | TV 드라마 촬영지의 관광지 속성과 일본인 관광자의 태도 | 소장 |
107 | 영상테마파크로서 드라마, 영화 촬영장의 유희성 향상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미소장 |
108 | 스토리텔링과 스토리리텔링, 인문콘텐트학회 콜로키움자료집, 2007. 5. | 미소장 |
109 | 방송영상의 간접광고(PPL)를 활용한 장소마케팅 효과 연구 : 친 환경테마파크 "남이섬" 사례 중심으로 | 소장 |
110 | OSMU의 전개방식과 사례를 통한 활성화 방안 제안 : 문화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 소장 |
111 | 청주시청(문화관광과), 수암골 방문객 수 조사(2010.10.8∼10.17)결과 업무보고 자료, 2010. 11. | 미소장 |
112 | 지역축제 참가자 특성에 따른 방문동기와 만족도가 재방문과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 인제빙어축제를 중심으로 | 소장 |
113 | Empirical Analysis of Components and Economic Values of the 'Placeness' : The Cases of Daehak and Rodeo Streets in Seoul ![]() |
미소장 |
114 | 테마파크 재현적 공간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의도적 연출기법을 중심으로 | 소장 |
115 |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of an Urban Image as a Tourist Destination | 소장 |
116 | 미디어를 통한 관광지의 사회적 구성 과정 (일본인 관광객의 겨울연가(冬のソナタ) 사례), 한양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미소장 |
117 | Research Articles : The place Marketing using Storytelling: An Exploratory Research | 소장 |
118 | 문학과 문화콘텐츠 : 문학의 테마파크화 과정을 중심으로 | 소장 |
119 | 충북도청(문화여성환경국) , KBS 2TV수목드라마 제빵왕김탁구 제작지원에 대한 성과분석자료, 2010. | 미소장 |
120 | 포스트모더니즘과 여가, 서울: 일신사, 2002. | 미소장 |
121 | 장소의 혼(건축의 현상학을 위하여), 서울: 태림문화사, 2001. | 미소장 |
122 | 제3의 공간, 초판, 서울: 미래의 창, 2005. | 미소장 |
123 | 스토리텔링, 초판, 서울: 현실문화, 2010. | 미소장 |
124 | 스토리텔링의 기술, 초판, 서울: .멘토르, 2008. | 미소장 |
125 | 한국관광공사, 관광스토리텔링 그 빛을 발한다(1),초판,서울: 한국관광공사, 2006. | 미소장 |
126 | 한국관광공사, 관광스토리텔링 그 빛을 발한다(2),초판,서울:한국관광공사, 2007. | 미소장 |
127 | 중국 서유기테마파크 조성방안 : 테마파크 스토리텔링 원리에 따른 어트랙션 적용을 중심으로 | 소장 |
128 | 롱셀러 캐릭터 개발에 관한 연구 : 디즈니·산리오·둘리나라를 중심으로 | 소장 |
129 | 드라마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적 의미 : '대추나무 사랑 걸렸네'를 중심으로 | 소장 |
130 | 이야기가 세상을 바꾼다, 초판, 서울:. 도서출판 새빛, 2009. | 미소장 |
131 | 스페이스마케팅”,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8. | 미소장 |
132 | 영상물을 통한 관광지이미지가 관광지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133 | Analysis of Pedestrian-Streetscape Image in Commercial Distric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소장 |
134 | “Marketing and Place Promotion”, in Gold, J. R., Ward, S. V.(Eds.), Place Promotion: The Use of Publicity and Marketing to Sell Towns and Regions,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1994, pp.39∼52. | 미소장 |
135 | A model of destination image formation ![]() |
미소장 |
136 | “Introduction to the Structural Analusis of Narratives”, Image-Music-Text, selected and trans. Stephen Heathm London : Fontana/Collins, 1977. | 미소장 |
137 | `Handbook for storytelling', Chicago: American Literary Association, 1997. | 미소장 |
138 | (Eds.), “Space and Place : Theories of Identity and Location”, Lawrence & Wishart, 1993. | 미소장 |
139 | “The evolution for a festival: Creole Christmas in New Orleans”,The Centre for South Australian Economic Studied. Adelaide, South Australia: University of Adelaide, 1993. | 미소장 |
140 | “What Novels Can Do That Films Can't (and Vice Versa)”, Critical Onquiry(Autumn,1980), pp.121∼140. | 미소장 |
141 | Motives of visitors attending festival events ![]() |
미소장 |
142 | “The Changing Efficiency of Public Enterpries in India: A tudy in Growth Accounting”, Somaiya Bombay, 1980. | 미소장 |
143 | 'Developing an integrated curriculum using the story model', Canada: OISE Press, 1992. | 미소장 |
144 | 'The storytelling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Penguin Books, 1991. | 미소장 |
145 |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1975. | 미소장 |
146 | Image Formation Process ![]() |
미소장 |
147 | `Event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Cognizant communication Corperation, 1997. | 미소장 |
148 | `Festivals, Special Events and Tourism',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91. | 미소장 |
149 | “Information sharing among festival managers”, Festival Management & Event Tourism, V01. 5., 1997. | 미소장 |
150 | “The Theming of America: American Dreams, Media Fantasies, and Themed Environments”, Westview press, 2001, p.105. | 미소장 |
151 | “From Space to Place and Back Again: Reflections on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Bird et al.(Eds.), Mapping the Future Local Cultures, Global Change, London & N. Y: Routledge, 1993. | 미소장 |
152 | Use of causal models in marketing research: A review ![]() |
미소장 |
153 | Sense of Place, Authenticity and Character: A Commentary ![]() |
미소장 |
154 | Michael Stubbs and Miles Keeping,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Development”, 3RD EDITION, 2009. | 미소장 |
155 | “Urban Design”, A Typology of procedures and products, 2005. pp.304∼317, pp.390∼396. | 미소장 |
156 | “Marketing Asian Places”,New York: John Wiley & Sons, 2002. | 미소장 |
157 | “Marketing Places: Attracting Investmants, Industries,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s”, The Free Press : MacMillan, Inc, 1993. | 미소장 |
158 | “Neon Cages” In Shields, Rob, ed., Life styles of Consumption, London: Routledge, 1992. | 미소장 |
159 | “The Image of the City”,Cambridge, MA: M.I.T Press, 1960, p.54. | 미소장 |
160 | “Designing Disney's Theme park”,Flammarion,France, 1997. | 미소장 |
161 | The structure and determinants of consumer complaint intentions and behavior ![]() |
미소장 |
162 | Storytelling that moves people. A conversation with screenwriting coach Robert McKee. ![]() |
미소장 |
163 | “What do We Know about the Determinants of Shopping Center Sale? Spatial vs Non-Spatial Factors”, Journal of Real Estate Literrature, 10(1), 2002, pp.3∼26. | 미소장 |
164 | “Future Forms and Design for sustainable Cities”, 2005, pp.413∼417. | 미소장 |
165 | An economic perspective on special events ![]() |
미소장 |
166 |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 |
미소장 |
167 | “Shopping Malls and Other Sacred Places(Putting God in Place)”, Wipf & Stock·Eugene, Oregon, 2003. | 미소장 |
168 | “Wayfinding in Architectur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92, pp.27∼52. | 미소장 |
169 |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Life Style Segmentation ![]() |
미소장 |
170 | “Success Factors Of Place Marketing: A Study Of Place Marketing Practices In North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Institute of Strategy and International Business, 2003. | 미소장 |
171 | “Professional Real Estate Development”, N.W: ULI, 2003. | 미소장 |
172 | Assessing the Impact of Hallmark Events: Conceptual and Research Issues ![]() |
미소장 |
173 | Correlates of mall visit frequency ![]() |
미소장 |
174 | Two Urban Festivals: La Merce and First Night ![]() |
미소장 |
175 | (Eds.), “Lifestyle Shopping: The Subject of Consump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2. | 미소장 |
176 | “Selling Places”, Spon Press, 2010. | 미소장 |
177 | Tourist shopping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 |
미소장 |
178 | “Funding Lost Spac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 Inc, 1986. | 미소장 |
179 | “Space and Place”, Minneapolis: Un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9. Braudel, F., “The Wheels of Commerce: Civilization and Capitalism, 15-18th Century”, vol 2, New York: Harper & Row, 1982. | 미소장 |
180 | “Consuming Places”, Routledge, 2000. | 미소장 |
181 | “The Social Life of Small Urban Space, Washington, D.C: The Conservation Foundation. 1980. | 미소장 |
182 | “Towards a New City?: A Case Study of Image-Improvement Initiatives in Newcastle upon Tyne”, Healy, P et al(Eds.), Re-building the City-Property-Led Urban Regeneration, London: E & FN Spon, 1992. | 미소장 |
183 | A General Model Of Traveler Destination Choice ![]() |
미소장 |
184 |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destination loyalty: a structural model ![]() |
미소장 |
185 | “How Do Individuals Experience Leosure?”, P&R Febuary, 1999, pp.40∼46. | 미소장 |
186 |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in Preferences ![]() |
미소장 |
187 | Leisure Traveler Choice Models of Theme Hotels Using Psychographics ![]() |
미소장 |
188 | http://www.cjcity.net/main/www (2011.5.21) | 미소장 |
189 | http://www.kimtakku.co.kr (2011.5.2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